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비즈니스 / 항공산업

조양호 한진그룹 선대회장, 시스템 경영·항공 동맹 주도로 글로벌 선도 항공사 도약

동아일보 | 업데이트 2025.10.28
한진그룹 창립 80주년 ②


〈편집자 주〉 한진그룹이 오는 11월 1일 창립 80주년을 맞는다. 한국 항공·물류 산업의 역사와 함께 걸어온 한진그룹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각 시대를 이끈 리더십과 기업의 변화를 짚어본다
조양호 선대회장은 조중훈 창업주가 일군 한진그룹을 본격적으로 성장시켰다. 미국 유학 중 귀국해 군에 입대, 육군 제7사단에서 비무장지대 및 베트남 파병 근무 등으로 36개월을 복무하고 병장으로 만기 제대했다. 제대 직후인 1974년 대한항공 정비 담당 직원으로 입사해 현장에서 기초부터 철저한 경영수업을 받았다. 이후 기획, 자재, 정보통신(IT), 영업 등 항공 업무에 필요한 실무 분야를 두루 거쳤다.

공학과 경영학을 전공한 조양호 선대회장은 아버지 조중훈 창업주가 그린 사업의 밑그림에 ‘시스템 경영’이라는 색깔을 더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시스템을 잘 만들어 놓으면 누가 그 자리에 가도 업무가 돌아간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했다. 인맥이나 이해관계에 좌우되기보다는 시스템에 따라 움직이고 시스템을 개선하는 사람이 대우받는 제도를 정착시켰다. 1989년에는 한진정보통신을 설립해 물류 그룹의 중추가 되는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운항과 객실, 정비, 경영을 유기적으로 융합시켰다.
2000년 대한항공 통제센터 오픈 기념행사. 한진그룹 제공

특히 조양호 선대회장은 대한항공을 안전한 항공사로 만드는 데 전력을 다했다. 그는 “적당주의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며 “절대 방심하거나 자만하지 말고 익숙한 것일지라도 항상 처음 대한다는 자세로 원칙과 규정에 따라 신중하게 업무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랜 세월 쌓아온 데이터와 선진 글로벌 항공사를 참고해 매뉴얼을 집대성하고 안전 운항을 독려할 수 있도록 비행 운영 품질보증과 안전 장려금 제도를 시행했다.
1995년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주와 함께 보잉 777 항공기를 시찰하는 조양호 선대회장. 한진그룹 제공

안전과 더불어 고객 중심 서비스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최상의 서비스가 있어야 최고의 항공사로 평가받는다고 생각했다. 항공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했던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에도 승객들에게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일념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2008년 한진그룹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 출범 당시에도 “비용을 줄여 발생한 수익은 승객에게 되돌려줘야 한다”며 고객 중심 서비스를 강조했다.

이후 거듭된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서도 조양호 선대회장은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할 기회를 노렸다. 세밀한 전략과 정확한 판단, 과감한 투자로 대한항공을 전 세계에서 주목하는 글로벌 선도 항공사로 거듭날 수 있게 노력했다.

특히 그는 1990년대 항공 시장이 자유화되면서 상호협력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라 판단했다. 이미 세계 항공업계는 스타얼라이언스, 원월드 등 동맹체로 재편되고 있었다. 조양호 선대회장은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아에로멕시코 CEO들과 ‘스카이팀(SkyTeam)’을 출범했다. 이후 2024년 말 기준 스카이팀은 18개 항공사가 모인 동맹체로 발전했으며, 전 세계 160개국 1000여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 델타항공과 조인트벤처(Joint Venture)를 맺어 태평양 노선을 강화했다.
2000년 항공 동맹체 ‘스카이팀(SkyTeam)’ 결성 원년 멤버인 4개 항공사 CEO가 손을 맞잡고 있다. 한진그룹 제공

1996년부터 IATA 최고 정책 심의·의결 기구인 집행위원회 위원을, 2014년부터는 전략정책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이는 전 세계 항공산업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대한민국의 목소리를 반영했다는 큰 의미를 갖는다. 조양호 선대회장의 노력은 2019년 IATA 연차총회를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열매를 맺었다.

지희수 기자 heesuji@donga.com

인기 뉴스

경영·경제 질문은 AI 비서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