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비즈니스 / 통상협력

韓-말레이시아, FTA 타결… “방산-에너지 등 협력 강화”

동아일보 | 업데이트 2025.10.28
[한미 관세협상]
李, 안와르 총리와 정상회담
말레이 車-철강-화학 추가 개방
캄보디아서 코리아전담반 가동
ⓒ뉴시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27일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했다.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한-말레이시아 FTA로 한국은 전체 품목의 94.8%를, 말레이시아는 92.7%를 자유화하게 됐다. 말레이시아는 682개 품목, 한국은 288개 품목의 관세를 인하하거나 철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자동차, 철강, 화학 등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은 추가 개방을 얻어냈고 농수산물 수입에 대한 추가 개방은 하지 않기로 했다.

또 말레이시아의 FA-50 경공격기 2차 도입에 우리 기업의 참여를 지원하는 등 방위산업 협력 사업을 확대하고 인프라·건설 및 에너지 전환 분야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밝혔다. 안와르 총리는 “말레이시아의 국방 역량 강화에 있어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중요한 파트너”라며 방산 협력 양해각서(MOU)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언론 ‘더 스타’에 실린 기고문에서 “한국과 아세안 국가 FTA 개선 협상 개시를 제안한다”며 “연간 교역액 3000억 달러(약 430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자”고 밝혔다. 한-아세안 FTA는 2005년 타결돼 2007년부터 발효됐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해 정부의 한반도 평화 구상을 설명하고 아세안 회원국의 협력을 요청했다. 다만 지난달 뉴욕 유엔총회 참석 당시 내놓은 ‘엔드(E.N.D.) 구상’은 언급하지 않았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북-미 정상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 대통령은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선 “우리는 보호무역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지경학적 위기에 봉착해 있다”며 “아세안+3 협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스캠(사기) 범죄와 관련해 한국인 전담 범죄 대응 기구인 코리아전담반을 다음 달부터 가동하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전담반 가동을 계기로 앞서 여행 경보를 상향했던 캄보디아 프놈펜 등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 하향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마네트 총리는 “최근 한국인 대학생 1명이 캄보디아에서 사망하는 불행한 일이 있었다. 이 불행한 사태, 사건에 대해 심심한 위로를 전한다”고 했다.

쿠알라룸푸르=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인기 뉴스

경영·경제 질문은 AI 비서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