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저선량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 검진이 확대되면서 불필요한 절제를 피하고 정상 폐 조직을 보존하는 정밀 수술이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폐암은 조기 발견 시 생존율이 크게 높아진다. 특히 종양 크기가 2㎝ 이하인 초기 폐암은 폐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정밀 수술로 생존뿐 아니라 수술 후 삶의 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과거에는 폐엽 전체나 한쪽 폐를 절제하는 광범위 수술이 주로 시행돼 폐 기능 저하와 호흡곤란, 운동 제한을 초래했다.
최근 저선량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진이 확대되면서 불필요한 절제를 피하고 정상 폐 조직을 보존하는 정밀 수술이 늘고 있다. 대표적인 수술은 구역 절제술로 폐엽을 이루는 단위인 ‘구역’만 절제해 폐 기능을 5∼10% 더 보존할 수 있다. 2㎝ 이하 조기 폐암 환자에서 특히 효과적이며 호흡곤란이 덜하고 일상 복귀가 빠르다. 손종배 강동경희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구역 절제술은 암 제거를 넘어 환자의 호흡 기능과 삶의 질을 지키는 정밀 수술”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연구에서도 구역 절제술이 폐엽 절제술과 생존율, 재발률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확인되며 표준 수술로 자리 잡았다. 절제 범위를 더 줄인 쐐기 절제술이나 소구역 절제술도 도입돼 폐 기능을 더욱 보존할 수 있게 됐다. 이들 수술은 종양의 크기·위치·성격에 따라 정밀하게 적용돼야 한다. 대부분 흉강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로 진행돼 통증과 출혈이 적고 흉터도 최소화된다. 로봇수술과 3D 영상, 미세 조작 기술이 결합돼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졌다.
폐암 수술은 암 제거에서 끝나지 않는다. 수술 후에는 정기 추적 검사와 폐 기능 회복 훈련, 생활 습관 관리가 병행돼야 장기적인 건강이 유지된다. 관리가 부족하면 호흡곤란이나 산소 치료 의존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다.
신승희 기자 ssh00@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인기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