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두산

두산에너빌 가스터빈 ‘종주국’ 美에 수출… K에너지 신시장 열린다

동아일보 | 업데이트 2025.10.14
빅테크와 380MW급 2기 공급계약
개발기간 6년-1조 투자 끝에 쾌거
美-獨-日 점유율 98% 시장 뚫어
AI 데이터센터發 ‘전력수요’ 폭증… 韓기업 SMR-변전 등 공략 잰걸음
두산에너빌리티가 미국 빅테크 기업에 수출한 발전용 가스터빈.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두산에너빌리티가 가스터빈 종주국인 미국 시장에 국산 발전용 가스터빈을 수출한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이들 시설에 필수적인 전력 공급·송전 시설과 서버 냉각용 공조 시장에서 ‘수출길’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의 유명 빅테크 기업에 380MW급 대형 가스터빈 2기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3일 밝혔다. 2013년 개발을 시작해 개발 기간 6년 이상, 연구개발비 1조 원 이상을 투자한 결과물을 가스터빈 ‘종주국’인 미국에까지 수출한 것이다.

사실상 항공기 엔진과 같은 구조인 가스터빈 발전기 시장은 미국, 독일, 일본이 장악해 수출이 어려운 영역으로 꼽혀왔다. 제너럴일렉트릭(현 GE버노바)이 미국 시장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으로 봐도 GE와 독일 지멘스, 일본 미쓰비시중공업 등의 점유율이 전체 시장의 98%에 달한다.

하지만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한국에도 기회가 열리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총 470TWh 수준이었던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2030년까지 총 945TWh로 두 배가량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IEA는 “2030년 전력 수요 예상치는 해당 시점 전 세계 전력 수요의 3%를 차지하는 규모”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AI 데이터센터 관련 전체 전력 인프라 시장 규모도 같은 기간 202억 달러(약 28조8000억 원)에서 422억 달러(약 60조2000억 원)로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측은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데이터센터 특성상 가스터빈 발전기가 효율성 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다”며 “공급만큼이나 유지보수 서비스도 중요하니 미국 서비스 전문 자회사를 통해 신뢰를 계속 쌓아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스터빈 발전기 외에도 데이터센터용 소형모듈원전(SMR)이나 변전·변압기 시장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수력원자력, 미국 아마존·X-에너지 등의 기업과 데이터센터용 SMR 개발 및 시장 개척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 등도 미국 시장에 총 2000억여 원 규모의 765kV급 초고압 변압기 등 송전 인프라 공급 계약을 맺으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데이터센터 서버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관리하는 냉방공조(HVAC) 시장도 주목받고 있다. 처리하는 데이터양이 늘고 속도도 빨라지며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잡는 것이 AI 경쟁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과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올 5월 데이터센터 냉각 사업에 강점을 갖는 독일 플랙트그룹을 15억 유로(2조4800억 원)에 인수했다. LG전자도 조주완 사장이 3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과 만나 칠러(냉각기)를 공급하기로 했고, 지난달에는 사우디 데이터센터 업체와 냉각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LG전자와 SK이노베이션은 데이터센터 관련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맺기도 했다. LG전자의 냉각 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관리 솔루션, 배터리 기술 등을 결합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는 줄이면서 발열도 낮추는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원주 기자 takeoff@donga.com;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인기 뉴스

경영·경제 질문은 AI 비서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