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HBR Korea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온프레미스와 SaaS의 차이점

411호 (2025년 2월 Issue 2)

김우연
KAIST 화학과·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교수

김우연 교수는 POSTECH에서 화학과 물리를 전공하고 2009년 동 대학원에서 계산화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이론 물리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치고 2011년 KAIST 화학과에 부임해 AI 기반 신약개발 연구를 개척하고 있다. 2022~2024년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센터장을 지냈다. 다년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20년 ‘히츠’를 창업해 최신 AI 기술의 제약바이오 분야 보급에 힘쓰고 있다.
wooyounkaist@gmail.com
정리=김윤진
동아일보 기자
truth311@donga.com
온프레미스와 SaaS의 차이점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서비스 모델인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SaaS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엔비디아의 바이오니모와 히츠의 하이퍼랩(Hyper Lab)이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서비스다. [표 2]는 온프레미스 모델과 SaaS 모델의 차이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