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trategy

인간과 AI ‘부족한 부분의 협업’에 초점을

최병철 | 393호 (2024년 5월 Issue 2)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changing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 (2023) by Krakowski, S., Luger, J., & Raisch, S. i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44(6), 1425-1452.




GettyImages-1360044966_[변환됨]

무엇을, 왜 연구했나?

경영전략 분야 대표 이론인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view, RVB)에 따르면 기업은 독특한 자원의 조합과 활용을 기반으로 핵심 역량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창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인지능력은 기업에 중요한 자원 중 하나다. 구성원의 인지능력은 상황 분석 및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가치가 있고 이러한 능력은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친 훈련과 경험으로 형성되기에 희소성도 있다. 따라서 인간의 인지능력은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오랫동안 자리매김해왔다. 하지만 급격하게 발전된 AI 기술로 인해 인간의 인지능력이라는 자원을 바라보는 기업의 관점에 혼선이 발생하고 있고 새로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AI의 도입과 인간의 인지능력에 기반한 역량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는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된다.

가장 대표적인 논점은 과연 AI가 인간의 인지능력을 대체하는 자원인가 혹은 보완하는 자원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쟁의 근본 원인은 AI라는 자원의 독특한 특성과 인지능력이 경쟁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의 특수성에 기인한다. 먼저 AI가 인간의 인지능력을 대체한다는 관점을 살펴보자. 데이터의 분석에 기반한 AI가 더 빠른 분석값과 더 나은 예측값을 주는 것은 맞지만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에서 목표 설정 능력, 정무적 판단, 맥락에 대한 이해, 데이터의 선택 등 다양한 인간 고유의 능력은 여전히 커다란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 AI가 이러한 능력들을 모두 대체한다고 보기는 어렵고, 최소한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또한 흔히 어떤 자원이 대체된다면 새로운 자원은 기존 자원과 유사한 영역에 속해 있는, 더 우수한 자원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AI는 이러한 전통적인 관점에 해당한다고 보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비록 AI에 지능이라는 의미가 내포됐지만 AI는 본질적으로 인간과 같은 종 혹은 존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AI가 인간의 인지능력을 보완한다는 관점에도 역시 풀리지 않는 의문점은 있다. 보편적으로 인간 능력의 보완이라고 하는 것은 의도적인 취사선택을 통해 이뤄진다. 하지만 AI는 독립적인 자기학습(self- learning)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보완재의 핵심인 목적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에 근본적인 의문점을 남긴다.

가입하면 무료

  • 최병철bchoi@hufs.ac.kr

    한국외대 경영대학 경영전략 교수

    필자는 연세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오리건주 포틀랜드주립대에서 기술경영으로 석사를, 뉴욕주 런슬레어공과대학에서 기술혁신전략을 졸업 논문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창업지원단장을 맡고 있다. 주 연구 분야는 기업벤처링(corporate venturing)과 기술경영(technology management)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