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 Case Study: 마이리얼트립
Article at a Glance
가이드와 여행객을 직접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 마이리얼트립(My Real Trip)의 성공요인은?
① 소셜 시스템을 통한 직접적 연결로 유통단계를 줄이고 거래구조를 투명화해 참여하는 주체들이 윈윈할 수 있도록 새로운 사업 모델 구축
② 가이드와 여행객 모두 제공해야 할 것과 제공받을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공유함으로써 유휴자원 감축 및 자원의 활용도 제고
③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 관리 |
편집자주
스타트업은 자본이나 인력, 조직과 기술 등 모든 면에서 먼저 시장에 진입한 경쟁자들보다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열세의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경쟁력이 필수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치열하게 분투하고 있는 한국 스타트업들의 사례를 연재합니다. 스타트업 특유의 다양하고 혁신적인 생존 전략들을 배워 가시기 바랍니다.
이 원고는 작성자의 저서 <한국의 스타트업 부자들, 이콘출판, 2015>의 내용을 바탕으로 최근 현황이 덧붙여져 작성됐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 심신이 지친 현대인들은 현재 삶에서 잠시 벗어난 시간, 즉 여행을 갈망한다. 어떤 이에게는 찰나의 휴식이, 다른 이에게는 새로운 도전이, 또 다른 이에게는 일탈이 되는 시간이다. 여행에 대한 욕구는 국민소득 증가 및 산업화의 가속화와 맞물려 해외 여행객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졌다. 여기에 여행업계의 가격 경쟁으로 해외 여행비가 예전보다 저렴해진 덕분에 해외여행자 수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해외 여행객의 증가에 비례해 여행 서비스에 대한 불만도 늘고 있다. 특히 패키지 여행에서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많은 여행객을 모집해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여행사의 꼼수에서 비롯된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여행객들은 원치 않는 쇼핑센터를 방문해 끊임없는 호객행위를 겪어야 하고, 불필요한 옵션을 울며 겨자 먹기로 선택해야 하며, 먹기 싫은 음식을 강제로 먹어야 한다. 이런 폐해들은 큰 맘 먹고 떠난 여행을 망쳐버리기 일쑤다.
몇몇 대표 관광지를 수박 겉핥기식으로 다녀오고 쇼핑센터를 강제로 돌아봐야 하는 패키지여행은 점차 ‘불만족스러운 여행’과 동일어가 돼가는 추세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여행사의 해외여행 패키지 상품에 대한 만족률은 57.2%로, 전체 해외여행 만족률인 68.4%에 비해 낮은 편이다. 전체 여행자 중 패키지상품을 구입하는 여행자 비중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해외 패키지여행이 이처럼 여행객들에게 좋지 않은 인상을 주는 것은 여행상품의 유통구조에 그 원인을 둔다. 해외 패키지여행은 대부분 <그림 1>과 같은 구조로 이뤄져 있다.
가령 해피여행사 충무로점에서 여행자에게 홍콩 패키지여행 상품을 팔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해피여행사는 홍콩 현지에 있는 에이전시에 언제, 몇 명이 갈 테니 가이드를 준비해달라고 연락한다. 현지 에이전시는 소속 가이드에게 이 여행 건을 전달한다. 여행사와 가이드 사이에 있는 현지 에이전시는 현지 여행사, 일명 ‘랜드사’라고 불리는데 패키지여행 상품을 기획하는 주체 역시 이들 랜드사다. 랜드사는 항공권을 제외한 현지 진행비용(숙박, 식사, 가이드, 입장료 등)과 일정을 계획하고 현지 가이드를 고용해 여행상품을 만들어 한국 여행사에 납품한다. 한국 여행사는 각 대리점을 통해 이 상품을 이용할 여행객을 모집한다. 따라서 각각 다른 여행사의 해외 패키지상품이라도 동일한 랜드사에서 기획한 유사 상품일 수 있다. 여행상품 시장은 특히 가격 경쟁이 치열하므로 갑의 입장인 대형 여행사가 저가 압박을 가하면 랜드사는 어쩔 수 없이 가격을 낮춰 상품을 기획한다. 그 비용을 상쇄하고 수익을 내고자 여행객에게 쇼핑을 유도하거나 강제 옵션을 선택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