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Wise View: 방찬영 키멥대 총장 인터뷰

“부패한 나라일수록 비리 찾는 능력도 발달 오히려 투명성과 직원 교육으로 승부하라”

이방실 | 133호 (2013년 7월 Issue 2)

 

 

중앙아시아 최초의 서구식 대학인 카자흐스탄의 키멥대(KIMEP University) 총장 방찬영. 웬만한 카자흐스탄 국민들이라면 다 아는 한국계 미국인이다. 방 총장은 과거 미국 샌프란시스코대에서 공산주의 경제를 가르치던 경제학자였다. 샌프란시스코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장을 겸임하며 구소련 개방 및 개혁에 대한 자문을 하던 그는 1989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 첫 인연을 맺는다. 이후 1991년 카자흐스탄 대통령 경제 담당 특보를 맡으며 구소련에서 독립한 이 나라를 시장경제체제로 전환시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특히 진정한 경제 개혁을 위해선 교육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보고 1992년 카자흐스탄경영경제전략대학(Kazakhstan Institute of Management Economics and Strategic Research, 현 키멥대) 설립에 앞장섰다. 이후 1997년 공개입찰을 통해 학교를 인수했고 2002년엔 국립대에서 사립대로 전환시켰다.

 

현재 키멥대는 카자흐스탄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최고 명문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러시아가 공용어인 카자흐스탄에서 모든 수업을 영어로 진행한다. 지금까지 배출한 졸업생 수는 약 8000. 졸업생들의 6개월 내 취업률은 무려 90%가 넘는다. 대부분 P&G, 언스트앤영 등 카자흐스탄에 진출해 있는 다국적 기업에 취직해 카자흐스탄의 시장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웬만한 서구 명문 대학에 버금가는 높은 학비( 8000달러)로 카자흐스탄 일각에선귀족 학교라고까지 불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몰려든다.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국회에서 연설을 할 때왜 국립대학에 엄청난 돈을 투자하는데 키멥처럼 높은 취업률을 달성하지 못하는가라고 질책을 할 정도다. 사회 지도층 재능기부 단체인 ㈔창조와혁신의 공동대표이기도 한 방찬영 총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소개한다.

 

 

 

구소련 시절의 공산주의 잔재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서구식 대학을 운영하는 게 쉽지 않았을 것 같다. 키멥대가 지금과 같은 명성을 얻을 수 있었던 비결이 궁금하다.

 

투명성을 지키려고 끊임없이 노력한 게 주효했다고 본다. 설립할 때부터 그저 그런 대학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는 위대한 대학을 목표로 잡았다. 이런 꿈을 실현하려면 가장 먼저 전 세계에서 뛰어난 교수들을 영입해야 한다. 그러려면 높은 보수를 주고 실력에 응당한 대우를 해 줘야 한다. 당연히 학비를 높게 받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비를 많이 내는 걸 좋아할 학생들은 없다. 이들을 설득해야만 했다.

 

그래서 키멥대는 대학에서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 결정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킨다. 예산위원회 구성 시 30%의 투표권을 학생 대표들에게 준다.왜 그렇게 높은 등록금을 내야만 하는지에 대해 학생들에게 속속들이 공개한다. 최상의 교육을 받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치러야 할 비용이라는 점도 설득한다. 물론 쉽지는 않다. 어떨 때는 반나절 내내 학생들과 토론해야 한다. 하지만 서로 바라보는 방향이 같고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하며 설득해 나가면 합의를 도출해낼 수 있다. 지난해 키멥대 1년 평균 학비는 7500달러였고 올해는 8000달러가 좀 넘는다. 카자흐스탄의 경제 규모를 고려했을 때 상당히 비싼 액수다. 하지만 학생들이 모두 수긍해 등록금 인상에 동의했다. 이는 등록금 인상이라는 최종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거쳐야 하는 중간 의사 결정 과정에 학생들을 동참시켰기 때문이다.

 

학교 경영이나 기업 경영이나 조직을 관리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똑같다고 본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투명 경영을 이야기할 때 결과만 공개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큰 착각이다. 진정한 투명성은 조직 내 의사 결정 과정의 모든 단계에 구성원들을 참여시켜 의견을 공유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일련의 의사 결정 과정 속에서 각 단계마다 나오는 정보를 공유하고 그로 인해 그런 결정을 하는 사람들이 함께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게 바로 투명 경영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선 조직 구성원 간 두터운 신뢰 관계가 먼저 구축돼 있어야 한다. 노사 간의 갈등은 대부분 양자 간 신뢰가 부족하고 그로 인해 제대로 된 투명 경영을 실천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왜 그렇게 높은 등록금을 받아야 하는지, 왜 등록금을 10%씩 인상해야 하는지, 그런 과정에 대한 정보 공유와 명확한 설명 없이 경영진끼리 모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일방적으로 결과를 통보하는 수준에서 그쳐서는 안 된다.

 

투명 경영이 개도국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에 특히 중요하다고 보나?

그렇게 볼 수 있다. 물론 어떤 상황에서도 투명 경영은 중요하다. 하지만 카자흐스탄 같은 개도국에서 외국 기업이 들어와 비리를 저지르면 문제가 정말 많이 생긴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공산주의 잔재가 아직도 남아 있다. 그래서 사업을 하려면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마다 공무원들이 뇌물을 요구하는 게 관례로 돼 있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이에 제대로 대처하는 방법을 잘 몰라 비자금을 조성해 뇌물을 주다가 결국 큰 화를 입곤 한다.

 

개도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 중 상당수는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고 했다면서 공무원들에게 사업 인허가를 받아내기 위해 뇌물을 주는 게 당연하고 이를 위해 비자금 조성은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건 큰 잘못이다. 로마에서 로마법을 따르라는 건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라는 의미이지 법을 어겨가며 옳지 않은 일을 해도 된다는 말이 아니다.비자금 조성은 그 어떤 경우에라도 피해야 한다. 최근 한국에서 모 대기업 ceo가 비자금을 조성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아 유감이다. 경영자라면 모름지기 정직하고 청렴한 경영을 통해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더 나아가 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에선 회사의 번영과 직원 복지를 위해 쓸 돈을 훔쳐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재벌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 같아 유감이다. 매우 비극적인 일이다. 이래서는 세계적인 기업이 될 수 없다.

 

물론 개도국에서 사업을 하다 보면 공무원의 허가가 필요하므로 일정 금액의 사례를 안 할 수 없는 상황도 있다. 그렇더라도 합법적인 방식을 취해야지 비자금을 조성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개도국 현지에 있는 로비 회사에 컨설팅 비용 등으로 합법적 용역 계약을 맺고 그 용역 회사에 대관 업무 전체를 맡기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사회 문화적 특성상 공무원들에게 촌지를 줘야만 비즈니스가 이뤄지는 구조라도 법의 테두리 안에서 움직여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비리가 만연한 국가일수록 그 비리를 찾아내는 일에도 귀신 같은 능력을 발휘하는 법이다. 법의 테두리를 벗어난 방식으로 정부에 뇌물을 주게 되면 어느 시점에서부턴가 집중 감리 대상이 되고 결국 나중에는 그 비리가 족쇄로 작용한다. 돈은 돈대로 주고 화는 화대로 입는 꼴이다.

 

 

가입하면 무료

  • 이방실

    이방실smile@donga.com

    - (현)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기자 (MBA/공학박사)
    - 전 올리버와이만 컨설턴트 (어소시에이트)
    - 전 한국경제신문 기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