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Column
매년 1월 전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는 전 세계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탈바꿈한다. CES 2025 역시 엔비디아가 ‘물리적 AI(physical AI)’ 시대의 도래를 천명하는 등 미래 기술의 발전상을 내다볼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특히 올해에는 ‘쇼의 도시’라는 라스베이거스의 수식어에 걸맞게 굵직한 초대형 이벤트들이 사람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8년 만에 CES 기조 연사로 선다는 소식에 1만 명 넘는 인파가 몰렸고 델타항공은 창사 100주년을 기념해 CES 최초로 라스베이거스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은 스피어에서 기조연설 행사를 열었다.
필자 역시 그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하기 위해 숨 가쁘게 달렸다. 엔비디아와 델타항공의 기조연설을 직접 관람하기 위해 1시간씩 줄을 서거나 입장 티켓을 구하러 전시관의 1층부터 5층까지 뛰어가기도 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행사와 전시를 살펴보다 문득 한 가지 생각이 들었다. 입이 떡 벌어지게 만드는 최첨단 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으로 큰 의미가 있을까? 무릇 조직을 이끄는 리더라면 기술의 흐름이 어디로 흐를지를 아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연결(Connect)하고, 해결(Solve)하고, 발견(Discover)하라’는 CES 2025의 모토처럼 기술과 사람을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선 결국 리더의 전략적 판단과 리더십이 꼭 필요하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