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uilding the supply chain of future

민첩한 공급망, 글로벌 리스크를 없앤다

요게시 말릭 | 75호 (2011년 2월 Issue 2)

글로벌 공급망(supply chain)을 새로운 시대에 맞게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기업들이 많다. 대부분 중국 등 저비용 국가의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해 안정된 물량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초점을 두어 공급망을 설계했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는 소기의 목적을 잘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기업 환경에서는 생산기지의 상대적 매력도가 끊임없이 뒤바뀌며 저비용 대량생산 능력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과거의 표준적 접근법만 고집하면 매우 큰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글로벌 불확실성과 비즈니스 복잡성이 높아지면서 이런 변화는 예상보다 더 빨리 다가올 수 있다. 현재 기업들이 겪는 주요 문제들(교역 및 자본흐름의 큰 변동성 등) 중 일부는 공급망 차원의 고질적 문제들이 최근의 경기침체로 더욱 심화된 데 따른 것이다. 반면, 개도국 시장에서 부(富)가 증대하고 신뢰할 만한 공급업체들이 등장하면서 향후 수십 년간 공급망 전반에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제조 및 공급망 전략을 수립하는 사람들에게 통제불능 요인으로 의사결정 리스크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일부 선도 기업들은 이에 대해 두 가지 방식으로 공급망을 재정비하고 있다. 첫째, 기존 공급망을 ‘분할(splintering)’해서 고도의 복잡성을 관리할 수 있는 작고 민첩한 형태로 재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향후 전개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생산기지 재편을 통해 공급망 자체를 불확실성에 대한 헤징(hedging) 방안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런 사례들은 미래를 위한 공급망 재편 방안을 고민하는 많은 기업들에 귀중한 시사점과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중의 장애물
이는 기업의 사활이 걸린 매우 중대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 건설장비업체 캐터필러사의 짐 오웬스 전 회장(CEO)은 “건설장비산업의 미래를 이끌 승자는 공급망 관리를 가장 잘하는 기업”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공급망 관리가 성공의 조건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대다수 글로벌 기업들의 기존 공급망은 불확실성 및 복잡성의 증대로 요약되는 새로운 기업환경에서 제대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불확실성의 고조
맥킨지가 전 세계 경영진들을 대상으로 최근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 5년 후 공급망 리스크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전체의 68%로 집계됐다.1  이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결과다. 2008년 금융위기로 세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및 경기침체의 깊이와 기간에 대한 대대적 우려가 확산됐고, 교역과 자본흐름 및 환율 등 경제 내부에 상존하는 요인들로 공급망의 불확실성 역시 더욱 증폭됐기 때문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상존해온 불확실성 요인들로 결코 새로운 요소들은 아니다. 다만, 이로 인해 초래될 장기적인 변화는 글로벌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회복한 후에도 오랫동안 기업들의 공급망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신흥경제국(emerging market)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신흥경제국의 경제 성장은 향후 10년간 글로벌 에너지 소비를 약 3분의 1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 철광석과 농산물 등 원자재에 대한 중국 및 기타 개발도상국의 수요 급증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을 끌어올려서 공급망 자산 재편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경규제의 범위 및 방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의 증폭과 함께 기타 환경 관련 우려 역시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장기적 추세는 다른 불확실성 요인들을 연쇄적으로 촉발시키며 그 여파를 증폭시킨다. 예를 들어, 신흥경제국의 경제성장은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 및 선진국의 보호주의 선회를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신흥경제국 간 성장률 편차는 임금 인상률의 차이로 생산기지의 상대적 매력도가 신속하게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지난 여름 발생한 노사분쟁과 노동자들의 잇단 자살사건으로 일부 도시의 임금수준이 하룻밤 사이에 20% 이상 인상됐었다. 방글라데시와 캄보디아, 베트남 역시 비슷한 임금 관련 파업을 겪었다.2  마지막으로, 신흥경제국 내 신뢰할 수 있는 공급업체들이 더욱 많이 등장하면서 저비용 소싱 국가를 결정하는 문제 역시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