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숨은 경영 찾기

‘혁신 강박증’과 노자 리더십

안병민 | 234호 (2017년 10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뒤처져서는 안 된다는 불안감 때문에 각종 강의를 쫓아다니는 직장인들이 적지 않다. 기업도 마찬가지다.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는 초조함 때문에 허둥지둥 변화를 재촉하는, 이른바 ‘혁신 중독’에 빠진 기업들이 상당수다. 굴지의 글로벌 기업 레고도 혁신의 덫에 걸렸었다. 아이들이 게임기에 빠져 블록에 시들해지자 각종 디지털 콘텐츠 사업에 진출하고, 레고 랜드를 만들고, 수많은 사업에 손을 뻗쳤다. 하지만 정작 ‘레고다움’을 잃어버리며 외면받았고 블록이라는 기본에 집중하면서야 되살아날 수 있었다. 허둥지둥 쫓기듯 행하는 혁신은 성공할 수 없다. ‘왜’ ‘무엇’을 바꿔야 하는지를 알고, 나와 우리가 혁신이 주인이 돼야 한다.
 

편집자주

먼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찾아오는 손님들로 문턱이 닳는 지방 맛집, 오랜 시간 변함없이 단골들의 사랑을 받는 작은 동네 가게, 사람들의 사랑을 받은 각종 콘텐츠에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경영의 지혜’가 숨어 있습니다. 안병민 열린비즈랩 대표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경영의 지혜를 쉽게 풀어내는 ‘숨은 경영 찾기’를 연재합니다.


내가 아는 ‘준호 씨’는 참 부지런합니다. 새벽마다 진행되는 독서모임 참석은 기본입니다. 지금껏 사서 읽은 책도 어마어마합니다. 여기저기서 열리는 수많은 강의도 수소문해서 찾아다닙니다. 소셜미디어 타임라인 속 그는 누가 봐도 입이 떡 벌어지는, 자기계발에 관한 한 엄청난 열정의 소유자입니다. 하지만 뭔가 이상합니다. 그런 노력을 통해 그의 삶이 나아지는 듯한 느낌은 별로 없습니다. 늘 ‘자기혁신’을 실천하고 다니지만 그는 여전히 불안합니다. 자기계발 책을 읽고 동기부여 강의를 들어야만 잠시나마 마음이 놓입니다. 안 그러면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불안감에 잠을 이룰 수가 없습니다. 안타깝지만 이건 중독입니다. 이른바 ‘자기계발 중독’입니다.

술이나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해 그것이 없이는 생활이나 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 중독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자기계발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 시작은 좋습니다. 하지만 자기계발의 과정에서 어느덧 ‘나’는 사라집니다. 자기계발 ‘주체’로서의 나는 없어지고 ‘객체’로서의 나만 남는 겁니다. 그러니 자기계발을 왜 해야 하는지, 무얼 위해 하는 건지 그 이유는 잊고 그저 스스로를 채찍질합니다. 날을 벼릴 생각은 않고 죽어라 도끼질만 하는 꼴이니 결과는 뻔합니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픈 아귀마냥 오늘도 준호 씨는 자기계발을 위해 학습현장을 좀비처럼 찾아다닙니다. 중독의 폐해입니다.

20230620_114541


그런데 한번 생각해 볼 것은 이런 자기계발 중독이 비단 개인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겁니다. 기업도 똑같습니다. 요즘 같은 혁명적 변화의 시기에 더욱 두드러지는 현상이 다름 아닌 ‘혁신 중독’입니다. 혁신 중독은 ‘역량파괴적 환경변화(competence-destroying change, 1등 기업조차도 사라지게 할 정도로 사업 환경이 바뀌는 것)’의 부산물입니다. 디지털카메라 때문에 카메라 필름이 사라지듯 내가 갖고 있는 나만의 차별적 강점이 순식간에 무용지물이 돼 버립니다. 푸드 프린터(Food Printer)를 만드는 IT 기업이 순식간에 식품기업의 경쟁자로 부상합니다. ‘천지개벽(天地開闢)’급의 변화들이 상시화하니 기업들의 마음이 바쁘기 그지없습니다. 변해야 산다는,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는 초조감 때문에 스스로를 재촉합니다. 혁신 중독이 나타나는 배경입니다.

그런 면에서 레고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레고는 1932년 설립된 덴마크 기업으로 작년 매출이 6조2000억 원, 영업이익이 2조 원에 달합니다. 이런 굴지의 기업에도 위기의 순간이 있었습니다. 레고 블록의 특허가 만료되고 IT 게임기가 늘어나면서 레고에 대한 아이들의 관심이 시들해지던 1990년대가 바로 그때였습니다. 레고는 즉각 변화에 몰두했습니다. 더 이상 플라스틱 벽돌조각에 기업의 미래를 맡길 수 없다고 생각했던 이 회사는 다른 사업으로 눈을 돌렸습니다. TV 프로그램과 영화 제작 등 디지털 콘텐츠 사업에 진출하고 옷과 인형, 시계도 만듭니다. 디즈니랜드를 벤치마킹한 ‘레고 랜드’도 이때 문을 엽니다. 짧은 기간 동안 레고는 수많은 사업에 새롭게 진출했습니다.

레고는 이걸 ‘혁신’이라 믿었습니다. 하지만 아니었습니다. 그건 강박이었고 결과는 악몽이었습니다. 레고의 혁신 강박 때문에 ‘레고다움’은 오히려 사라졌고 고객의 싸늘한 외면은 가속화됐습니다. 레고를 다시 일으킨 건 혁신이 아니었습니다. 반대로 혁신 중독에서 벗어나 블록이라는 기본으로 돌아가면서 되살아날 수 있었습니다. 왜 바뀌어야 하는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냉철한 밑그림 없이 남들이 바꾸니 우리도 바꾼다는 건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따라 뛰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레고는 혁신이란 미명하에 목적지 없는 열차에 허둥지둥 몸을 실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던져줍니다.

강박에 의한 채찍질로 이뤄지는 혁신은 우리를 지치게만 할 뿐입니다. 혁신은 ‘바꾸라, 바꾸라’ 지시하고 명령하며 다그친다고 되는 게 아닙니다. 위가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혁신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전제는 말랑말랑한 조직문화입니다. 여기에 변화를 품어 안는 리더의 유연함이 필요합니다. 모든 걸 자기 생각과 경험의 틀로 판단하려는, 생각이 굳어버린 리더는 혁신의 걸림돌입니다.

노자의 가르침은 혁신 리더에게 영감을 제공합니다. 노자는 ‘무위(無爲)’를 설파했습니다. 무위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게 아닙니다. 무위는 특정 가치에 의한 판단과 기준을 모두 걷어내고 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세상을 ‘봐야 하는 대로’ 보지 말고 ‘보이는 대로’ 보라는, 비움과 내려놓음의 가르침입니다. 세상을 어떤 특정한 개념과 가치에 사로잡혀서 보게 되면 사고의 유연성은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아무런 편견 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봐야 모든 걸 포용할 수 있습니다. 혁신도 그렇습니다. 강박적으로 뭔가를 바꾸는 게 혁신이 아닙니다. 세상의 변화를 주체적으로 품어 안아 물 흐르듯 조화를 만들어 가는 겁니다. 가만있으면 안 될 것 같아서,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아서 쫓기듯 행하는 혁신은 성공하기 힘듭니다.

단지 많은 책을 읽고 다양한 강의를 듣는다고 성장하는 건 아닙니다. 기계적 수용이 아니라 비판적 되새김질이 필요합니다. 안 그러면 혁신의 물결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는 낙엽 신세에 그칠 뿐입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직을 개편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 신규 사업을 벌이는 게 능사가 아닙니다. 벤치마킹의 유효기간은 끝났습니다. 나와 우리가 혁신의 주인이어야 합니다.

“그만 배워라. 배우는 목적이 뭔가. 결국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배우는 데만 집중하면 거기에 빠져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거세돼 버린다. 평생 남의 생각을 읽고, 남의 똥 치우다 가는 거다.”

‘시대가 변화했음에도 자신들이 성공해온 방식을 답습하는 활동적 타성’에 젖어 오늘도 ‘혁신, 혁신’ 영혼 없는 구호만 외치고 있는 수많은 기업 현장에서 곱씹어 봐야 할 서강대 최진석 교수의 일갈입니다.   


안병민 열린비즈랩 대표 facebook.com/minoppa

안병민 대표는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헬싱키경제대학원 MBA를 마쳤다. 열린비즈랩 대표로 경영마케팅 연구·강의 및 자문,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마케팅 리스타트', '경영일탈 정답은 많다', 감수서로 '샤오미처럼'이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