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러시아에서도 빛난 히딩크 리더십

최성욱 | 14호 (2008년 8월 Issue 1)
“모스크바에서 아침에 수돗물을 틀면 10분 이상 갈색 물이 쏟아진다. 이런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나는 2012년까지 러시아 축구 재건을 위한 대표팀 총감독으로 일할 것이다.”
 
거스 히딩크 러시아 대표팀 감독이 2006년 10월 러시아 생활을 시작했을 때 네덜란드 축구 전문지 ‘풋발 인터내셔날’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이다.
 
히딩크 감독은 잘 알고 있었다. 이전에 러시아로 건너와 제대로 성공한 지도자나 축구선수가 거의 없었다는 사실을. 아직도 문제투성이인 열악한 생활 환경에 추운 날씨, 자존심 강한 러시아인들의 심한 텃세까지…. 하지만 그는 굴하지 않았다. 인내와 노력으로 러시아에서 보낸 1년 8개월의 시간은 그가 러시아 축구의 페레스트로이카(개혁)를 이루는 데 충분했다. 그는 2008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 약체로 평가받던 러시아 팀을 일약 4강에 올려놓으며 또다시 전 세계 축구팬들의 뜨거운 주목을 받았다. 러시아는 비록 준결승전에서 우승팀 스페인에 패해 아쉽게 결승 진출이 좌절되긴 했지만 그가 맨땅에서 일궈낸 유럽선수권대회 4강 달성은 신화로 불리기에 충분하다.
 
무명의 팀 변신시키는 ‘히딩크 매직’
러시아 대표팀엔 그 ‘흔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나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에서 뛰는 선수가 단 한 명도 없다. 당연히 모든 러시아 선수는 유로 2008과 같은 큰 국제무대에서 뛴 것이 이번이 처음이다.
 
히딩크 감독이 무명의 팀을 세계의 정상권으로 올려놓은 것은 이번이 꼭 네 번째다. 먼저 그는 2002 월드컵에서 한국팀을 4강에 올려놓았다. 그 후 고국 네덜란드로 돌아가 에인트호벤을 리그 우승으로 이끈 데 이어 2004년엔 챔피언스리그 4강에 오르게 했다. 이듬해 호주 사령탑에 오른 그는 호주의 월드컵 예선 통과를 이끌어 냈고, 본선 무대에서도 호주를 16강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이번 유로 2008에서 러시아를 이끌고 다시 한 번 돌풍을 일으킨 것이다.
 
축구 감독으로서 한 번도 하기 힘든 이 같은 기적 같은 일을 네 번이나, 그것도 시행착오 없이 연속으로 달성한 것을 보면 절로 ‘마법’이란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어떻게 감독 한 명이 11명이 뛰는 팀을 저토록 바꿔놓을 수 있을까. 그 답은 리더십(leadership)에 있다. 히딩크 감독의 리더십을 잘 뜯어보면 “정말 대단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리더가 어떻게 준비하고 팀을 이끌어야 구체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지를 모범답안처럼 잘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서구에서는 축구 등 스포츠에서 기업 경영의 시사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기업도 크게 보면 하나의 ‘팀’이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히딩크 리더십은 오늘날의 기업 경영자와 관리자에게도 다음과 같은 여러 시사점을 전해 준다.
 
모험과 도전의 리더십
변화하지 않고 도전하지 않는 자는 살아남기 힘들다. 시시각각 변화를 거듭하는 글로벌 시대에 과거의 영광만 곱씹은 채 현실에 안주한다면 더 이상 경쟁력은 없다. 이것은 기업에나, 축구 감독에게나 마찬가지이다.
 
히딩크 감독이 러시아를 택한 것은 현실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는 러시아행를 택하기 이전에 이미 충분한 부와 명예를 얻었다. 한국대표팀·네덜란드클럽·호주대표팀을 거치며 두둑한 연봉과 성과급을 챙겼다. 당시 이미 나이도 예순이나 됐다. 하지만 그는 과감히 러시아행 비행기에 올랐다. 러시아에서 실패한다면 그 이전에 쌓은 명예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위험을 알고 있었지만, 현실 안주보다 모험과 도전을 택한 것이다.
 
러시아는 축구인의 무덤과도 같은 곳. 수많은 스타급 선수와 지도자가 오고갔지만 대부분 적응에 실패한 채 중도포기하고 귀국했다. 게다가 러시아 축구계는 텃세가 심하기로 유명하다. 외국인에게 국가대표 감독직을 내준 것은 히딩크 감독이 처음이었다. 이런 것을 모를 리 없는 히딩크였다. 하지만 그는 할 수 있다는 확신과 신념이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히딩크 감독은 다시 한 번 큰일을 해냈다.
 
히딩크 감독은 자신은 물론 팀 운영에 있어서도 도전과 모험, 원대한 목표를 중시한다. 그는 한국에서 대표팀을 지휘할 때 일부 나태한 선수들을 향해 “작은 성공에 만족하고 만다”라고 질책했다. 또 2002 월드컵 때 16강 진출에 만족해하는 한국선수들과 국민을 향해 “나는 아직도 배가 고프다”며 8강, 나아가 4강까지 노리고 있다는 야심을 내보이기도 했다.
 
이것은 조직을 이끌어가는 리더의 도전적 목표 설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보여 주는 사례다. 또한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목표(stretch goal)를 추구해야 혁신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기업 경영의 교훈을 다시 한 번 되새기게 해준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