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에서 배우는 소통경영
세종은 신하들과 토론을 즐겼다. 임금과 신하가 책을 읽고 국정운영을 토론하는 자리인 경연(經筵)에 월 평균 6번이나 참석했다. 그는 국정운영과 관련해서 매서운 비판과 질책을 해달라고 신하들에게 청하기도 했다. 소통과 관련해서 세종에게 배워야 할 점은 크게 두 가지다. 세종은 왕의 국정운영 스타일 등 신하들이 자신에게 불편한 주제를 가지고 토론할 때도 이를 거부하거나 제지하지 않았다. 묵묵히 듣고만 있었다. 또 신하들에게는 어떤 의견이든 제시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었다. 기업에서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CEO가 언로를 독점하기 때문이다. 또 직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쉽게 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임직원의 창의성이 발현되고 이를 발판으로 기업이 성장하려면 자유롭게 소통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
집단적 지혜를 모으는 방법으로 토론만한 것이 있을까? 아시다시피 토론은 상대가 있고, 상대의 동의를 얻고 반박을 받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때 진리는 없으며 절대적인 진리라도 회의의 대상이다. 이런 점이 토론의 묘미다. 토론은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의 상징이다. 지위와 나이에 관계없이 상대가 도덕적 인격을 갖췄다고 여기고 토론한다. 그래서 토론 과정에서 흥분하거나 인신공격을 하면 감점을 받거나 제지를 당한다. 토론의 정신을 위배했기 때문이다. 물론 토론이 유익해도 조직에서 의사결정을 내릴 때마다 사용할 수는 없다. 시간이 걸리고 번거롭다. 또 국내 조직문화는 토론에 익숙하지 않다. 마음처럼 쉽지 않다. 그러나 개인이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보다 집단의 의사결정이 훨씬 효율적이다. 다양한 정보를 얻고 다각도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중요한 프로젝트일수록 더 긴요한 게 토론이다. <유토피아>를 쓴 토머스 모어는 유토피아인이 중요한 정책을 결정할 때 ‘3일 토론’이라는 제도를 활용한다고 했다. 정책의 잘잘못을 따지기 위해 3일 동안 토론하고 이후 결정한다. 3일이라는 시간의 여과장치를 통해 정책의 불량률을 낮추고 구성원을 합의하도록 만들어서 수용도와 응집력을 높인다는 게 유토피아인의 아이디어다.
세종은 경연의 모범생… 월 6회 참석
토론을 국정운영에 적극 도입한 임금이 조선의 4대 왕인 세종이다. 신하들은 그를 ‘토론을 즐긴[樂於討論] 군주’라고 불렀다. 얼마나 토론을 자주 했으면 이런 말이 나왔을까? 세종은 임금과 신하들이 책을 읽고 국정운영을 토론하는 경연(經筵)에 1900여 회나 참석했다. 월평균 6회가량이다. 한마디로 경연의 모범생이다. <세종실록>은 역대 임금의 실록보다 분량이 많다. 분량이 많은 이유는 세종 재임기간이 32년이나 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전회의에서 신하들과 토론하고 의사를 결정한 내용이 <세종실록>에 상세하게 담겨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세종실록>은 경영인들이 반드시 살펴봐야 할 필독서다.
세종의 어전회의는 조선의 역대 임금들과는 많이 다르다. 거리낌 없는 말이 오가며 직설적이고 자유롭다. 세종 7년 12월8일의 <세종실록> 기사는 이 점을 잘 보여준다. 가뭄과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곤궁한 처지에 빠지자 세종은 의정부와 육조의 여러 신하들에게 “허물은 실로 과인(寡人)에게 있으니 재앙이 올 징조가 아닌지 두렵다”며 간언(諫言)을 청한다. 여기에서 간언은 매서운 비판과 질책을 뜻한다. 세종은 “비록 태평한 시대에도 대신(大臣)은 오히려 임금의 옷을 붙잡고 강력하게 간언(諫言)하여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는데 하물며 무사하고 평안한 이때에 아직 과감(果敢)한 말로 면전에서 쟁간(爭諫)하는 자가 없고 심지어 말하는 것이 매우 절실 강직하지 않다. 어째서 지금 사람은 옛사람 같지 못한가”라고 한탄하며 신하들의 자유로운 비판과 대안을 촉구했다.
세종은 큰 재앙을 당할 때마다 모든 책임을 자신의 탓으로 돌렸다. 일이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말했고 자신의 실책과 정치의 잘못을 지적해달고 주문한다. 특히 사안이 절실하면 할수록 물러서지 말고 강직하게 끝까지 뜻을 관철하라고 엄중한 목소리로 부탁했다. 세종의 마음가짐은 즉위할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세종은 신하들과 처음 대면한 자리에서 “내가 인물을 잘 알지 못 한다”고 겸손하게 말한 뒤 “좌의정·우의정과 이조·병조의 당상관(堂上官)과 함께 의논해 벼슬을 제수[同議除授]하겠다”고 밝혔다. 국정을 독단적으로 운영하지 않고 의논하겠다는 협치(協治), 청정(聽政)을 선언했다.
다섯 달 뒤 세종의 ‘듣는 정치’를 잘 볼 수 있는 장면이 연출된다. 바로 세종 1년 1월11일에 열린 토론이다. 이날은 새해를 맞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때라 왕과 대신들이 편전에서 정사를 논의한 뒤 자연스럽게 술자리를 가졌다. 술잔이 여러 순배 돌자 중국 황제를 알현하고 돌아온 노대신 참찬 김점이 먼저 입을 열었다. 젊은 임금을 향해 넌지시 자신의 뜻을 전하는 형식이었지만 은근히 마음을 떠보는 수작일 수도 있다. 또 그는 젊은 임금에게 한 수를 가르치려는 마음도 없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