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경영
편집자주
전쟁은 역사가 만들어낸 비극입니다. 그러나 전쟁은 인간의 극한 능력과 지혜를 시험하며 조직과 기술 발전을 가져온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전쟁과 한국사를 연구해온 임용한 박사가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 코너를 통해 리더십과 조직 운영, 인사 관리, 전략 등과 관련한 생생한 역사의 지혜를 만나기 바랍니다.
리더십의 대표적인 두 형태로 카리스마형과 덕장형을 꼽을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태평양은 이 두 리더십의 완벽한 모델에 의해 양분됐다. 미국 정부는 동경 159도를 기준으로 서쪽은 육군 원수인 더글라스 맥아더에게, 동쪽은 해군 제독인 체스터 니미츠에게 각각 지휘권을 맡겼다.
이렇게 된 이유는 미군의 독특한 군사제도 때문이었다. 흔히 군대를 육/해/공 삼군으로 분류하지만 미국 군대는 구조가 좀 다르다. 특히 해군은 우리가 아는 함선을 모는 해군, 공군에 해당하는 해군 항공대, 육군에 해당하는 해병대까지 소유해서 사실상 육해공군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덕분에 육군과 해군의 대립은 전설적이다. 육해군의 연합작전은 거의 두 나라 군대의 연합작전 수준이다. 지금도 암호체계가 다르다. 이런 상황에서 태평양전쟁을 승리로 이끈 건 기적이라고밖에 할 수가 없다. 물론 해군에서는 카리스마 덩어리인 맥아더와 달리 조용하면서도 화합의 리더십을 보여준 니미츠 제독의 공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의 진실 여부를 떠나 두 사람이 정말 모든 점에서 달랐던 건 사실이다.
‘아메리칸 시저’라는 별명이 딱 어울리는 맥아더는 시저도 무색할 정도로 강한 카리스마를 보유하고 있었다. 고집불통에다 자신을 신처럼 받들게 한다는 악소문이 쉴 새 없이 돌아다녔지만 그런 소문으로 선입견을 갖고 있던 이들조차도 일단 맥아더를 만나면 그를 인정하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흡입되곤 했다. 그 비결은 누구도 정확히 묘사하지 못했지만 하여간 맥아더에겐 신비스러운 능력이 있었다. 인천상륙작전을 논의할 때 해군 지휘관들은 거의 결사 수준으로 반대했다. 최종 회의에서 해군 측 인사들은 각오를 단단히 다지고 회의장에 들어섰다. 맥아더는 언제나 그렇듯 장황하고 군인에겐 어울리지 않는 수식어가 많은 빅토리아 시대 풍의 장광설을 늘어놓았다. 글로 읽어 보면 지루할 나름인데 연설이 끝나자 해군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일어나 기립박수를 시작했다. 이걸 무엇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전형적인 덕장, 니미츠
맥아더의 동쪽에 있는 니미츠는 상관과 부하, 동료 모두에게서 신뢰와 존경을 받은 전형적인 덕장이었다. 그는 맥아더의 카리스마만큼이나 불가사의한 친화력을 지녔다. 해군의 일인자였던 어네스트 킹 제독은 까다롭고 편협한 인물이었다. 그 성격 때문에 많은 실수를 했고 비판도 받는데 킹도 니미츠만은 진심으로 좋아하고 신뢰했다.
태평양의 지휘권이 분할됐을 때 맥아더는 노발대발했다. 양측 사령부는 사사건건 부딪혔고 각각 수백 명이 넘는 참모들은 출근하면 상대편을 비난하는 게 하루 일과였다. 그러자 니미츠는 사령부에서는 절대 공공연히 맥아더를 비판하지 못하도록 엄명을 내렸다. 그리고 자기 방에 맥아더 사진을 걸어 놨다. 니미츠를 방문했던 사람들은 맥아더의 사진을 보고 적잖게 당황했다고 한다.
두 사람의 차이는 출신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맥아더는 최고의 군인 명문가에서 태어났고 아내도 대부호였다. 물론 본인의 경력과 업적 역시 전설적이었다. 모든 것을 갖춘 그는 거리낄 게 없었다.
반면에 니미츠는 텍사스의 시골 여관집 아들이었다. 서부 영화에나 나올법 한 그런 여관으로 야간 고등학교를 다녀야 할 정도로 가난했다. 미국도 전문직은 대를 이어 가업을 계승하는 경우가 많다. 군인은 특히 그렇다. 니미츠가 해사에 간 이유도 바다를 동경해서가 아니었다. 그는 육사를 지원했는데 미국은 사관학교에 가려면 상원의원의 추천이 필요하다. 그런데 텍사스는 군인 명문가를 많이 배출한 지역이라 그에게 돌아올 TO가 없었다. 하지만 워낙 육군을 선호하는 덕에 해사는 자리가 충분했다.
체스터 니미츠 해군 제독
든든한 배경이 없는 니미츠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모든 면에서 탁월하고 우수한 성적을 거둬야 했다. 인간관계도 최대한 베풀고 적을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화가 나도 남 앞에서 비방하는 법이 없었다. 그도 인간인지라 참을 수 없을 때가 많았지만 오직 부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만 속을 털어놓았다. 그때도 비밀문서에 등급을 붙이듯이 비방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겼다. 니미츠가 죽자 부인은 1급 비밀 수준의 편지는 모조리 태워버렸다.
그런데 니미츠처럼 덕과 인화를 중시하는 리더의 경우 부하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기는 쉽지만 아랫사람을 쥐어짜서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수가 있다. 전시가 아닌 평소에는 더 힘들다. 군대라는 조직의 특성상 부대관리, 검열, 사격 시합, 운동시합의 성과가 다 지휘관의 능력평가에 반영되는데 군대라는 곳이 기업과 달라 이윤을 추구하는 곳도 아니다 보니 인덕만으로는 부하 장병들에게 동기유발을 시키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니미츠는 이 일을 충분히 해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