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메디치 가문의 창조 경영 리더십

코시모 데 메디치, 최초의 인문 경영자

김상근 | 63호 (2010년 8월 Issue 2)
 
비판의 인문학과 성찰의 인문학
 
인문학 열풍이 거세다. 경영자들 사이에서 인문학 공부가 대세다. 경영학자들이나 전문 컨설턴트들이 도맡아왔던 최고경영자 과정(AMP) 강의에서 인문학 전공자들이 주가를 올리고 있다. 인문경영과 관련한 책도 봇물을 이룬다. 경영자들이 사마천의 <사기>를 읽고, 일정에 바쁜 대기업 임원들이 플라톤의 철학서를 뒤적인다. 정부의 고위 공직자 교육과정에서도 인문학 공부가 필수다.
 
이런 인문학 열풍과 대조되는 쓸쓸한 풍경이 있다. 전통적으로 인문학 연구를 전담해 왔던 대학의 최근 모습이다. 작금의 대학에서는 인문학이 말 그대로 고사(枯死) 상태다. 이른바 문사철(文史哲)의 쇄락은 부정할 수 없는 대학의 현실이 됐다. 우수한 학생들은 문사철 관련학과를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으려고 한다. 기껏해야 심리학 정도가 인문학 위기의 예봉을 피해가고 있을까, 다른 분야에서는 파리만 날리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경쟁력 없는’ 인문학과를 폐지하거나 유사 학문끼리의 통폐합을 추진하면서 인문학자들을 아연 긴장시키고 있다.
 
한쪽에서는 인문학이 상종가를 치고 있는데, 왜 다른 쪽에서는 인문학이 폐업 직전까지 간 것일까? 한 언론인은 이른바 ‘인기 없는 인문학’은 ‘비판’을 학문의 목표로 삼는 반면, ‘인기 있는 인문학’은 ‘성찰’을 학문의 목표로 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1  일리가 있는 지적이다. 실제로 일부 인문학자들은 비판을 위한 비판을 구사하면서 자기 학문분야에 대한 독점권을 지켜나간다. 이들은 ‘인문학적 비판’이란 전가(傳家)의 보도(寶刀)를 마구 휘두르며, 실상은 상아탑에서 주어진 자신의 밥그릇을 보존하는 데 더 열심이다. 인문학의 인접 학문들이 서로 대화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나는 내 분야 연구에 매진할 테니, 당신은 당신 분야에 대해서만 연구하시고, 여기는 아예 접근하지 마시오! 이런 독선과 대화 단절의 악순환을 거치면서 각 학문분야는 독자적인 학문용어 게임(language game)에만 몰두하게 된다. 결과는 뻔하다. 학문으로 소통하고 봉사해야 할 일반 대중과의 거리가 점점 더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출판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마다 하소연 하는 말이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학자가 없다는 것이다. 소통하겠다고 나서는 사람은 함량이 모자라고 학문적 수련이 충분한 사람은 도대체 무슨 소릴 하는 건지 모르겠단다.
 
반면 ‘성찰’을 목표로 삼는 인문학은 인기절정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 삶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에 깊숙한 태클을 거는 이런 질문을 통해 ‘성찰의 인문학’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는다. 인간이기에 피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학적 성찰은 경영자들에게 꼭 필요한 도구다.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확신도 없으면서 어떻게 직원들에게 나를 믿고 따르라고 말할 수 있는가? 내가 일하면서 행복하지 않은데, 어떻게 고객에게 만족과 기쁨을 줄 수 있단 말인가? 존경받는 경영자의 기준은 소유하고 있는 부의 규모가 아니라, 인간과 세상과 시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이다. 인문학적 성찰이 없이는 성공도 제한적이고, 행복도 불안정하다. 인문학적 성찰이 결여된 성공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지위와 돈과 명예가 주는 행복은 일시적이고, 가변적이며, 표피적이기 때문이다. 인간과 세상과 시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진 경영자의 행복과 사뭇 비교할 바가 못 된다. 인문학적 성찰을 거친 ‘따뜻한 프로페셔널’이 사람과 세상과 시대를 바꾼다.
 
코시모 데 메디치는 자본주의 역사에서 거의 최초로 인문 경영자란 평가를 받을 만한 사람이다. 그는 유능한 경영자였고 15세기 이탈리아의 난세를 헤쳐 가던 혜안을 가진 정치가였다. 동시에 인간과 세상과 시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진 현자이기도 했다. 그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인문 경영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평생에 걸쳐 전문 학자들의 연구를 후원하고, 창조적인 예술가를 지원했으며, 본인 스스로 인문학 공부를 통해 영혼을 잃어버리지 않는 참된 경영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탐욕에 이끌린 삶이 아니라 경영을 진실되고(), 선하고(), 아름다운() 자신의 삶과 연결시킨 최초의 인문 경영자였던 것이다.
 
책과 학문을 사랑했던 코시모
 
유년시절의 코시모는 피렌체에 있는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수도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비록 전문적인 학자를 위한 교육 과정은 아니었지만 성인이 되기 전에 이미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아랍어를 독해할 수 있었다. 코시모는 유럽 16개 대도시에 메디치 은행의 지점을 거느린 대기업 총수였지만 절친했던 지근(至近)의 친구들은 대부분 학자와 예술가들이었다. 아버지로부터 가업을 이어받기 전 젊었을 때 꿈은 전 세계를 탐험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중세 시대의 각종 희귀 사본을 수집해 연구·보존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코시모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고문서 수집을 위해 예루살렘 성지 순례를 준비했다가 아버지 조반니 디 비치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메디치 기업을 이어가야 할 장남에게는 적절치 않다며 아버지는 아들의 계획을 한사코 말렸다. 코시모는 아버지의 말에 순종하는 대신 전문 학자와 필경사를 유럽 각국의 수도원과 동방 비잔틴 제국으로 보내 진귀한 사본을 수집하도록 했다. 코시모는 수집상들에게 진귀한 필사본의 경우 금액에 상관하지 말고 무조건 구입하라고 지시했다. 끝까지 매각을 거부하는 곳에는 피렌체에서 파견된 필경사들이 사본을 베낄 수 있도록 허락을 청하는 정중한 편지를 보냈다. 코시모는 베스파시아노(Vespasiano da Bisticci, 1421∼1498)라는 유명한 출판업자를 고용해서 총 45명의 전문 필경사들이 세계의 진귀한 문서를 사본에 옮겨 적도록 했다.
 
코시모는 유럽과 비잔틴 제국의 여러 수도원에서 어렵게 수집한 진귀한 고문서들을 보관할 독립적인 도서관을 건축했다. 1443년에 준공한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 내부에 메디치 가문이 소장하고 있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고문서를 보관할 도서관을 포함시킨 것이다. 신예 건축가 미켈로초가 건축한 이 도서관(Bibliotecha Marciana)은 코시모의 손자인 로렌초 데 메디치에 의해 이전, 확장됐고 결국 미켈란젤로의 설계를 바탕으로 지금의 유명한 메디치 가문의 도서관(Bibliotecha Mediceana-Laurenziana)으로 발전하게 된다.2
 
 
로마교황청이 자랑하는 바티칸 도서관(Bibliotheca Apostolica Vaticana)보다 무려 30년이나 앞섰던 메디치 도서관은 15세기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물이었다. 코시모가 모든 경비를 대 건축한 이 도서관에서 고대 그리스·로마 사상이 재발견됐으며, 전성기 르네상스(High Renaissance)의 철학적 기초가 정립됐다. 코시모가 고용했던 메디치 도서관의 초대 관장은 토마소 파렌투첼리(Tommaso Parentucelli, 1397∼1455)란 신학자였다.3  그는 후에 니콜라스 5세(Nicholas V, 1447∼1455년 재위)란 법명으로 교황에 취임하게 된다. ‘인문주의자 교황(Humanist Pope)’으로 알려진 니콜라스 5세는 자신이 관장으로 재직하던 메디치 도서관을 모방해 로마에 바티칸 도서관을 설립했다.4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