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세계 최고 투자가에 대한 오해와 실제

워런 버핏도 완벽하지 않다!

권춘오 | 14호 (2008년 8월 Issue 1)
우리 시대 최고라는 칭호가 아깝지 않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투자’와 ‘수익’의 세계에 잠깐이라도 발을 디뎌본 사람이라면 그가 이룩한 전설적인 성과를 부러워하고 그 성과를 이룩한 방법을 배우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1원까지도 아깝지 않은 식사였다!” 지난해 7억 원이던 버핏과의 점심 식사 경매가 올해에는 22억 원에 낙찰됐다. 낙찰 주인공인 미국 투자펀드회사 운영자 가이 스피어는 점심 식사에서 버핏이 말해준 것은 단순히 투자 원칙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버핏은 이 자리에서 “인생은 자기 내면의 잣대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스스로가 ‘최악의 인간’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남들에게는 선한 사람으로 비치고 싶은가, 세상이 나를 나쁘게 보더라도 자신에게 떳떳하게 살아가기를 원하는가”라고 스피어에게 조언했다.
 
하지만 이렇게 비즈니스와 인생에서 성공한 것처럼 보이는 버핏도 실제로는 완벽한 투자자가 아니다. 그럼에도 대중은 버핏과 그의 투자사인 버크셔 해서웨이에 대해 많은 오해를 하고 있다.
 
1998년 버크셔 해서웨이는 재보험회사 제너럴 리(General Re)를 220억 달러에 매입했다. 그러나 이 투자는 순조롭지 못했다. 2001년 9월 11일 테러리스트들이 미국을 공격했을 때 제너럴 리가 감당해야 할 손실액은 약 19억 달러에 이르렀다. 제너럴 리는 2006년이 돼서야 다시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한편 버핏은 2004년에 가구 소매업체인 피어1임포츠(Pier 1 Imports)를 1억5000만 달러에 매입했다. 불행하게도 피어1임포트는 매출 감소로 인한 기업 가치가 하락했고, 회사 손실액은 3980만 달러에 이르렀다. 이때 버핏은 버크셔의 주식을 팔기 시작했으며, 결국 버크셔 해서웨이는 2000만 달러의 손해를 봤다.
 
이 두 가지 사례에서 보듯이 버핏이 항상 투자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버핏에게는 인수 공식이 있다’는 오해도 이 사례를 보면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물론 버핏은 회사의 레몬(취약점)을 레모네이드로 바꾼 훌륭한 실적이 있다. 그러나 그는 현실주의자로서 구매한 회사가 하락세라면 기꺼이 기업을 구제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고, 대응이 늦어 손해를 보기도 했으며, 어떤 경우에는 상황을 호전시켜 큰 이익을 남기기도 했다.
 
버핏이 주식을 사면 절대 팔지 않는다는 인식도 사실이 아니다. 곤란에 처한 기업을 도와 성장시킬 때도 있고, 실수를 재빨리 깨닫고 발을 뺄 때도 있다. 버핏의 투자 실전에는 모든 상황에 딱 들어맞는 불변의 법칙이란 없다. 다음은 버핏에 대한 대중의 또 다른 오해들이다. 몇 가지만 살펴보자.
 
버핏은 투자 포트폴리오 분산을 맹신한다? 사실이 아니다. 버크셔가 실제로 거대 기업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저 규모에 맞게 자연스럽게 분산 투자를 해야 했을 뿐이다. 워런은 분산 투자 포트폴리오가 언제나 효과를 발휘하는 마법과 같은 ‘보호 장치’가 될 수 없음을 알고 있다.
 
버핏은 저가의 가치주만 다양하게 매수한다? 어느 정도는 맞지만 정답은 아니다. 그는 분명 가치 투자자다. 하지만 훌륭한 기업주를 좋은 가격에 매수하려 했고, 마찬가지로 가치주인 성장주를 기꺼이 매수한 것뿐이다. 투자에 대한 버핏의 방식은 매우 상식적이다. 버핏은 성장주든 가치주든 상관하지 않고 저가주 매입을 좋아한다. 무엇이 저가이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 결정하는 그의 방식은 몇 배씩 뛰는 시세가 아니라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 흐름을 현재 가치로 할인하는 현금할인모형(DCF·Discounted Cash Flow)을 사용하는 것이다. 시장가치보다 월등하게 높은 실질적 가치를 지닌 주식이라면 버핏은 매수자가 된다. 장기 투자에 있어 그의 성공의 핵심은 우량주를 좋은 가격에 매입하는 것이다.
 
버핏은 항상 뛰어난 주식 선별자다? 그렇지 않다. 버핏도 실수를 하고, 주기적으로 잘못 선택한 주식을 매도한다. 누구나 여기에서 예외가 없다.
버핏이 스톡옵션과 고액 연봉 슈퍼스타 최고경영자(CEO)를 싫어한다는 인식은 어떨까. 이것이야말로 완벽한 오해이다. 버핏이 과도한 CEO 급료에 대해 쓴 소리를 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적절하게 구성되고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한 그런 옵션은 적절한 보상 도구라고 여긴다. 일부 기업들이 스톡옵션 부여 일자를 속이고 심각한 백데이팅(backdating, 스톡옵션의 부여 일자나 행사 일자를 유리한 날짜로 바꿔 차익을 올리는 편법 행위) 행위에 개입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버핏은 이런 불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스톡옵션을 비용계정에 올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의원들에게 옵션이 보상의 한 형태이며, 그 보상은 비용이고, 따라서 수익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임을 알려 주기 위해 행동한다. 버핏은 이 문제에 대해 솔직했고, 이로 인해 그가 개인적으로 스톡옵션에 반대한다는 인식이 생겨난 것이다.
결론적으로 버핏의 코드를 해석하는 유일한 문제는 버핏이 쉽사리 한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없다는 점이다. 가끔 그는 분명 가치 투자자처럼 행동하기도 하지만, 어떤 때는 성장 투자자로도 보인다. 그는 장기 보유 방식의 투자를 피하지만 투자를 잘못했다고 해서 주식 매도를 서두르지 않는다. 버핏은 대형주를 구입해서 일정 기간 보유하면서도 중·소형주를 좇기도 한다. 즉 버핏의 투자 방식은 결코 변하지 않는 하나의 원칙을 고수할 정도로 항상 일관된 것이 아니다. 이보다는 그날그날의 시장 상황에 대응하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전략을 다듬고 변화시키는 데 있다.
 
요약하면 버핏의 행동을 공식으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될 수도 없다. 투자가 그렇게 단순하다면 금융 세계의 상황은 꽤 달라질 것이다. 대신 시장 여건이 허용하는 대로 자신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 시황을 배우는 학생처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변경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공 투자자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는 것이다.
 
매번 일정한 방식으로 투자하기에는 현실 세계가 너무도 복잡하다.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질서를 찾으려 하지 마라. 버핏에게서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당장 버핏에 대한 대중적 직관을 사실에 근거한 현실로 바꾸는 것이 우선이다. 이것만이 투자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 준다.
 
오히려 올바른 방향은 다음과 같은 부분에 적절한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분산을 생각한다면 “언제 투자 위험을 줄이고, 언제 잠재적 이익을 제한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구해야 한다. 가치를 생각한다면 “가치주와 저평가 주식의 차이점은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방침을 생각한다면 “언제 가치주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늘리고, 언제 성장주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모멘텀을 생각한다면 “언제 자신에게 유리하게 적절한 모멘텀 투자를 활용할 것인가”를 따지고, 실수를 생각한다면 “실수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포용하고 기억해야 하는가, 무시하고 계속해서 나아갈 것인가”를 먼저 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질적인 가치를 생각한다면 먼저 “기업에 대한 확실하고 믿을만한 현금 흐름 분석을 할 수 있는가”를 따져야 한다. 이것이 바로 올바른 성공 투자의 방향이다.
 
저자 바안 잔지지안(Vahan Janjigian) 박사는 포브스(Forbes) 투자자문연구소 부소장이자 이사로, 와 투자 뉴스레터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빌라노바(Villanova)대를 졸업하고 버지니아 공대에서 재무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힐뷰 캐피털 어드바이저(Hillview Capital Advisors) 사의 투자 위원이며, 포브스와 포브스닷컴의 정기 기고자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