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경영 고전 읽기

조직의 생명력, 협력 의지에 달렸다

이동현 | 51호 (2010년 2월 Issue 2)

기업 경영에서 조직과 개인을 조화시키는 문제는 근본적인 이슈다. 개인이 없는 조직은 성립될 수 없다. 조직은 개인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즉 개인의 필요에 의해 조직을 만들었지만, 역설적이게도 바로 그 조직 속에서 개인은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한다. 21세기에 들어서도 기업 조직은 여전히 흔들리고 있다.
 
진보적 기고가인 다니엘 핑크는 ‘프리 에이전트(free agent)’의 시대가 도래한다고 경고한다. 프리 에이전트란 샐러리맨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거대 조직체가 만든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자신의 미래를 책임지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프리랜서와 임시직, 5인 이하 초소형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바로 프리 에이전트다. 이들은 조직이 만든 규칙과 통제가 숨 막혀 뛰쳐나온 사람들이다.
 
20세기 관료제 조직도 이미 붕괴되고 있다. GM, AT&T, 닛산 등 20세기를 지배했던 거대 기업들은 중앙 집권화와 정교한 통제 모델에 의해 움직이는 관료제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누구도 이들을 글로벌 시장을 지배할 21세기 조직으로 지목하지 않는다. 오히려 붕괴 직전의 난파선에 비유하는 게 적절하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1890년 미국 기업의 평균 직원 수가 4명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100년 전만 해도 미국은 자영업자의 천국이었으며 초소형 사업체들이 지배하는 사회였다. 이들 업체에 고용된 종업원들은 샐러리맨으로서의 꿈을 키운 것이 아니라, 언젠가 자신이 직접 운영할 사업을 꿈꾸었다. 그런데 이때쯤 기업이라는 조직이 등장했고, 기업들이 급성장하면서 샐러리맨과 블루칼라를 거대 조직으로 흡수했다. 덕분에 중산층이 생겼고, 몇몇 샐러리맨의 신화도 등장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조직은 성장했지만 개인은 점점 더 힘을 잃어가고 있다. 개인의 창의성과 자발성은 조직의 논리에 의해 억압받고, 조직의 구성원들은 일방적인 지시와 통제에 의해 움직이는 임금 노예로 전락했다. 그렇다면 새롭게 시작된 21세기에 기업 조직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 것인가?
 
기업 조직은 ‘협력 행위 시스템’
체스터 바너드는 경영학 100년 역사에서 최초로 이러한 조직 문제를 체계적으로 다룬 인물이다. 놀랍게도 그는 책상물림의 학자가 아니라 현장의 경영자였다. AT&T에 입사한 그는 AT&T의 자회사인 뉴저지 벨 전화 회사의 사장을 역임했고, 은퇴 후에는 록펠러 재단 이사장, 국립과학재단 의장 등의 책임을 맡았다.
 
바너드의 사상 체계에서 조직을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는 ‘협력 시스템(cooperative system)’이다. 그는 조직을 ‘2명 이상의 사람이 모여서 의식적으로 행동이나 힘을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했다. 1938년 출간된 고전 <경영자의 역할(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에서 바너드는 조직을 이렇게 정의했다.
 
“조직은 인간의 행위로 이뤄지고, 이런 행위는 여러 사람들의 조정된 노력에 의해 시스템이 된다. 그리고 이런 노력은 개인이 아닌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조직은 인간의 협력 행위 시스템이고, 조직의 기능은 효용을 창조하고 변환시키며 교환하는 것이다.”
 
조직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내부 구성원을 비롯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개인은 조직에 공헌한 만큼 조직으로부터 보상을 받음으로써 서로 균형을 이뤄야 한다. 그가 주장한 협력이란 조직과 개인 간의 균형, 또는 상생의 관계를 의미한다. 개인은 조직에 공헌을 해야 하며, 조직은 이러한 개인의 공헌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해야만 한다. 조직이든 개인이든 어느 한쪽에 불만이 쌓이면 균형이 깨지고 조직은 붕괴된다. 개인의 공헌과 조직의 보상이 균형을 이뤄야만 협력 시스템이 잘 작동될 수 있고, 조직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바너드의 핵심 주장이다.
 
얼핏 단순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이런 그의 주장은 현대 조직 이론의 기반이 됐다.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꼭 필요한 공헌을 하고 있는지를, 반대로 조직은 구성원들의 공헌에 대해 충분한 보상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면 아마 오늘날 기업 현장에서 일어나는 많은 조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입하면 무료

  • 이동현dhlee67@catholic.ac.kr

    - (현) 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
    - 미국 듀크대 경영대학원 방문 교수
    - <경영의 교양을 읽는다: 고전편, 현대편>, <깨달음이 있는 경영>, <초우량 기업의 조건> 저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