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모차르트의 성공은 ‘재능’ 보다 ‘노력’의 결과

권춘오 | 28호 (2009년 3월 Issue 1)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를 질투한 궁중음악가 안토니오 살리에리. 그는 모차르트의 천재성에 상처를 받고 열등감과 패배감에 시달렸다. 자신과 달리 어린 시절부터 부모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훌륭한 교육을 받고 성장한 모차르트라는 벽을 살리에리는 끝내 넘을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는 신에게 절규했다. “왜 제게는 재능 대신 천재를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주셨나이까!”
 
살리에리가 느낀 열패감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자신보다 더 노력을 기울인 것 같지 않은 데도 더 뛰어난 결과를 쉽게 이뤄내는 사람을 지켜볼 때의 열패감은 사람의 본능이다. 어느 분야에서든 뛰어난 사람은 분명히 있다. 안타깝게도 살리에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현실을 오로지 ‘타고난 재능’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정말 그럴까? 살리에리와 모차르트의 차이는 단지 재능에 있었을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모차르트 초기 작품은 대부분 ‘모방’
볼프강 모차르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자수성가한 유명 작곡가이자 연주자였다. 그는 어린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데 전문가였다. 볼프강이 태어났을 때 레오폴트는 모든 일을 그만두고 아들을 작곡가로 훈련시키는 일에만 몰두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면 모차르트가 8살 때 작곡을 시작했다는 사실은 놀라울 것이 없다.
 
또한 볼프강 모차르트의 초기 작품 대다수는 모차르트를 지도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등 당시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을 공공연하게 모방한 것이다. 즉 모차르트는 다른 사람들처럼 다른 작곡가들이 이전에 만든 작품을 카피하고 배열을 바꾸고 따라하면서 음악을 배웠다. 모차르트가 21세라는 나이에 피아노 협주곡 9번을 발표할 때 그는 이미 18년 동안 입주 전문 과외교사의 지도 아래 매우 엄격한 음악교육을 받아온 상태였다. 결과적으로 모차르트의 성공은 ‘신이 내린 재능’보다 ‘지독한 노력’을 통해 이룩된 것이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이러한 사례를 들어 ‘의도적 학습(deliberate practice)’이라는 개념을 내놓았다. 탁월한 퍼포머(performer·성과자)는 재능이나 기억력, 누적된 경험이 아니라 의도적 학습을 통해 그렇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비즈니스 분야도 마찬가지다. 잭 웰치 전 제너럴일렉트릭(GE) 회장은 25살이 될 때까지도 기업을 경영하겠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는 대학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으며, GE가 소유한 화학약품 개발 업무 제의를 받아들이기 전까지는 학계 진출을 고려하고 있었다. 비록 자신의 초기 인생 경험을 통해 비즈니스와 경영에 대한 독특하거나 선천적인 재능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그는 결국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최고경영자(CEO) 중 한 명이 되었다.
 
의도적 연습’의 5가지 요소
과학자들이 말하는 의도적 연습은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라는 모호한 개념이라기보다 매우 집중적이며 특정한 유형의 개발 활동이다. 의도적 연습에는 5가지 핵심 요소가 있다.
 
첫째는 ‘성과 향상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되었다는 점이다. 의도적 연습은 성과를 개발하고 향상하는 방법에 있어 각 분야에 산재한 지식을 활용해 결과를 창출하도록 디자인됐다. 어느 분야에서든 훌륭한 퍼포머들은 자신이 하는 일에서 특정 양상을 기피하지 않으며, 그런 요소를 향상하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타이거 우즈는 골프공을 벙커에 떨어뜨린 다음 그 상태에서 거의 불가능해 보이는 샷을 만들어내는 법을 연습했다. 그가 그런 연습을 하고 나면 또 다른 샷을 연습할 것이다. 의도적 연습은 바로 이런 것이다. 구조적이고 특수한 개인적인 개발 활동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