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R1. 사례 모음

꼰대 사례 모음

회사에는 여전히 젊은 부하직원들의 고충, 야근, 회식을 당연시하고 직원의 사생활에 참견하는 이들이 많다. 전형적인 ‘꼰대 문화’가 곳곳에 존재한다는 뜻이다. 신입사원의 30%가 1년 내에 퇴사한다는 한 조사 결과, 3년 차에 이제 막 일을 잘하기 시작한 사람들이 굳이 이직을 하지 않더라도 긴 여행과 재충전을 위해 과감히 회사를 떠나는 ‘퇴사열풍’이 분다는 기사는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국내 최고 경영전문지 DBR에서 ‘꼰대’를 주제로 스페셜 리포트를 기획하게 된 이유다.

그러나 직장의 모든 ‘꼰대’가 ‘절대 악’은 아닐 터다. 그들도 한때 젊었고, 열심히 일했으며, 지금까지 성과를 만들어왔고 조직과 가정을 위해 헌신해왔다. 그들이 ‘꼰대’가 아닌 ‘현자’가 될 수는 없는 것일까? 현자가 되기 위해서는 ‘성찰’이 필요하다. ‘성찰’의 시작은 ‘외부의 자극’에서 시작된다.

그 자극을 위해, 실제 DBR 독자들의 사연을 모아봤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링크를 건 구글독스 설문과 네이버 포스트의 비밀 댓글을 통해 사연을 수집했다. 세대 간 갈등, 직장 내 갈등을 조장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바로 ‘꼰대는 현자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질문은 두 가지였다.

질문 1: 내가 만난 인생 최악의 꼰대 혹은 내가 당한 최악의 꼰대질은?

질문 2: ‘내가 벌써 꼰대가 됐나?’라고 문득 느껴진 순간은?

다음은 독자들이 보내준 사연이다.

내가 당한 최악의 꼰대(질)

사연 1 직장인 A씨

“상사로부터 ‘너, 내 컴퓨터 꺼질 때까지 네 컴퓨터 끄지마’라는 지시(?)를 들었다.”

사연 2 꼰대 상사 때문에 이직한 B씨

“해외에서 막 귀국해 부임한 상사는 늘 저녁 식사 후에 회의를 잡았다. 물론 회의에는 특별한 내용이 없었다. 심지어 저녁 식사 때 반찬이 어땠다는 둥 시시콜콜한 잡담을 하다 다음날까지 급히 마무리해야 하는 작업을 마지막에 얘기해줬다. 결혼 준비 기간에도 계속 야근이 이어졌고, 어느 날은 도저히 안 되겠다 싶어 조금 일찍 퇴근하려고 저녁 8시30분에 자리로 갔더니 정작 자기는 딸과 페이스북으로 메신저하고 있더라. 그렇게 야근을 시켜놓고 10시 넘어가면 받아야 하는 교통 관련 수당을 못 받게 하려고 9시45분이 되면 팀원들에게 ‘스마트 워크를 하자’며 카페로 데리고 나갔다.”

사연 3 군대식으로 일을 가르치던 사수를 만난 C씨

“본인은 일을 잘한다고 평가받는 사수가 있었는데, 모든 게 군대식이었다. ‘두 번까지는 알려준다’고 한 뒤 혹시나 관련 질문을 한 번이라도 더 하면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큰소리로 망신을 줬다. 하루는 ‘네가 왜 이리 일이 굼뜬지 모르겠다’며 의자를 가져와 내가 일하는 옆에 앉아서 3시간을 지켜보더라. 정신병에 걸릴 것 같아서 결국 조직을 옮겼다.”

사연 4 직장생활 12년 만에 퇴사한 D씨

“팀장이 나와 선임이 자신의 ‘뒷담화’를 하는 것 같다며 휴대폰을 가져가 메시지를 검열했다.”

사연 5 외국에서 근무하는 E씨

“거래처 사장이 한국인인데 정작 업무시간 중 필요할 때에는 일주일 내내 전혀 연락이 안 되다가 월요일 약속을 확인하겠다며 쉬는 일요일에 수시로 전화하고, 카톡하고, 문자를 보내더라. 너무 황당해서 일단 무시하고 월요일에 출근하자마자 연락했더니 ‘왜 연락이 안 되냐’며 화를 내더라.”

사연 6 디자이너 F씨

“디자인팀 소속 신입으로 들어갔을 때 일이다. 사회생활의 첫 시작을 잘하고 싶은 마음에 옷을 잘 차려입고 다녔다. 디자이너 자존심상 대충 입고 다니는 게 싫기도 했다. 그런데 늘 헐렁한 티셔츠에 면바지를 입고 다니던 팀장은 ‘왜 비서처럼 입고 다니냐’며 잔소리를 하기 시작했다. 젊음에 대해 시샘하나 싶을 정도로 어이가 없었고 그냥 무시하고 넘기려고 했으나 잔소리와 면박은 계속됐다. 결국 그만뒀고 지금은 더 좋은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더 나은 회사에 다니고 있다.

사연 7 인사법 지적받은 G씨

“사무실에서 옆 사무실 사람이든, 외부인이든 누군가 들어오면 나는 밝게 웃으며 ‘어서 오세요’라고 인사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상사는 그걸 듣고는 항상 ‘외부인에게 말하는 거 같이한다. 듣기 싫다’고 말하며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하라고 하더라. 참 별별 사람 다 있다 싶었다.”

사연 8 무조건 야근하라고 사람 붙잡는 상사와 일한 H씨

“전에 같이 일하던 부장은 ‘야근은 관례다’라고 강요했다. 업무시간에 부지런히 하면 다 끝날 일인데 그 부장은 일 끝내고 제시간에 퇴근하는 사람 있으면 항상 붙잡고 ‘갈굼’을 시작했다. 다들 하도 데어서 그냥 일을 일부러 천천히 해서 야근 때 할 일을 남겨뒀다. 이 무슨 비효율인가. 200명 앞에서 수치심 주며 야단치는 건 예사였다. 결국 사표를 쓰고 말았다.”

사연 9 ‘내로남불’ 팀장들과 일하는 I씨

“우리 팀장은 팀원들한테는 ‘모든 걸 원칙대로 해야 한다’며 근무시간에 스마트폰도 못 보게 하더니 자기는 스마트폰으로 낚시터 검색하고 있고, 늘 ‘어디가 잘 잡히더라’고 친구들과 통화한다. 한 남자 동료가 애가 아파 당일 연차를 쓰겠다고 팀장한테 얘기했더니 ‘애 엄마는 뭐하냐, 애 엄마가 더 벌어서 지금 그러는 거냐’고 면박을 주더라. 또 다른 팀장은 ‘요즘 애들 스마트폰에 빠져 아주 미쳐간다’고 윽박지르고 다니다가 막상 작년에 스마트폰 처음 구입하더니 하루 2∼3시간씩 유튜브 시청하고 있다.”

사연 10  진정한 ‘슈퍼 꼰대’를 경험한 J씨

“워낙 ‘슈퍼 꼰대’로 회사 내에서 유명한 상사와 함께 일하게 됐다. 출근하다가 지하철 사고를 당했는데 그 상사는 내 걱정은 하나도 안 하면서 ‘네가 부주의해서 그렇다. 기관사는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생각해봤냐?’라고 하다가 보험 처리를 하는 모습을 보더니 ‘그걸 왜 혼자 하냐. 나한테 상의했으면 보험금 더 받을 수 있을 텐데’라고 잔소리까지 하더라. 왜 그의 별명이 ‘슈퍼 꼰대’인지 깨닫게 되는 사건이었다.”

‘벌써 내가 꼰대가 됐나?’라고 문득 느껴진 순간

- 인턴사원이 수저 세팅 안 하는 거 보고 나도 모르게 화날 때 뜨끔했다.
- 신입사원들의 아이디어와 전략들이 ‘부질없다’고 생각될 때.
- 부하직원들이 ‘버릇없다’고 느껴질 때 스스로 깜짝 놀라며 반성하게 된다.
- 나보다 늦게 출근, 일찍 퇴근, 업무시간에 SNS 등을 하는 동료나 직원들을 보면 ‘나는 안 그러는데 쟤넨 왜 저러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그때 ‘벌써 내가 꼰대가 됐나’ 싶다.
- 어린 후배들 얘기 듣다가 ‘음, 나도 다 겪은 일인데’라고 생각이 들 때.
- 후배가 힘들다며 한탄할 때, 예전에 훨씬 더 부조리했던 경험이 떠오르며 ‘에이, 그 정도면 배부른 소리지’라는 생각이 문득 들 때. 안 좋은 경험이 ‘추억’으로 미화되는 순간 나도 꼰대가 되는 게 아닐까 싶다.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