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EO를 위한 인문고전 강독

설득하려면 상대의 ‘역린’을 헤아려라

강신주 | 45호 (2009년 11월 Issue 2)
사람들은 서양철학이 ‘이성적이고 논리적’인데 비해 동양철학은 ‘감성적이고 직관적’이라고 말한다. 옳은 말이다. 특히 서양철학을 상징하는 플라톤(BC 428?∼BC 348?)의 대화편들을 읽어보면 서양철학이 얼마나 집요하게 논리를 지향했는지를 알 수 있다.
 
플라톤 대화편들의 주인공은 그의 스승인 소크라테스(BC 469∼BC 399)다. 대부분의 대화편들은 소크라테스가 논리적인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굴복시키는 논증 과정으로 점철돼 있다. 반면 동양철학의 정신을 상징하는 <논어(論語)>를 넘겨보면 전혀 다른 대화의 전통을 발견할 수 있다. 공자(BC 551∼BC 479)는 인()에 대해서 만나는 사람들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이야기한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가 간과했던 것
공자는 어느 제자가 인에 대해 물어보자 “말을 어눌하게 하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그런데 또 다른 제자가 인에 대해 물었을 때는 “어려움을 먼저 생각하고 이익은 나중에 생각하는 것”이라고 대답한다.
 
플라톤의 대화편이나 서양의 논리학에 익숙한 사람들이 <논어>를 읽고 당혹감을 느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논리를 중시하는 사람은 상대방이 사용하는 용어의 정확한 정의(definition)를 요구한다. 개념의 정의가 상황마다 달라진다면 이성적인 논증은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공자는 비논리적인 철학자였던 것일까? 물론 그렇지 않다. 그는 인이란 ‘두 사람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가능케 하는 주체의 자세나 태도’라고 생각했다. 다시 말해 인()한 사람은 타자와 만날 때 갈등의 관계가 아니라 조화의 관계로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공자는 분명 인의 이념을 중시했다. 하지만 그에게 더 중요했던 것은 인의 이념을 제자들에게 설득하는 일이었다. 공자는 인 자체의 가치를 중시했지만, 제자들이 그 가치를 받아들여 실존적으로 변화하기를 더 원했다. 너무 유창하게 말을 잘하는 사람은 타인의 말을 듣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당연히 이런 사람은 타자와 조화로운 관계를 이룰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공자는 이런 제자에게 “말을 어눌하게 하라”고 이야기했다.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할 때 힘든 일은 피하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이 있다. 당연히 이런 사람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공자는 이런 성향의 제자에게는 “어려움을 먼저 생각하고 이익은 나중에 생각하라”고 말했던 것이다. 스승의 충고를 받아들였다면 제자는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