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회사에만 오면 초조해지고 바짝 긴장하게 됩니다. 가뜩이나 어렸을 적부터 약하다는 소리를 듣고 자라서인지 상대가 강하게 느껴지면 주눅이 들고 위축됩니다. 상사 앞에서만 긴장하는 게 아니라 동료나 후배 앞에서도 자주 자신감이 사라집니다. 부장님이 함께 일하는 후배를 찾기만 해도 어쩐지 저를 은근히 무시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저는 술과 담배를 못하는 편이라 회식 자리에서도 2차, 3차까지 가면 정말 고역입니다. 그래서 가끔 슬그머니 자리를 빠져나오는 편이지요. 그런데 언젠가 부장님이 마침 화장실을 다녀오다가 밖에서 바람을 쐬고 있는 저를 보시고는 언짢은 말투로 “왜 자꾸 도망가려 하느냐”고 말씀하시더군요. 심지어 제가 술을 잘 못 마실 때는 공연히 부장님의 따가운 시선이 느껴집니다. 회식 다음 날 부장님이 ‘회식 자리도 업무의 연장이다. 함께 시작하고 함께 끝내자’는 지적을 했다는 얘기를 팀원으로부터 전해 들어 더욱 황당했습니다.
언제까지 이렇게 눈치를 보며 지내야 할지, 그렇다고 제 목소리를 내자니 이미 찍힌 몸이 더 찍힐까봐 두려워 어쩔 줄 모르겠습니다. 모두가 제 편이 아닌 것 같고, 제가 왜 이런 처지인지 참으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ID: 신경과민)
A 당신의 태도를 좋지 않게 해석하는 상사 때문에 화가 나고, 자신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잃어버린 것 같아 속상하셨겠네요. 이런 상황에서는 자신은 피해자, 상사는 가해자라는 생각이 쉽게 들겠지요. 지금 당신이 속상한 이유는 전적으로 부장님의 책임으로 생각될지 모릅니다. 그렇게라도 해야 당신이 부당하다고 느끼는 상사의 태도를 비난할 명분이 생길 테니까요.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면, 마음이 편해지기보다는 오히려 상사의 시선과 발언에 계속 신경을 곤두세우게 되겠지요. 그러면 당신은 조직 내에서 무력한 패배자로만 남게 될 것이고요. 이러한 성향이 굳어지면, 편집과 강박이라는 성격장애로까지 발전해 조직 생활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까요?
우선,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지 말고 스스로 책임지는 방향으로 시각을 바꿔보세요. 지금처럼 자기 연민에 빠지거나, 끊임없이 문제의 책임을 타인에게 떠넘기는 상황에서는 자신만 고통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지금의 갈등에서 상사가 차지하는 몫보다는 자신의 몫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차리는 게 중요합니다. 우선 상사의 어떠한 지적에 불편해하는지를 살펴보기 바랍니다. 상사의 말과 행동이 당신에게 어떤 상처를 입혔는지 상사 스스로는 잘 몰랐을 것입니다. 자신이 민감하게 느끼는 부분을 상대가 몰라준다고 탓할 수만은 없습니다. 자신이 중요하게 느끼는 것이 사실은 아주 하찮은 일일 때도 있으니까요. 마찬가지로 팀원들과 상사에게 보여준 당신의 행동이 어떤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지 들여다보기 바랍니다.
둘째, 상대방의 부정적 피드백을 긍정적 피드백으로 돌릴 수 있을 정도의 재치를길러야 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자기 긍정’이 우선돼야 합니다. 상대방이 지적하는 자신의 약점을 먼저 담담히 인정하고 수용하세요. 이는 상대방과 내가 다름을 인정하는 태도입니다. 상대와 내가 다르므로 나와 똑같은 생각과 느낌을 상대에게 강요할 수 없지요. 자연히 상대의 마음을 지배하려는 마음이나 상대의 피드백에 대한 저항감이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오히려 상대의 기분을 존중함으로써 상대의 시선에 대해 조금은 여유로운 마음을 갖게 되지요. 그럴 때 상대의 부정적 피드백을 긍정적 피드백으로 돌릴 수 있는 재치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