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에서 ‘출처(出處)’란 선비라면 출사해 나라와 백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돼 끝내 도를 펼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물러나 때를 기다리는 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출처가 논란이 된 것은 병자호란 때 김상헌의 처신 때문이다. 김상헌이 왕이 청나라에 항복하자 제멋대로 관직을 버리고 떠난 것을 두고 조정에서는 ‘임금에 대한 불충이다’와 ‘그럴 수 있다’로 나뉘어 의견이 분분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충성’이라는 명목으로 임금이 신하를 마음껏 쓸 수 있던 시대에서 신하가 원하는 여건을 조성해 줘야 비로소 신하를 쓸 수 있는 시대로 전환이 이뤄진다. 이후 17세기 군주들은 조정에 나오길 꺼리는 인재를 포섭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쏟아냈는데 대표적으로 ‘산림(山林)’ 우대책이 있다.
1638년(인조 15년), 조선 조정에서는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처신을 둘러싸고 거센 논쟁이 벌어졌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김상헌은 청나라와의 화친에 반대하고 결사 항전을 주장했던 인물이다. 그는 항복이 결정되자 강하게 반발하며 임금에게 아뢰지도 않고 낙향해 버렸다. 아무리 자신의 신념과 배치되는 상황이 왔더라도 신하가 제멋대로 관직을 버리고 떠난다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임금에 대한 불충이라 해도 할 말이 없다. 하물며 임금이 ‘오랑캐’에게 머리를 조아리는 치욕을 당하고 나라가 존망의 갈림길에 선 상황에서 그렇게 처신한다는 것은 자기 한 몸만 깨끗하게 하려는 이기심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이에 전쟁이 끝나고 잘잘못을 가리는 과정에서 김상헌을 비난하는 신하들과 그를 옹호하는 신하들이 치열하게 공방을 벌인 것이다.
얼핏 생각하면 김상헌이 임금에게 무례했으니 당연히 처벌받았을 것 같지만 4개월에 걸친 논쟁은 김상헌을 지지하는 측의 승리로 끝났다. 인조는 김상헌이 “위급한 조정을 버리고 편안한 곳에서 유유자적했다”11『인조실록』 16년 10월 9일
닫기라며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그를 다시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도대체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이는 ‘출처(出處)’에 대한 유교의 인식에 기인한다. 출처란 관직에 출사하는 것[出]과 물러나 은거하는 것[處]을 합쳐 부르는 말로, 출처의 기준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느냐를 통해 당사자의 가치관과 실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 ‘출처’는 공자와 맹자를 통해 다듬어졌는데 공자는 현실에 참여해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고 어지러운 나라에는 살지 않으며, 천하에 도가 있으면 자신을 드러내고 도가 없으면 숨는다”22『논어』, 「태백(泰伯)」
닫기라고 했다. 선비는 우선 출사해 나라와 백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되 끝내 도를 펼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물러나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김준태akademie@skku.edu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초빙교수
김준태 교수는 성균관대에서 한국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유교문화연구소, 유학대학 연구교수를 거치며 우리 역사 속 정치가들의 리더십과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현실 정치에서 조선시대를 이끌었던 군주와 재상들에 집중해 다수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왕의 경영』 『왕의 공부』 『탁월한 조정자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