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거래소로는 최초로 지난 4월 미국 나스닥에 직상장했다. 코인베이스 직상장은 그 자체로 코인베이스의 경쟁력을 인정받은 사건이지만 코인베이스는 상장 이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경쟁 환경에 놓이게 됐다. 일단 암호화폐들의 가격이 오르고 거래가 늘면서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 외 핀테크 플랫폼들도 이 시장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했다. 증시 상장과 함께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고강도 규제를 받게 된 점도 코인베이스에는 부담이다.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로운 비상장 암호화폐 거래소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개인 간 거래 수수료가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도 코인베이스가 해결해야 할 숙제다. 결국 증시 상장을 통해 확보한 시장의 신뢰를 바탕으로 B2C를 넘어 B2B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거래 수수료 외 비투자 상품을 고도화하는 것이 향후 코인베이스의 과제가 될 것이다.
미국 1위 암호화폐 거래소로 알려진 코인베이스가 4월14일(현지 시간) 나스닥에 상장했다. 기업가치 110조 원(약 1000억 달러)을 인정받으며 화려하게 증시에 데뷔한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양적 완화로 ‘자산 버블 시대’가 오면서 코인 거래를 중개하는 플랫폼에 호시절이 온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상장이란 곧 새로운 게임의 룰을 적용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교적 별 규제를 받지 않고 사업을 하던 코인베이스 입장에서는 주 무대로 데뷔함과 동시에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감시와 규제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세상에 나온 코인베이스는 이제 3명의 라이벌과 경쟁하며 스스로의 경쟁력을 주주들에게 증명해 보여야 한다. 여기서 3명의 라이벌은 바로 비트코인, 핀테크 플랫폼, 다른 가상 자산 거래소들이다.
코인베이스는 어떤 곳인가
코인베이스는 개인 및 기관투자가에 가상 자산 관련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2012년 에어비앤비 엔지니어였던 브라이언 암스트롱과 골드만삭스 트레이더 출신 프레드 어삼은 코인베이스라는 비트코인 거래소를 만들었다. 이더리움이 탄생하기 전에 만들어진 여러 비트코인 거래 플랫폼 중 하나였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유명한 벤처 액셀러레이터 와이콤비네이터, 안데르센호로비츠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아며 성장했다. 코인베이스는 창립 9년 만에 직원 수 1700명, 누적 거래량 4560억 달러, 플랫폼 내 자산 규모 900억 달러의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코인 거래소로는 최초로 미국 나스닥에 직상장하기도 했다.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으로는 최초로 증시에 상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상장은 가상 자산 시장 활성화와 관련이 깊다. 코인베이스의 2021년 1분기 매출은 18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9배 성장했다. 같은 시기 순이익은 7억6500만 달러로 전년 연간 순이익(3억2200만 달러) 대비 2배 이상이었다. 2020년 들어 부진하던 가상 자산들의 가격이 폭등하고 그 여파가 2021년에도 지속되면서 회사 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실제 코인베이스 실적의 대부분은 암호화폐 거래에서 발생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코인베이스 등록 명세서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총매출의 약 96%가 코인 거래에서 발생한다. 또한 미즈호증권의 댄 둘레브(Dan Dolev) 애널리스트의 분석에 따르면 코인베이스 매출의 80% 이상이 개인투자자들의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한다.
비트코인은 독이 든 성배일까?
코인베이스에 비트코인은 양날의 검이다. 비트코인이 흥할수록 암호화폐 시장의 거래가 활발해지고 그 결과 코인베이스의 매출도 오른다. 하지만 반대로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지고 거래가 줄면 코인베이스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암호화폐 가격이 코인베이스의 의지와 상관없이 출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2020년 12월31일 기준으로 플랫폼 내 전체 거래량의 약 56%를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차지하고 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외에 대표적인 가상 자산이 없다는 점은 앞으로 코인베이스 사업이 안정화하는 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거래 플랫폼 해킹이나 네트워크 보안 이슈 등은 장기적으로 코인베이스 사업에 영향을 미칠 요인이다. 일례로 4월18일 비트코인 가격이 14% 가까이 하락한 원인 중 하나로 ‘정전’이 꼽혔다. 비트코인 채굴이 대규모로 이뤄지는 중국 신장 지역의 정전 사태가 시장에 부정적인 시그널로 여겨지면서 가격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채굴은 비트코인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는 데 필수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가상 자산을 규제하려는 다양한 시도도 코인베이스의 앞날에 리스크가 될 전망이다.
이처럼 비트코인을 흔드는 변수는 꽤 복합적이다. △국가마다 가상 자산 규제 상황이 다르고 △가상 자산 시장이 아직 성숙기에 접어들지 않았으며 △가상 자산이 갖는 리스크가 상존한다. 코인베이스가 비트코인의 그늘을 벗어나서도 사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쉽지 않겠지만 앞으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