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eyond Climate Change

리스크의 다른 말은 '새로운 시장 창출' 친환경 포트폴리오로 어려움에 맞서야

킴벌리 헨더슨(Kimberly Henderson),페르-안데르슨 엔크비스트(Per-Anders Enkvist),하우케 엥겔(Hauke Engel) | 231호 (2017년 8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기업의 기후변화는 어느 정도의 리스크로 작용할까. 단기간에 큰 변화를 가져오진 않겠지만 기후의 변동성, 변화 속도를 생각하면 기업이 기후변화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밸류체인상에선 재난으로 인한 물리적 피해, 원자재 및 상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외부적으론 기후변화 대응 정도에 따라 기업의 평판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정부의 규제도 위험 변수 중 하나다. 산업별 리스크 정도를 파악하고 기업의 경영활동별 세분화된 대책이 필요한 때다.

편집자주

이 글은 맥킨지앤컴퍼니가 2015년 7월에 개제한 ‘Sustainability & Resource Productivity Practice’ 보고서를 번역한 것입니다.

070



대항해 시대 초기부터 날씨 대응 방안은 중요한 사업의 일부분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기후변화 우려는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문제로 부상했다. 기업은 규제, 환경, 소비자 측면에서 나날이 커지는 압력에 적응해야 한다.

쉽지 않은 문제다. 기후에너지솔루션센터(Center for Climate and Energy Solutions)가 S&P 글로벌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겨우 28%만이 기후영향평가를 수행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보다 더 낮은 18%만이 기후영향평가 전문 툴이나 모델을 이용해 기후 리스크를 평가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기후변화 대응을 미루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기후변화 관련 정부 정책이 변하고 있고,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가 바뀌고, 원재료 등의 가격 변동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기업은 기후 관련 리스크를 인지하고 예측해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후 리스크(climate risk)는 크게 6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1) 그리고 이는 밸류체인 리스크와 외부 이해관계자 리스크로 나뉠 수 있다.


071



밸류체인 리스크

물리적 리스크(physical risk)는 기후변화로 인프라 및 기타 자산에 입게 되는 피해를 말한다. 즉, 산불, 홍수, 허리케인 등 이상 기후의 발생이 점차 빈번해지고 강도가 심해지면서 기업은 자사 공장이나 공급망 설비에 피해를 입게 된다.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따르면 홍수, 가뭄, 폭풍 등 기후 관련 재해의 발생 빈도와 강도는 1970년대 이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기업의 성과에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의 대표적인 글로벌 곡물회사 카길(Cargill)은 2012년 미국 가뭄으로 인해 20년 만에 최악의 분기실적을 발표했다. 물론 가뭄이 반드시 기후변화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이는 기후변화가 사업 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미국의 하드디스크 제조업체인 웨스턴디지털테크놀로지(Western Digital Technologies)는 2011년 태국에서 발생한 홍수로 자사 생산공장이 피해를 입으면서 매출이 크게 감소했으며, 이에 따른 글로벌 공급 감소로 컴퓨터 제조기업들에까지 피해가 이어졌다.

물리적 리스크는 통제가 불가능하지만 기업은 향후 수년에서 수십 년간 발생 가능한 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먼저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예측해야 한다. 기후변화 모델링 전문기업의 도움을 받는 것도 한 방법이다. 기후 예측을 통해 지역별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 등 심각한 리스크 발생 확률과 온도, 습도, 강우량 등 주요 지표에 대한 장기적 변화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어느 사업 부문이 취약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면 다양한 리스크 완화 프로세스, 기술 표준, 역량 등을 도입하고 이행할 수 있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리스크 관리를 위해 공급망 설비를 다양한 지역에 분산시키거나 중복해 건설하고, 기후 리스크가 높은 공급업체나 지역을 피하는 등의 대응책을 활용할 수 있다.

가격 리스크(price risk)는 원재료나 상품의 가격 변동성 증가를 의미한다. 가뭄으로 물 가격이 높아지고, 기후 관련 규제가 도입되면서 에너지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하이테크 및 신재생에너지 업계는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TV, 풍력터빈, 태양광 시스템,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희토류의 가격 상승 리스크에 직면하게 된다.

지난 십여 년간 자원 가격은 상승했으며 변동성도 커졌다. 여기에 불안정한 기후까지 가세하면 기업의 생산, 에너지, 수송, 보험 관련 불확실성은 더욱 커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는 기업도 있다. 이케아(IKEA)는 에너지 자립 실현을 위해 전통적 에너지원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있다. 에너지 자립 달성을 통해 미래 에너지 비용이 예측 가능해지며 글로벌 에너지 가격 변동으로부터 회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점차 많은 기업들이 전략적 및 경제적 목적으로 ‘독립형 발전 형식의 오프 그리드(off grid)’를 추진하게 될 것이다.

제품 리스크(product risk)는 기업의 핵심 제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거나 심지어 판매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를 말한다. 시장점유율이 일부 감소하는 데 그칠 수도 있지만 아예 기업이 파산하게 될 수도 있다. 에어컨은 대체 냉방기술에 밀려나게 될 것이고, 더 이상 눈이 내리지 않는 지역의 스키장은 폐업하게 될 것이다. 일부 시장에서 석탄 가격이 다른 저탄소 에너지원 가격보다 높아지고 각종 규제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하면서 광업 장비 제조회사와 관련 산업에 파급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리스크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신제품은 항상 기존 제품을 대체해 왔다. 차이점은 기후 관련 압력에 대한 대응은 특정 부문만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사업의 전체 운영 환경을 아예 바꾸어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자동차가 수동기어에서 자동기어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마차 시대에서 자동차 시대로 바뀌는 정도의 변화다. 유틸리티·전력 기업들도 변화를 인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가 중요한 발전원으로 부상하면서 전통적 사업모델은 시장에서 위협받고 있다.

반면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여러 산업에서 친환경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건설 및 인프라 부문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통합, 스마트 미터기, 스마트 그리드, 혼잡료 징수 시스템, 에너지 고효율 건설 기술 등 친환경 도시에 적합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리테일, 소비재 등 B2C 부문에서는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에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분명히 밝힘에 따라 새로운 시장이 생겨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홍보하는 슈퍼마켓은 미국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유기농 식품 부문은 지난 십 년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어디에서 어떤 제품을 구매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있어 환경요인을 중요시하는 새로운 소비자층의 규모가 상당히 커졌다는 반증이다.

그렇다면 기업은 어떻게 적응해야 할까? 한 가지 방법은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이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신제품을 디자인하는 ‘지속가능성 디자인’을 도입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기업의 이익이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과 일치하도록 기업 전략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지멘스(Siemens)는 탄소효율적 제품에 대한 ‘환경 포트폴리오(environmental portfolio)’를 개발했다. 프랑스의 건축자재 및 유리 제조회사인 생고뱅(Saint-Gobain)은 지속가능한 친환경 주택건설 기술을 제품개발 전략의 핵심으로 삼았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