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ase Study 朝鮮 : 충녕대군 세자 책봉

리더의 공백은 예고 없이 찾아올 수도… 승계 프로젝트 준비하라

김준태 | 217호 (2017년 1월 Issue 2)
Article at a Glance

리더의 부재는 결정과 책임의 부재를 의미하기에 조직에 엄청난 위기를 몰고 온다. ‘대체 계획’과 ‘승계 계획’이 짜여 있어야 하는 이유다. 조선시대 가장 완벽한 승계를 이뤄낸 태종의 충녕대군(세종) 후계자 옹립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그래서 이 시대 많은 리더들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태종은 두 가지 사항에 특히 신경을 썼다. 첫째, 왕권을 제약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했다. 둘째, 세종의 시대를 보좌할 대신들을 안배했다. 현대기업으로 치면 새로운 리더십을 위협할 수 있는 반대세력이나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구시대 인물’을 물러나게 했고 CFO, CHO, CMO, COO 등 리더 집단을 미리 준비시켜줬던 것이다. “CEO는 취임과 동시에 후계를 준비해야 한다”는 말이 있다. 태종의 승계 프로젝트를 살펴보면 많은 부분에서 답을 얻을 수 있다.


편집자주

조선에서 왕이 한 말과 행동은 거의 모든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여러 가지 기록 중 비즈니스 리더들이 특히 주목해봐야 할 것은 바로 어떤 정책이 발의되고 토론돼 결정되는 과정일 것입니다. 조선시대의 왕과 마찬가지로 기업을 이끄는 리더들 역시 고민하고 판단하며 결정을 내리고 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미 해당 정책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알 수 있는 상황이기에 더욱 면밀히 성공과 실패의 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정통한 연구자인 김준태 작가가 연재하는 ‘Case Study 朝鮮’에서 현대 비즈니스에 주는 교훈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1418년(태종18) 6월3일. 태종은 15년간 세자 자리에 있던 양녕대군을 전격적으로 폐위해 광주(廣州)로 추방하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忠寧大君)을 세자로 삼았다. “세자의 행동이 지극히 무도(無道)하여 종묘사직을 이어받을 수 없다”는 대소신료들의 요구도 있었지만 양녕대군이 궁궐로 기생을 불러들이고1 후계자 수업인 ‘서연(書筵)’에 갖은 핑계를 대며 빠졌으며2 부녀자와 통정을 하는 등3 도저히 왕위를 이을 그릇이 되지 못한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조치가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었다. 우선 1)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한다는 전통사회의 원칙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게다가 2)충녕대군의 왕위 승계서열은 3위에 불과했다. 예법대로라면 양녕대군이 폐위된다고 해도 양녕대군의 적장자(태종의 적손)나 아니면 태종의 둘째 적자인 효령대군이 세자의 지위를 이어받아야 했다. 뿐만 아니라
3)태종이 이미 연로한 상태였기 때문에 후계자 교육을 시킬 시간이 부족했다. 4)기존에 양녕대군을 지지하던 세력들이 새로운 세자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자 그렇다면, 여기에 대해 태종은 과연 어떤 입장을 보였고, 또 어떻게 해결책을 찾고자 했을까.

 
126


1. 후계자의 존재 이유

태종의 이 케이스를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우선 ‘세자’라는 자리, 즉 ‘후계자’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자. 무릇 리더의 공백은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것이다. 임기가 정해진 리더건, 종신 임기를 가진 임금과 같은 리더건 예외가 아니다. 갑자기 죽을 수도 있고, 병에 걸려 집무를 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이 벌어져 적군의 포로로 잡힐 수도 있다.4 이때 리더의 빈자리가 곧바로 채워지지 않으면 조직은 위기를 맞게 된다. 리더의 부재는 결정과 책임의 부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리더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권력투쟁이 벌어지고 구성원들의 불안이 가중되는 문제도 있다. 후계자를 미리 정해서 준비시켜놓는 이유다.

이와 관련해 유명한 사례가 있다. 1996년 4월 보스니아로 향하던 미국 사절단의 비행기가 추락하면서 론 브라운(Ron Brown) 상무장관을 비롯해 벡텔과 ABB 등 주요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목숨을 잃자 승계 준비가 안 된 해당 기업들은 이후 상당 기간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후계자가 마련돼 있던 회사 포스터 휠은 거뜬하게 난국을 해쳐나간다. 2004년의 맥도날드도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줬는데 짐 캔탈루포(Jim Cantalupo) 회장이 심장마비로 급서하자 맥도날드 이사회는 단 2시간 만에 최고운영책임자(COO) 찰리 벨(Charlie Bell)을 새로운 CEO로 선임했다. 짐 캔탈루포 회장이 찰리 벨을 사장 겸 COO로 임명해 후계자로 준비시켜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덕분에 맥도날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조직을 정상적으로 가동하게 된다.

조선의 세자도 바로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인데 임금이 승하하자마자 ‘보위는 한시라도 비워둘 수 없다’며 다음 날로 세자가 즉위함으로써 왕권의 단절을 방지한다. 결국 세자는 무슨 일이 생겨도 리더십이 차질 없이 이어질 것임을 대내외에 과시해 국가의 안전을 도모하는 존재인 것이다.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미래를 상징하는 의미도 있다. 세자를 달리 부르는 이름이 ‘국본(國本, 국가의 근본)’ ‘저군(儲君, 만일을 위하여 예비한 군주)’이라는 점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