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어려움 닥쳤을 때 허둥대지 않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外

류주한,김현경,곽승욱,홍진환 | 208호 (2016년 9월 lssue 1)

Strategy      

 

어려움 닥쳤을 때 허둥대지 않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On the road to disaster: strategic misalignments and corporate failure", by Loizos Heracleous and Katrin werres in Long Range Planning, 2016, 49, pp.491-506.

 

무엇을 왜 연구했나?

 

기업의 성공사례 못지않게 실패사례를 분석하고 교훈을 곱씹어보는 것 역시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구글, 알리바바, IBM, GE, 애플 등 빠르게 성장하거나 오랜 기간 성장을 지속한 기업들이 늘 회자되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글로벌 기업의 약 80%는 사라졌거나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한때 시장을 선도하던 GM, Delphi, Tribute Group, 크라이슬러가 대표적인 예다. 이런 현상은 지난 2007년부터 2010년 사이 가장 빈번했고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 기간 중 파산을 경험했다.

 

기업은 왜 실패하고 파산하고 사라지는가? 흔히 기업인수에 너무 많은 자금을 썼다거나 급작스런 시장 환경 변화, 투자판단의 오류 등 단편적인 사례들이 꾸준히 그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영학자들은 기업의 흥망성쇠를 단순히 한두 사건으로 판단해서 설명하기보다는 해당 기업의 과거 궤적을 찬찬히 살펴봄으로써 공통된 법칙이 있는지를 찾고자 했다. 영국 워릭대 연구진은 기업의 성공사례보다는 실패사례에 초점을 두고 기존 이론들을 종합해 실패에도 일정한 패턴이나 법칙이 존재하는지 실제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는 작업을 진행했다. 실패의 패턴을 미리 인지하고 답습하지만 않으면 성공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진은 기업의 성공은 환경과 전략이 조화(Strategic alignment)를 잘 이룰 때 가능하다고 전제했다. 이는 경영전략의 오랜 주장과 맥락을 같이한다. 즉 환경변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제대로 읽고 이에 적합한 전략적 선택을 한 후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업의 핵심 역량을 파악해야 한다. 또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기업양식(Organizational architecture)을 기민하게 재구성함으로써 기업 성공이 가능하다고 주장해왔다. 기업양식의 재구성은 인적자원, 기업문화, 업무처리방식, 기업조직 등 4가지의 재구성을 뜻한다.

 

연구진은 망한 기업들이 처한 환경과는 어울리지 않은 전략적 선택을 하고 기업의 재구성에도 실패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환경-전략의 부조화과정이 기업실패의 전형적인 패턴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의문을 두었다. 그리고 미국의 월드컴(WorldCom)과 노텔(Nortel Network)의 파산을 환경-전략의 부조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입증했다.

 

무엇을 발견했나?

 

먼저 환경과 전략의 부조화 과정은 리더의 무능과 수동적인 기업 거버넌스(지배구조), 비효율성에서부터 시작됐다. 산업환경 내 근본적인 패러다임 변화와 일시적인 현상을 구별을 하지 못하고 섣부른 전략을 추진하거나 이를 제어하지 못하는 이사회의 무능이 늘 문제의 시작이었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우다보니 핵심 역량 파악 및 기업양식의 재구성 모두 현실과는 맞지 않게 틀어지게 됐다. 이는 하부조직 구성원의 사기 저하와 이탈, 회계부정 등의 여파로 나타났다. 월드컴, 노텔 모두 5∼8년의 악순환의 패턴을 반복하다 파산했다.

 

연구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실패에도 일정한 패턴이 있다. 기업이 그 실패의 패턴을 밟고 있는지, 어디가 잘못됐고 어디서부터 고쳐나갈지를 사전에 진단할 수만 있다면 사업실패를 사전에 방지하고 성장을 지속할 텐데 실상 대부분의 기업들은 어려움이 닥치면 허둥대다 파산을 겪게 된다고 연구진은 경고하고 있다. 많은 경영학자들은 기업이 환경과 조화를 이룰 전략적 선택을 하지 못하고 정말로 필요한 핵심역량과 이를 뒷받침할 조직양식 모두 제각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고 주장해왔다. 연구진은 이 주장이 사실이며 많은 기업들이 이 같은 오류를 알면서도 여전히 실패의 길을 반복하고 있음을 두 사례를 통해 증명했다. 그리고 반복된 오류의 근본적 원인은 결국 리더십 부재와 이사회의 무능에서 있음을 상기시켰다.

 

류주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jhryoo@hanyang.ac.kr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유치, 해외직접투자실무 및 IR, 정책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저널 등에 기술벤처, 해외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PMI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Political Science

 

일본기업의 육아휴직 정착노력, 노동시장·문화분위기 조성과 함께해야

 

Mary C. Brinton, Eunmi Mun, “Between state and family: manager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arental leave policies in Japan” (Socio-Economic Review, 2016:14(2), 257-281)

 

무엇을 왜 연구했나?

 

선진국의 기준으로 볼 수 있는 OECD 회원국들 중에서 출산율의 저하, 여성의 노동시장참여증가 및 양성평등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증대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의 도입이 활발하다. 우리보다 급격한 출산율 하락을 먼저 겪은 일본은 1990년대 이후로 다양한 정책을 입안하고 시도했다.

 

문제는 이러한 정책들은 노동시장의 구조 및 문화적 규범의 특성에 따라 애초에 의도한 것과는 다른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1989 ‘1.59쇼크’(당해 출산율이 1.59까지 떨어지는 저출산으로 인한 일본 사회의 충격을 가리킴) 이래 20여 년이 넘게 추진된 일본 정부의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에도 불구하고 왜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지위가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유사한 길을 밟아나가고 있는 우리에게 이 논문이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

 

무엇을 발견했나?

 

일본 정부가 도입한 육아휴직제도는 기간의 장기성, 낮은 휴직급여, 제도접근성에 있어서의 불평등, 즉 남성과 여성에게 동등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 각각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역효과를 가지는 측면이 있다. 정리해보면 긴 육아휴직기간을 보장할수록 모순적이게도 여성의 노동시장으로부터의 이탈을 촉진하고, 낮은 휴직급여는 이를 더욱 강화하며, 육아휴직제도의 활용이 실질적으로 여성노동자에게만 가능하다는 점은 육아와 가사노동의 분담을 여성에게 지우고 남성은 이로부터 소외시킴으로써 가정과 노동시장에서의 양성평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저자들은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런 맥락 속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육아휴직제도의 도입을 추진했을 때 과연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정책은 어떻게 받아들여지며, 육아휴직제도를 사용하는 여성노동자에 대한 인사평가에는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저자들은 일본의 25개 대표기업의 인사담당자들과 두 단계에 걸친 반구조화된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 방식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했다. 첫 단계의 면접에서는 회사의 전반적인 인사정책 및 평가방식과 일본 정부가 도입한 양성고용평등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두 번째 단계의 심층면접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육아휴직제도를 운용하며, 이를 활용하는 직원의 비율 및 이에 대한 평가를 묻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첫 단계의 면접을 통해 저자들이 발견한 것은 자신들의 가설과는 반대로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기업의 평가가 실제로는 매우 긍정적이라는 것과 여성 인력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매우 높다는 점이었다.

 

그런데 왜 실제로는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노동자의 퇴직률이 높고 일본 기업 내 간부급 여성의 비율이 그렇게 낮은 것일까. 이러한 제도와 현실과의 괴리는 일본의 지배적인 기업문화와 노동시장의 특성 때문이라고 저자들은 보고 이를 뒤이은 심층면접을 통해 규명했다. , 기업에 대한 헌신이 강조되고 가족과 사적인 삶보다 일에 우선을 두는 일본의 기업문화, 외부 노동시장이 발달하지 않아 회사 간 이직이 원활하지 않고 공백과 단절 없이 한 회사에 근무하면서 경력이 쌓여나가는 기업 내부 노동시장이 발달한 일본의 노동시장 특성이 결합해 있었다. 이는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여성인력 활용의 필요에 대한 강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여성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인사담당자들을 지배하도록 만들고 있었다.

 

연구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비탄력적이고 긴 근무시간, 기업 내부 노동시장의 발달 등 일본과 많은 점에서 비슷한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본 논문의 분석은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 많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효과는 문화적 맥락과 노동시장의 구조와 같은 보다 큰 맥락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제도가 가지는 유인효과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면 제도가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더 유리할 것이다. 우수한 여성인력을 채용하고 장기적으로 활용하기 원한다면 육아휴직제도의 단순한 수용보다 탄력적 근무제의 활용, 회식 등 근무시간 외 부담을 줄이기, 남성노동자가 육아휴직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김현경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 fhin@naver.com

 

필자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 연구 분야는 정치경제학(노동복지, 노동시장, 거시경제정책을 둘러싼 갈등 및 국제정치경제)이다. 미국 정치, 일본 정치 등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Behavioral Economics

 

돈으로 행복을 살 수도 있다?

 

Based on “Money Buys Happiness When Spending Fits Our Personality” by S. Matz, J. Gladstone, and D. Stillwell (2016, Psychological Science)

 

무엇을 왜 연구했나?

 

행복이 성적순이 아니듯 돈의 많고 적음으로 행복의 순서를 매기는 것도 그리 설득력이 있진 않다. 그런 면에서 돈이 국가의 성공과 발전, 국민의 복리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조금 역설적이다. 한 국가의 경제적 산출량을 미국 달러로 환산한 국민총생산(GNP)이나 국내총생산(GDP)은 한 국가의 경제력과 국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기준이다. GNP GDP가 증가한 국가의 국민은 평균적인 부의 증가와 더불어 생활수준 및 행복감도 함께 향상된다고 여겨진다.

 

부와 생활수준의 향상은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데 돈이 많아진다고 행복감도 커진다는 논리는 선뜻 받아들이기 어렵다. 그래서 각국은 GNP GDP를 대체해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수를 개발해 보급하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런던에 본부를 둔 민간 경제연구기관 레가툼연구소(Legatum Institute)에서 2009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는 세계번영지수(Prosperity Index)나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부탄의 국민총행복지수(Gross National Happiness) 등이 대표적 예다. 단순히 경제적 측면의 국가 발전과 성장을 넘어 삶의 질과 만족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돈은 진정 행복과 무관한 요소일까?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겐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딜레마로부터 우리를 달래 줄 흥미로운 주장이 있다. 돈의 쓰임새가 우리의 심리적 성격 특성과 조화를 이루면 행복감이 올라간다는 주장이다. 과연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 길이 있을까?

 

무엇을 발견했나?

 

마음이 통하는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고 나면 기분도 좋아지고 다시 만나고픈 감정이 강하게 일어난다. 간담상조(肝膽相照)라는 말이 있다. ‘간과 쓸개를 서로 내놓고 보일 정도로 마음을 터놓고 허물없이 지내는 벗을 일컫는 사자성어다. 예부터 마음이 통한다는 것은 서로에게 행복과 만족을 준다는 의미로 쓰인 것 같다.

 

옛말이 틀린 것이 없다고 했든가? 성격심리학에서는 개인의 성격특성과 어울리는 환경이나 사람들과 가까이 지낼 때 심적 풍요로움과 삶에 대한 만족도가 커진다고 본다. 자신의 성격특성(: 내향적 vs. 외향적)에 걸맞은 주변 환경과 사람들에게 끌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개인의 성격특성과 일치하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돈을 주고 살 때도 행복감이 증가할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메츠 교수팀은 영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한 다국적 은행의 고객 625명을 대상으로 2014년 하반기 6개월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행위와 그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진행했다. 구매행위는 59개의 소비활동으로 분류했다. 연구에 참여한 고객들의 각 소비활동은 5가지 성격특성(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과민성)에 따라 평가됐다.

 

 

 

 

예를 들어, 책을 사는 행위는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려는 높은개방성과 시간과 노력을 들여 타인으로부터 무언가를 찾고 배우려는성실성친화성이 돋보이는 행위다. 동시에 구매자의내향적이고소심한 성향도 나타낸다. 나머지 58개의 활동도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5가지 성격특성으로 수치화했다. 그런 뒤 참가자 개개인이 자신의 성격특성과 일치하는 소비활동을 할 때 지출하는 소비액과 삶의 만족도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개인의 성격특성과 일치되는 소비활동을 할 때 더 많은 돈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외향적인 사람들이 외향적 소비활동인저녁에 맥주 즐기기에 내향적인 사람들보다 연간 평균적으로 77달러를 더 소비했다. 성실성이 뛰어난 사람은 게으른 성향의 사람들보다 성실성이 높이 요구되는건강과 신체관리관련 활동에 연간 183달러를 더 썼다. 소비액뿐 아니라 소비활동을 통한 삶의 만족도도 소비활동이 개인의 성격과 부합될 때 훨씬 높게 나타났다. 내성적이고 꼼꼼하면서도 소심한 성격의 소유자는 그에 어울리는 소비활동인정원 가꾸기에 돈을 더 많이 쓰는 경향이 있고, 그런 활동을 통해 더 큰 삶의 만족도를 느낀다고 한다. 돈을 많이 버는 것으로 행복을 덤으로 얻을 수는 없지만 번 돈을 잘 쓰면 예기치 않은 행복이 찾아오기도 하나 보다.

 

연구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처럼 세상은 정의롭지도 못하고, 상대적 박탈감과 계층갈등으로 인해 불만족과 분노가 확산되기 쉽다. 그렇다고 돈을 죄악시하는 것도 시장과 자본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사회의 현실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측면에서 돈을어떻게쓰느냐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도가 변화한다는 위 연구결과는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돈은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 새삼 뇌리를 스친다. 행복은 행복한 사람에게만 머무는 게 아니다. 사회학자 크리스태키스와 정치학자인 파울러의 말대로 행복은 전염성이 강하다. 우리 모두 돈을 열심히 벌고 잘 써서 행복을 사자. 그리고 전염되도록 놔두자. 혹시 아나? 자본주의가 수렁에서 건져지는 계기가 될지.

 

곽승욱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swkwag@sookmyung.ac.kr

 

필자는 연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그리고 테네시대(T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재직했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Marketing

 

품질이 높아야 브랜드 혁신이 고객의 충성도로 연결된다

 

Based on “How does brand innovativeness affect brand loyalty?." by Ravi Pappu and Pascale G. Quester,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016), 50.1/2. 2-28.

 

무엇을 왜 연구했나?

 

최근의 기술 혁신은 놀라운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등의 필수품에서부터 사물인터넷, VR기기 등의 미래 제품에 이르기까지 소비자들은 혁신에 따른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러다보니 소비자들은 혁신을 선호하게 되고, 혁신하는 기업/브랜드에 대해 호감을 느끼기 때문에 거의 모든 기업들이 혁신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혁신적 제품, 혁신성 있는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고 계속 사용할까? 혁신적인 기능이 추가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도 있기에 3D TV나 세그웨이처럼 혁신적인 제품 중 성공하지 못한 경우도 많다. 그러면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혁신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무엇을 발견했나?

 

호주 퀸즐랜드대와 애들레이드대 연구진은 호주 소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폰과 TV의 글로벌 브랜드 3(삼성, LG, 소니)의 브랜드 혁신성과 소비자 충성도의 관계를 연구했다.

 

1) 브랜드 혁신성과 충성도 사이에서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 브랜드 혁신성이 바로 충성도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

 

2) 브랜드 혁신성과 충성도 사이에 인식된 품질(perceived quality)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된 품질은 실제 품질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품질을 의미한다. 브랜드 혁신성이 높을수록 인식된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된 품질이 높다는 소비자들은 혁신성이 높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브랜드 혁신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시그널링(signaling)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그널링 이론에 따르면 시장은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제품의 품질을 올바르게 평가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자사 제품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브랜드나 광고, 가격, 품질 보증 등의 시그널을 통해 전달한다. , 소비자들은 브랜드 혁신성에 끌리는 것이 아니라 혁신이 품질을 높여준다고 인식해 브랜드 충성도를 갖는 것이다.

 

연구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우리는 지금 혁신의 시대에 살고 있다. 애플, 아마존 등 세계적인 기업들을 포함한 거의 모든 기업들이 모두 자신들을 혁신적 기업으로 포지셔닝하거나 혁신에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다. 혁신하지 않으면 퇴보하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레드퀸처럼 모두가 혁신을 위한 치열한 경쟁에 빠져 있다.

 

혁신성은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유용하게 소비자들의 니즈를 해결해주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술적 혁신을 이루더라도 3D TV처럼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면 성공이라 할 수 없다. , 혁신의 의미는 실제 기술적 진보의 관점뿐 아니라 브랜드를 통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혁신은 눈에 안 보인다. 이를 소비자에게 어떻게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LG전자는 작동 중인 세탁기 위에 카드를 쌓아서 세탁기의 조용함을 강조했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고층 빌딩의 외벽을 오르면서 흡입력을 부각시켰다. 이처럼 혁신은 소비자들에게 품질이 좋다는 신호로 작용한다. 혁신의 효과는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의 인지된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홍진환 수원대 경영학과 교수 jinhongs@naver.com

 

필자는 서울대 경영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보스턴대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한 뒤 중앙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듀폰, 엠드림, 옵티멈경영연구원에서 근무했 고 일본 히토츠바시대 연구원, 중국 임기대 교환교수를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마케팅 전략, 신제품 개발, 국제 마케팅, 스포츠 마케팅 등이며, 저서로 <코에볼루션> 등이 있다.

 

  • 류주한 류주한 |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jhryoo@hanyang.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현경 김현경 |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
    fhin@naver.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곽승욱 곽승욱 |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swkwag@sookmyung.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홍진환 | - 수원대 경영학과 교수
    - <코에볼루션> 저자
    jinhongs@naver.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