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Up
Article at a Glance – 혁신 인간과 기계가 아름다운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방법 1) 인간은 제도적인 혁신을 모색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었다. 2) 기존 제품을 융합해서 혁신을 모색한다. 혁신은 기존 혁신을 조합, 재조합해서 창출된다. 3) 기업 교육을 강화한다. 리더십, 팀워크, 창의성 등 인문학 분야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실업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무서운 재앙…. 지속하는 비극…. 수백만 명의 대학 졸업자가 사회생활을 시작할 기회조차 박탈당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향후 20년의 번영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정말 취업이 만만치 않다. 미국과 한국에서 실업률은 높아만 가고 있다. 실업은 정말 무섭다.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다. 일자리 경쟁이 우리 인간의 경쟁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람이 아닌 기계의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다” - <뉴욕타임스> 2011년 10월23일자
“기계와의 경주, 로봇이 결국 인간의 일자리를 따라잡고 있다” - <파이낸셜타임스> 2011년 10월30일자
기계와 경쟁하는 인간
이제 인간은 기계와 경쟁하고 있다. 이길 자신이 있는가? 거기다가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된 로봇이라면 어떻게 생각하는가? 언뜻 생각해도 물리적인 힘을 쓰는 일이나 계산을 많이 할 때 인간이 기계를 이기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러면 도대체 어떻게 해야 인간이 기계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까? 미국 MIT의 에릭 브린욜프슨, 앤드루 매카피 교수는 저서 <기계와의 경쟁: 진화하는 기술 사라지는 일자리 인간의 미래는?(틔움, 2013년)>에서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들이 희망을 주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디지털 기술이 현재 경제를 이끌어가는 가장 중요한 동력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이런 얘기를 들으면 걱정이 더 된다. ‘아, 디지털 기술이 경제를 이끌고 인간은 도태될 거야.’
하지만 <기계와의 경쟁>의 영문 제목에 힌트가 들어 있다. 영문 제목은
‘체스왕’ 게리 카스파로프(Gray Kasparov)는 1997년 IBM의 100만 달러짜리 슈퍼컴퓨터 ‘딥 블루(Deep Blue)’와 체스 게임을 했으나 졌다. 인간이 머리를 사용하는 게임에서 기계에게 진 것이다. 이 결과는 당시 엄청난 화제였다. 체스 마니아 사이에서 숱한 토론이 이뤄졌다. 그런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체스 마니아들이 토론을 해본 결과 체스 게임에서 최고 고수는 인간이나 컴퓨터가 아니었다. 인간과 컴퓨터가 함께 팀을 구성할 때 최고의 기량을 발했다. 즉, 인간과 기계가 결합하면 최고의 성과를 낸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