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사람이 보물이고 경쟁력인 시대다. 지방자치단체들은 서로 유명인을 초치해 부가가치를 높이려고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수원시는 정조대왕을 연구한다는 조건하에 노벨 문학상 후보로 매번 오르내리는 시인을 모셔서 살 곳을 마련해 준다고 하고, 화천군은 일찌감치 대중에게 잘 알려진 소설가를 선점해 지명도를 높이고 일반인들의 방문을 유도했다. 화려한 건물을 짓고 웅장한 자태를 자랑하는 기념물이 많다고 해도 존경받는 사람 한 분이 그곳에 있는 것만 못하다는 것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사람을 찾아다니는 시대다. 아무리 심산유곡 깊은 곳이라 해도 훌륭한 사람이 있다면 천리를 멀다하지 않고 사람들은 몰려간다. ‘천만매린(千萬買隣)’이라는 말이 있다. 좋은 이웃을 사는 데 천만금을 지불한다는 뜻이다. 중국 남북조 시대 송계아(宋季雅)라는 고위 관리가 정년퇴직을 대비해 자신이 살 집을 보러 다녔다. 그는 남들이 추천해 주는 몇 곳을 다녀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다. 그리고는 천백만금을 주고 여승진(呂僧珍)이라는 사람의 이웃집을 사서 이사했다. 백만금밖에 안 되는 집을 천백만금이나 주고 샀다는 말을 듣고 여승진이 그 이유를 물었다. 송계아의 대답은 간단했다. 백만금은 집값으로 지불했고(百萬買宅) 천만금은 당신과 이웃이 되기 위한 프리미엄으로 지불(千萬買隣)한 것이란 대답이었다.
기업도 이제 무엇을 만들어 파느냐 보다 어떤 사람을 채용하고 인재를 양성하느냐가 중요한 과제가 됐다. 지금 아무리 매출액이 많고 수익이 많이 난다고 해도 기업이 지속적으로 존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결국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그곳에 근무하느냐에 따라 그 조직의 미래와 운명이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명산을 만들려면 신선이 있어야 하듯이 좋은 기업을 만들려면 조직을 빛낼 신선 같은 인재를 찾아야 한다. 그런데 신선은 돈을 많이 준다고 이리저리 옮겨 다니지 않는다. 돈과 자리만으로 자신을 움직이는 사람은 신선이 아닐 확률이 아주 높기 때문에 신선 판단에 주의를 요한다.
박재희 철학박사·민족문화컨텐츠연구원장 taoy2k@empal.com
필자는 조부에게 한학을 배우고 성균관대에서 동양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수학했다. 고전의 재해석을 통한 새로운 미래사회 가치를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를 지내고 현재 포스코 전략대학 석좌교수, 민족문화콘텐츠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