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Up
한국의 경영과 일본의 경영을 비교해보자. 그런데 비교를 한다는 의미는 누가 낫고 못하고를 가리자는 의미가 아니다. <논어(論語)>의 술이편(述而篇)에 이런 말이 있다.
“세 사람이 길을 같이 걸어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 좋은 것은 본받고 나쁜 것은 살펴 스스로 고쳐야 한다(三人行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는 다른 사람을 보면 좋은 것은 배우고 나쁜 것은 고치니 좋은 것도 나의 스승이 될 수 있고 나쁜 것도 나의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 비교를 한다는 것은 배우기 위함이지 우열을 가리기 위함이 아니다. 그럼에도 한국과 일본은 늘 비교되고 어쩌면 근대 역사에서 한국은 일본을 배우는 과정에 있었다고 평가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데 세상이 바뀌었다. 2010년 1월25일 자 <닛케이비지니스>의 특집 기사는 일본 비즈니스계에 큰 충격을 줬다. 2009년 2분기의 삼성전자 수익이 일본의 상위 9개 전자회사의 총 수익을 모두 합친 숫자보다 한참 앞섰다는 충격적인 내용이었다. 충격이 커진 또 다른 이유도 있었다. 일본은 전쟁 후 ‘전자입국’을 국가전략의 하나로 설정했을 정도로 전자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왔다. 그 결과 소니와 마쓰시타(현재의 파나소닉), 히타치, 도시바, NEC, 샤프, 후지쓰와 같은 세계적인 전자 기업들이 탄생해 전후 일본의 경제발전을 선도했다. 이렇게 육성한 기업들의 전체 수익이 한국의 한 기업 수익에도 못 미치는 초라한 성과를 낸 것이다. 그만큼 <닛케이비즈니스> 기사는 일본 비즈니스계 전체에 큰 충격을 줬다.
과거 따라가던 한국 기업이 일본 기업을 앞선 이유가 무엇일까? 그 답을 주는 책이 바로 <한국의 황제경영 VS 일본의 주군경영>이다. 서울대 국제대학원 일본 전공 교수인 김현철 교수가 일본에서 출간한 책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이다. 도요타자동차의 후지오 사장이 전 사원 필독서로 추천하기도 했다. 일본에 한국의 기업경영을 소개하는 책자임을 감안하면 비교적 객관적인 한국 기업평가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과연 한국과 일본 기업의 경영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차이점은 무엇일까? 이 책에서는 일본 기업에 대비한 한국 기업의 강점을 여러 가지 제시하고 있지만 그중에서 재미있는 3가지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자.
첫 번째는 놀랍게도 한국 기업의 ‘적당주의’다. 모두가 주지하다시피 일본은 장인정신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장인정신이 과거에는 일본 기업의 위상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 데 반해 최근에 들어서는 지나치게 완벽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일본 기업의 발목을 잡고 대체로 적당주의로 일관하는 한국 기업이 역전하는 현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완벽주의와 적당주의가 반영된 재미있는 사례는 한국 소주인 진로와 일본의 술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일본은 각지마다 뛰어난 품질의 술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 해당 지역에만 한정돼 있으며 일본 전역으로 확산되지 않은 상태다. 오로지 품질을 완벽하게 만드는 것에만 주력하다 보면 옆으로 확대하겠다는 발상이 나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일본 전체의 대중 시장은 공백 상태였다. 여기에 효율적으로 파고든 것이 진로다. 한국의 서민적인 소주인 진로는 일본 장인이 만든 소주에 비하면 고만고만한 품질의 제품이다. 장인정신과 기술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품질의 일본 소주와는 당연히 비교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일본에는 그다지 품질에 연연하지 않는 서민들이 있었다. 모든 소비자들이 장인 기술로 만든 최고 품질의 술만을 찾는 것은 아니었다. 퇴근길에 대폿집이나 노래방에 들러 알코올의 힘을 빌려 가볍게 기분전환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게다가 진로의 품질은 세계적인 잣대에서 보면 높은 수준이다. 서민들을 만족시키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 예상치 못했던 행운도 뒤따랐다. 일본 서민들은 소주를 그냥 마시기보다는 탄산이나 주스에 타서 마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본 소주는 탄산이나 주스 등을 타서 마시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완벽한 제품이기 때문에 주스와 섞어도 기존의 맛과 냄새가 강하게 남는다. 소주를 쉽게 마시기 위해 희석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소주 맛과 냄새가 강하게 남는 것은 오히려 단점이다. 그렇지만 진로는 주스 등으로 희석하면 소주 맛과 냄새가 그다지 남지 않는다. 소주보다 탄산이나 주스의 맛이 더 강하게 나 음료처럼 마실 수 있다. 즉 품질이 적당하다는 점 때문에 여러 음료와 섞어 마시기에는 최적의 제품이 된 것이다. 이처럼 생각지도 않은 순풍에 힘입어 진로는 일본 소주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한국 기업의 속도전이다. 한국 기업은 빨리빨리 문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공장을 불과 6개월 만에 완공했다. 당시 일본 기업들은 2년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그야말로 총알택시 설계를 한 다음 토목공사를 하고 착공을 한 뒤 장비를 투입하듯이 절차에 따라 공사를 진행했다. 설계를 진행함과 동시에 토목공사를 하고, 설계도가 없는 상태에서 기초공사를 하고 발주도 한다. 나아가 설비와 기계도 함께 발주한다. 공사 자체도 하루 8시간이 아니라 24시간 체제로 진행한다. 현장인력은 3교대로 공사에 투입한다. 공사 현장에는 고함소리가 난무해 그야말로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절차를 무시하기 때문에 기존의 계획이 도중에 변경되는 경우도 자주 있다. 그러나 발주처인 건설회사와 장비회사는 그것을 감안해 변경 사항이 생기면 즉시 대응한다. 다음날 아침까지 필요한 자재를 납품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덕분이다. 적당주의는 이럴 때도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한국식 공사를 이용해 2년이 걸리는 공기(공사기간)를 4분의 1로 단축할 수 있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