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대학 기업가정신

기술혁신-기업가 양성, 대학이 불을 댕겨라

이방실 | 68호 (2010년 11월 Issue 1)
 
 
 
조지프 슘페터는 기업가의 ‘창조적 파괴’ 행위가 자본주의의 역동성 및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이종(異種)산업 간 융합이 가속화하는 21세기 지식 경제시대에 창의와 혁신을 요체로 하는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활동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대학의 기업가정신(university entrepreneurshi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othaermel, Agung and Jiang(2007)은 대학 기업가정신에 대해 “넓게 보아 특허, 라이선싱, 창업, 창업보육센터와 과학기술단지를 통한 기술이전 촉진 및 지역경제개발 촉진과 관련된 활동”이라고 정의했다. 대학 기업가정신과 관련한 173개의 기존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이 논문에서 그들은 대학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가 크게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 기술이전부서의 생산성(productivity of technology transfer offices), 신규 기업 창업(new firm creation), 혁신 네트워크를 포함한 환경적 요소(environmental context including networks of innovation) 등에 대한 연구로 나눠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곧 대학들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 하에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연구 역량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상업화하고 산업계로 이전시켜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기업가정신 육성을 위한 대학들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자율과 실용을 중시하는 문화적 배경 아래 미국 대학들은 끊임없는 교육을 통해 도전적인 차세대 기업가를 배출하고, 혁신적 기술을 상업화하는 데 힘을 기울여왔다. 미국 내에서도 대학 기업가정신의 베스트 프랙티스로 꼽히는 주요 대학 및 민간 단체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MIT: 혁신 벤처 창업을 활성화하는 생태계 조성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MIT는 과학기술 분야의 세계 최고 대학답게 기술 기반의 혁신적 벤처 창업에 중점을 두고 기업가정신을 육성하는 대학이다. ‘Mens et Manus(Mind and Hand를 뜻하는 라틴어), 즉 실제 생활(hand)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mind)이 참된 의미를 갖는다는 MIT의 모토에 기반해, 혁신적 기술의 상업화가 촉진될 수 있는 ‘기업가 생태계(entrepreneurial ecosystem)’를 체계적으로 구축해왔다.
 
 
MIT의 기업가 생태계는 대학 구성원들이 혁신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창업 단계별로 지원하는 체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그림 1, 2) 즉, 1)아이디어 도출 2)타당성 검증 3)상업화 4)사업 계획 개발 5)창업 등 각 단계별로 교육, 멘토링, 네트워킹, 펀딩 등의 기능을 직접 제공하거나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공식 기관들이 있다. 이 중 MIT 기업가정신센터, 벤처 멘토링 서비스(Venture Mentoring Service·VMS), 데시판데 센터(Deshpande Center)가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MIT 기업가정신센터는 1990년 에드워드 로버츠(Edward Roberts) MIT 슬론스쿨(경영대학원) 교수의 주도로 출범했다. MIT 기업가정신센터가 추구하는 목적은 크게 △교육(educate) △양성(nurture) △교류(network) △축하(celebrate)의 4가지로 요약된다.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차세대 기업가를 양성하고,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과 기존 사업가, 투자자 등을 서로 연결시켜 창업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을 줌은 물론, 성공한 기업가들의 업적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축하함으로써 기업가정신을 확산시켜 나간다는 것이다.
 
MIT 기업가정신센터 출범 당시만 해도 MIT내에 개설된 기업가정신 관련 과목은 ‘신생 기업론(New Enterprises)’ 단 한 강좌에 불과했다. 하지만 1996년 상근(full-time) 매니징 디렉터를 따로 고용하고 교수진을 적극적으로 늘려나가기 시작하면서, MIT 기업가정신센터는 5년 만인 2001년, 기업가정신 관련 수업을 21개로 늘릴 수 있었다. 빌 올렛(Bill Allet) MIT 기업가정신센터 매니징 디렉터는 “현재 기업가정신 관련 개설 과목은 50개가 넘는다”며 “종신교수직(tenure track)을 목표로 하는 대학 교수(academic faculty)와 실제 기업 운영을 했거나 투자자로서의 경험이 많은 실무 교수진(senior lecturers) 약 25명이 이론적 토대와 생생한 실무 경험을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VMS는 검증된 기술과 경험이 사업 초기부터 결합될 때 벤처 기업의 성공률이 높아진다는 믿음 하에 2000년 출범했다. 프리미엄 오디오 장비 업체인 보스(Bose Corporation)의 사장을 역임했던 셔윈 그린블랫(Sherwin Greenblatt) 등 내로라하는 기업가 및 벤처 캐피털리스트 등이 멘토로 참여, 창업을 꿈꾸는 기업가들에게 무료로 상담을 해 준다. 상담 영역은 제품 개발, 마케팅, 재무 관리, 인사관리, 지적재산권 관리 등 다양하다. 설립 후 2007년 중반까지 약 900명의 잠재 기업가(약 500개의 창업 아이디어)들에게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이 가운데 실제 창업으로 연결된 기업은 90여 개에 달한다. 2000년 설립 당시 7명에 불과했던 멘토들의 수도 지금은 100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일종의 개념검증(proof-of-concept·상업화가 가능한 아이디어인지를 검증)센터인 데시판데 센터는 2002년 MIT랩에서 나온 첨단 연구 결과의 상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출범했다. MIT 출신 기업가이자 시카모어 네트워크(Sycamore Networks) 창업자인 데시판데 박사 부부가 사재 2000만 달러를 털어 설립했다. 센터에서 하는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은 너무나 혁신적이어서 리스크가 큰 탓에 벤처 캐피털조차 투자하기를 꺼리는 대학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돈을 지원하는 것. 크게 ‘점화 지원금(Ignition Grants)’과 ‘혁신 지원금(Innovation Grants)’ 두 가지로 나뉜다. 점화 지원금은 초기 단계 아이디어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프로젝트 당 최대 5만 달러를, 혁신 지원금은 추후 벤처 캐피털 등으로부터 투자를 받기 충분할 정도까지 사업화를 진척시킬 수 있도록 최대 25만 달러를 지원한다.
 
데시판데 센터는 출범 이후 지금까지 80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10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이를 통해 총 22개 회사가 창업에 성공했다. 지원 프로그램 외에 데시판데 센터는 ‘촉매자 프로그램(Catalyst Program)’도 운영 중이다. 창업 경험이 많은 기업가나 벤처 캐피털리스트(일명 ‘촉매자’)들이 자원 봉사 개념으로 그룹을 이뤄 지원금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마다 각종 조언을 해 줌으로써, 기술의 상업화를 가속화하는 데 일조한다.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주도하는 활동들도 많다. 대표적인 예가 학생들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겨루는 ‘MIT $100K 비즈니스 플랜 컴피티션(MIT $100K Business Plan Competition)’이다. 학생들끼리 팀을 이뤄 사업계획서를 작성한 후, 이를 실제 투자자들 앞에서 발표하는 경연 대회로, 1등 수상팀엔 10만 달러($100K)의 상금이 수여된다. 원래 시작은 1990년 1등 수상 팀에 1만 달러를 수여하는 ‘$10K 비즈니스 플랜 컴피티션’으로 시작됐지만, 규모가 점점 커져 지금처럼 ‘$100K’의 위용을 갖추게 됐다. MIT는 ‘$100K’ 대회를 통해 최소 130개 이상의 회사가 탄생했고, 기업공개(IPO)나 인수 등을 통해 추산된 회수 가치(exit value)는 무려 25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처럼 창업 활동을 지원하는 생태계를 일찍부터 발전시켜온 덕택에, MIT는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Roberts and Eesley(2009)에 따르면, 2006년 기준 MIT 졸업생(생존자 기준)이 창업해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은 총 2만5800개로 추산됐다. 이들 기업의 총 고용규모는 330만 명. 이 중 3분의 1 가량이 컴퓨터, 반도체, 통신장비 등 전자 업종과 소프트웨어, 생명공학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창업 기업들이 첨단 하이테크 분야에 집중돼 있는 덕에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엄청나다. 2만5800개 기업들의 연간 총 매출액 규모는 약 1조8512억 달러. 국가 경제규모로 따졌을 때 전 세계 11위에 달한다. 종업원 1만 명 이상 사업체 77개의 연간 총 매출액 규모만 따져봐도 1조3891억 달러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수준이다.
 
Babson College: 혁신적 커리큘럼과 연구 통해 기업가정신 확산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서쪽으로 약 23km 떨어진 웰슬리에 위치한 뱁슨 칼리지는 1919년 혁신적 기업가이자 금융인이었던 로저 W. 뱁슨(Roger W. Babson)이 설립했다. 경영학에 집중하는 독립적인 대학으로, MIT가 기술 기반 혁신 기업 창업에 초점을 둔다면, 뱁슨 칼리지는 여러 산업 영역에 걸쳐 다양한 중소기업 창업을 활성화하는 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미국 가 매년 발표하는 대학 랭킹에서 기업가정신 부문 14년 연속(대학원은 17년 연속)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기업가정신 분야에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뱁슨 칼리지의 학부 수업은 크게 기초(Foundation·1학년), 중급(Inter-mediate·2학년 및 3학년 1학기), 고급(Advance· 3학년 2학기 이후) 등 단계별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고급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들을 수 있는 선택 과목들로 짜여 있지만, 기초와 중급 과정은 뱁슨 재학생들이라면 누구나 들어야 할 필수 과목들로 구성돼 있다. 특이한 점은 1, 2학년 때 들어야 할 필수 과목들 가운데 경영학 관련 과목이 전체 졸업 이수 학점(126학점)의 약 4분의 1(31학점)을 차지한다는 사실이다.
 
 
전공에 상관없이 누구나 들어야 하는 경영 필수 교과목 중 가장 대표적 프로그램은 ‘경영과 기업가정신 기초(FME·Foundations of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다. 1년간 지속되는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팀을 이뤄 실제 영리법인을 창업하도록 유도하는 교과목이다. 매년 9월에 학기가 시작되면 60명의 학생들이 3명씩 짝을 이뤄 20개 팀을 구성한 뒤 각각 창업 아이템을 내놓는다. 각 팀은 동료 학생들과 교수진 앞에서 자신의 창업 아이템을 가지고 사업설명회를 열고, 여러 차례 투표를 거쳐 최종적으로 2개 창업 아이템을 선정한다. 학교에선 이 두 가지 창업 아이템이 실제 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대 3000달러를 지원한다. FME를 통해 창업한 기업은 모든 수익을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자선 단체에 기부하는데, 1999년 이래 누적 기부금액만 35만 달러가 넘는다. 뱁슨 칼리지는 이처럼 학생들이 실제 창업에 필요한 경영학적 지식을 몰입 교육(immersion program)을 통해 체득하게 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함으로써 윤리적이고 진정성 있는 차세대 기업가를 양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정규 교육과정을 통한 기업가정신 확산 외에 뱁슨 칼리지는 기업가정신 관련 연구에도 매우 적극적이다. 이런 연구 활동은 1998년 설립된 아더 M. 블랭크 센터(Arthur M. Blank Center)가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자넷 스트리매이티스(Janet Strimaitis) 아더 M. 블랭크 센터 매니징 디렉터는 “글로벌 차원의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을 전세계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며 “전세계 주요 국가들의 창업 활동에 대해 연구하는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가족 기업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연구인 STEP(Successful Trans-generational Entrepreneurship Practices)이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 47개 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GEM은 국가간 창업활동의 유형과 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국제 협력 연구 프로그램이다. 기업가정신과 경제성장 간의 체계적인 관계를 규명하고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국가 수준의 창업 활동을 높이는 정책 제안을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다. 매년 글로벌 통합 리포트를 내놓는 것은 물론, 전 세계 300여 명의 연구진들이 소속 국가별로 각국 창업활동을 평가하는 보고서를 작성한다. STEP은 가족 기업(family enterprises)을 연구하는 유일한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로, 전세계 32개 국가의 가족기업 혁신 사례 및 사회·경제적 가치의 세대간 계승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카우프만 재단: 대학 기업가정신 확산 후원자
미국의 기업가정신 육성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바로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 위치한 유잉 매리온 카우프만 재단(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이하 카우프만 재단)이다. 미주리주 향토 기업인인 유잉 매리온 카우프만에 의해 1966년 설립된 카우프만 재단은 미국에서 기업가정신 육성을 미션으로 삼는 비영리 재단 중 최대 규모다. 2009년 12월31일 기준 순 자산 규모는 17억5000만 달러에 달하며, 총 지출금 9211만 달러 중 절반 이상인 5062만 달러가 대학 등 연구 기관에 대한 지원금 및 각종 프로그램 운영비 등에 소요됐다. 소속 인력은 전문가 그룹 45명과 행정분야 직원 40명을 합쳐 총 85명이다.
 
카우프만 재단은 절대 자산 규모로만 따지면 미국 내 비영리 재단 중 30위 권에 불과하다. 하지만 매칭 펀드 지원 방식 등을 통해 지원금의 승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카우프만 캠퍼스 이니셔티브(Kauffman Campus Initiative)다. 2003년 처음 도입된 카우프만 캠퍼스 이니셔티브는 대학과 지역 사회에 기업가정신을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출범했다. 2003년 1기 대학으로 8개, 2006년 2기 대학으로 11개 등 총 19개 ‘카우프만 캠퍼스’에 총 48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존 코어틴 카우프만 재단 부사장은 “대학당 평균 지원금액은 약 200만 달러로 최소 50만 달러에서 많게는 500만 달러까지 지원했다”며 “대신 최소한 카우프만 재단이 내놓는 액수만큼을 대학들도 내놓도록 했다”고 말했다. 기업가정신에 불씨를 붙일 최소 자금만을 지원함으로써, 대학 스스로 지속력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카우프만 재단이 대학측에 요구하는 ‘매칭(matching) 투자’ 비율은 적게는 1대 1부터 많게는 1대 5에 달한다. 그 결과 수혜 대학들이 내놓은 총 금액은 2억 달러를 웃돈다.
 
카우프만 캠퍼스 이니셔티브는 이전까지 기업가정신과는 무관하게 여겨졌던 대학, 특히 인문학에 치중했던 대학들 사이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있는 웨이크포레스트(Wake Forest) 대학은 카우프만 캠퍼스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의 결과 기업가정신이 가장 인기 있는 부전공 과목이 됐다. 존 코어틴 부사장은 “웨이크포레스트 대학은 전통적으로 인문학이 강세인 학교로 창업과는 거리가 먼 학교였다”며 “카우프만 캠퍼스 이니셔티브를 통해 학생들은 물론 학부모, 교수, 졸업생 모두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몸소 실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주에 있는 로체스터 대학(University of Rochester) 음대인 이스트만 스쿨(Eastman School of Music)은 카우프만 재단의 지원을 받아 ‘뉴 벤처 챌린지(New Venture Challenge)’를 운영 중이다. 음대를 졸업한 후 관현악단 취직 외에 별다른 취업 창구를 찾지 못했던 학생들은 뉴 벤처 챌린지를 통해 음악 관련 다양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내놓고 적극적인 창업 활동에 나서고 있다. 마학(馬學) 및 마술학(馬術學)으로 유명한 오하이오주 레이크 이리 대학(Lake Erie College)의 변신도 눈여겨 볼 만하다. 이전에는 순수하게 학문적 관점에서 말에 대한 연구(study about horses)를 했지만, 이젠 말과 관련해 다양한 파생 사업을 창조하는 게 학생들의 주 관심사로 바뀌었다.
 

 

 

 
이 밖에 카우프만 재단은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기술 및 연구 성과를 기업들이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 각종 연구 자료 및 최신 기술 내용을 검색하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아이 브릿지 네트워크(www.iBridgeNetwork.org)’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신규 아이디어, 첨단 기술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켜줌으로써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다.
 
MIT와 뱁슨 칼리지, 카우프만 재단 등의 사례에서 보듯, 미국은 정부가 아닌 민간 주도로 기업가정신을 육성해 왔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창업을 둘러싼 제반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대학의 지속적 노력이 있었다. 대학들은 끊임없는 교육과 기술 상업화 노력을 통해 차세대 기업가를 양성하고 축적된 R&D 역량을 산업계로 이전하는 데 힘써 왔다. 그 결과 우수 인력들이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에 적극 나설 수 있었고, 그만큼 성공한 기업가들이 많이 탄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그리고 부를 축적한 기업인들은 다시 자선사업가로 변신, 기업가정신 육성의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 대학 기업가정신의 선순환 구조를 일찌감치 구축함으로써, 미국은 지금과 같이 기업가정신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oberts, E., C. Eesely(2009), Entrepreneurial Impact: The Role of MIT, Kauffman Foundation.
Rothaermel, F., S. Agung, and L. Jiang(2007), “University Entrepreneurship: A Taxonomy of the Literature,”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Vol. 16, No.4, pp. 691-791.
  • 이방실 이방실 | - (현)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기자 (MBA/공학박사)
    - 전 올리버와이만 컨설턴트 (어소시에이트)
    - 전 한국경제신문 기자
    smile@donga.com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