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내 이럴 줄 알았지!” 혹시 자기 과신?

정재승 | 39호 (2009년 8월 Issue 2)
당신의 운전 실력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평균 이상? 아니면 평균 이하?” 이 간단한 질문은 우리가 자기 자신을 얼마나 과신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실제로 사람들의 운전 실력을 측정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평균을 중심으로 그 이상과 이하의 사람 수는 반반 정도가 될 것이다. 평균이란 원래 그런 거니까.

그런데 사람들에게 자신의 운전 실력에 대해 스스로 평가해달라고 하면, 95%가 넘는 사람들이 ‘평균 이상’이라고 대답한다(나머지 사람들도 평균 이하라기보다는 그저 ‘평균 정도’로 생각한다). 도대체 왜 자신의 운전 실력이 평균에 못 미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찾기 어려운 걸까?
 
이처럼 사람들은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은 이미 여러 심리학 실험을 통해 반복적으로 관찰됐다. 일례로, 피험자들에게 과학적인 실험을 설명해주고 미리 그 결과를 알려준다. 사람들은 당연히 그렇게 나올 거라고 동의하면서 열심히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다. 그러나 실험 결과를 미리 알려주지 않고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라고 하면, 사람들은 다양한 의견을 조심스럽게 전개한다. 결과를 이미 아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그들이 알고 있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훨씬 더 높게 어림잡는 경향을 보인다.


후견지명의 오류
과학적인 실험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에서도 이런 경향이 나타난다. 이스라엘의 심리학자 바루크 피쇼프는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기 바로 직전, 피험자들에게 ‘닉슨이 과연 마오쩌둥을 만날 것 같은지, 이번 중국 방문이 얼마나 성공적일지’ 등에 대해 예측한 상황을 알려달라고 했다. 

그러고 나서 닉슨이 중국 방문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 피험자들을 다시 불러 그들이 이전에 결과를 어떻게 점쳤는지 떠올려보라고 했다. 그 결과 그들의 기억은 오류가 아주 많았다. 닉슨의 중국 방문이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예측했던 사람들도 사실 그때 성공할 것으로 예측했다고 주장했다. ‘자신들의 예상이 옳았다’는 방향으로 심하게 편향돼 있었던 것이다. 자신들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했던 결과가 일어났고,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던 결과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아주 일관성 있게 진술했다. 물론 사실이 아니었지만. 

이러한 실험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판단력을 과신함으로써 ‘과거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을 실제보다 지나치게 높다고 여길 뿐만 아니라, 과거의 사건을 왜곡하거나 이전의 자기 견해를 잘못 기억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이처럼 ‘후견지명(後見之明)’의 오류에 빠지게 되는 걸까? <비합리성의 심리학>의 저자 스튜어트 서덜랜드에 따르면,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가능한 결과의 선택지가 아니라 실제 일어난 결과 자체에 주의를 기울인다. 따라서 다른 선택지를 고려할 확률이 아주 낮기 때문에, 이미 일어난 결과만을 당연한 것으로 과신하게 된다. 실제로 일어난 사건은 크게 보이고,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다른 사건들은 별로 보이지 않는 셈이다.

서덜랜드는 여기에 한 가지 이유를 더 제시한다. 사람들은 과거의 사건들을 통해 미래의 사건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사건들은 아주 오래전에 일어났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비슷한 상황에서 다양한 결과를 보인 사례들이 얼마든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후에 비슷한 과거 사례를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는 얘기다.
사람들의 기억은 실험에서 나타난 것 이상으로 더 심하게 왜곡될 수 있으며, 실제로 일어난 결과와 관련된 사건만을 기억해낼 확률이 크다. 대개 사람들은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체계적으로 예측하진 않기 때문에, 예측을 했다면 아마 그것이 옳다고 느끼기 쉽다. 

사업 전망, 주가 변동, 혹은 정치적 사건들도 모두 마찬가지다. 사업 전망은 매우 어렵지만, 한 사업이 뜨고 나면 그 사업이 뜰 수밖에 없는 이유를 10개는 찾을 수 있다. 주가 변동을 잘 예측하지 못해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막막하지만, 지나고 나면 왜 이 자명한 흐름을 미리 파악하지 못했을까 땅을 치게 된다. 너무 슬퍼 마시라. 그 결과는 결코 자명하지 않았고, 미리 예측을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측이란 원래 어려운 거니까. 

오류 가능성,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그러나 사람들은 지난 일을 돌이켜보면서 어떤 사건이 얼마나 있을 법한 거였는가에 대해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는 것 같다. 역사학자 리처드 토니에 따르면, 역사학자들은 승자를 부각시키고 그들이 집어삼킨 이들은 뒤편으로 밀어내면서 기존 질서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이게끔 한다. 즉 사람들은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 인과론적 설명을 꾸며내는 재주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당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당시 상황에서 미래 결과를 제대로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인간의 오류 가능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서덜랜드 등 인간의 비합리성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얼마나 틀리기 쉬운지 감을 좀 키우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홍콩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아시아에 사는 피험자들에게 ‘뉴질랜드의 수도는 오클랜드인가, 웰링턴인가?’ 같은 문제들을 내보았다. 선택지가 2개뿐이었으므로, 운이나 재수가 좋아 정답을 맞힐 확률도 50%나 됐다. 실제로 피험자들의 정답률은 찍어서 맞힐 확률을 조금 웃도는 수준인 60% 정도였다. 하지만 그들은 자기 답이 맞다고 대부분 100% 확신했다(참고로, 뉴질랜드의 수도는 웰링턴이다). 반복적으로 수행된 이런 종류의 실험에서 피험자들이 100% 정답을 확신하는 상황에서도 정답률은 대개 70% 내외였다.

더 재미있는 연구가 하나 있는데, 피험자들과 실험자가 내기를 했다고 한다. 즉 피험자들이 정답을 쓰면서 자신이 추산한 정답률과 실제 정답률이 비슷하게 나오거나, 추산한 정답률이 실제보다 낮으면 실험자가 피험자들에게 돈을 주기로 했다. 물론 피험자들이 예측한 정답률이 실제 정답률보다 높으면 당연히 그들이 실험자에게 돈을 주기로 했다. 이런 실험을 하면 피험자들이 좀더 현실적으로 정답률을 예측하려고 노력할 것이라는 계산에서였다. 결과는 어땠을까? 피험자들은 돈을 크게 잃었다! 

행동경제학의 대가 아모스 트버스키 박사에 따르면 특히 의사, 엔지니어, 포트폴리오 컨설턴트들은 자신들의 판단에 근거 없는 자신감을 품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신은 매우 위험하다. 포트폴리오 컨설턴트들은 그들이 투자하는 시장에서 대개 저조한 실적을 낸다. 상장회사 목록에서 아무거나 골라 유가증권을 사더라도 증권 투자 전문가들이 설립한 투자 신탁상품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평균 수익이 낫다는 말이다. 존재하지도 않는 전문성을 대가로 끔찍하게 많이 떼어가는 수수료만 생각해도 그게 더 낫다. 재미있게도 이런 이야기를 포트폴리오 컨설턴트에게 하면 “그런 것들을 잘 알고 있지만, 자신은 예외”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 역시 또 다른 ‘자신 과신의 예’에 불과하다고 행동경제학자들은 설명한다.

건설업이나 방위산업은 프로젝트를 완수하는 데 드는 비용을 항상 너무 부족하게 잡는다. 일정 계획은 계약을 따낼 때만 필요한 게 아니다. 일정이 너무 늦어지면 무거운 위약금을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 역시 자신들의 능력을 과대평가해 생기는 위험한 결과들이다.

최고경영자(CEO)가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덕목들이 필요하겠지만, 위험 확률과 자기 오류의 가능성을 정확하게 인정하는 것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는 게 인간의 뇌와 마음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메시지다.
편집자주 비즈니스에서 성공하려면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 구조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과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정재승 교수가 인간의 뇌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 및 경제적 의미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인간 심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만나보기 바랍니다.
 
필자는 KAIST 물리학과에서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미국 예일대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 물리학과 연구교수를 거쳐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도전, 무한지식> 등이 있다.
  • 정재승 정재승 | - (현)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부교수
    - 미국 컬럼비아의대 정신과 교수
    - 예일대 의대 정신과 연구원, 고려대 물리학과 연구교수
    jsjeong@kaist.ac.kr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