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Editor’s Letter

‘챗며들며’ 살아남기

김현진 | 372호 (2023년 07월 Issue 1)

챗GPT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지 반년이 지났습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기간이지만 ‘챗GPT 쇼크’라 불릴 정도로 세상은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출시 후 5일 만에 가입자 100만 명! 유튜브가 100만 명 사용자를 확보하는 데 8개월이 걸렸다는 사실을 상기한다면 그 관심의 크기를 가늠할 만합니다. 프로그래밍도 하고, 리포트나 보고서 작성을 거드는 등 내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인류가 함께 어느덧 ‘챗며들게(챗GPT에 스며들게)’ 된 겁니다.

실제로 설문 플랫폼 ‘나우앤서베이’가 6월 2∼7일 직장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응답자의 73.9%는 챗GPT를 필두로 구글 바드, 마이크로소프트 빙챗 등의 생성형 AI 챗봇을 사용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DBR 역시 생성형 AI를 이미 제작에 도입, 활용하고 있습니다. 눈썰미 좋은 분이라면 포착하셨겠지만 이번 호와 370호(2023년 6월1호) 표지 그림이 챗GPT와 미드저니를 활용해 탄생했습니다.

챗GPT 도입 초기에 사람들이 많이 경험한 GPT-3.5 모델은 학습 파라미터 수가 1750억 개로 인간 뇌 용량의 0.2%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챗GPT의 파라미터 수는 올해 3월 공개된 GPT-4 모델에 이르러 비약적으로 증가했습니다. 개발사인 오픈AI에 따르면 이는 인간으로 치면 미국의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SAT 읽기와 수학 평가 기준, 상위 10%의 성적을 받는 수준의 학습 능력입니다. 단순히 숫자로만 지적 능력을 가늠하긴 어렵겠지만 적어도 수치로는 ‘똑똑한 인간’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게 된 겁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