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usiness Trend in Sports

실리콘밸리는 왜 NBA에 투자했을까

이종성,권태근 | 312호 (2021년 0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NBA가 과거엔 지역 제조업 경영자들에 의해 운영됐다면 현재는 미국 월스트리트 투자가와 실리콘밸리 경영자들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 이들은 한 명의 스타가 팀의 운명을 바꿀 가능성이 가장 큰 종목이라는 농구의 특성과 축구 다음으로 세계 시장 공략에 용이한 스포츠라는 점에 착안해 NBA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이후 NBA는 빠르게 변했다. 이와 함께 새로운 세대의 NBA 경영자들은 포화 상태에 있는 미국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에 집중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 같은 NBA의 혁신적인 변화에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속에서 NBA의 최대 해외 파트너인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는 향후 NBA의 고민거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잦은 선수 트레이드로 인해 특정 팀을 오랜 기간 응원해 왔던 지역 팬들의 반발이 생겨난 것도 NBA의 과제로 남아 있다.



스포츠 구단이 창출한 혁신은 근본적으로 구단의 오너십(Ownership)과 관련이 깊다. 이 부분은 구단주의 경영 철학 문제와 직결돼 있으며 구단주의 본업이나 모기업의 업종별 특성과도 깊은 관련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세계 최고 프로 축구 리그로 발돋움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비약적 성장에도 이른바 ‘슈거 대디(Sugar Daddy)’로 불리는 러시아와 중동의 큰손 투자가들과 이미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 구단 운영의 노하우를 터득했던 미국 스포츠 투자가들의 공헌을 무시할 수 없다. 슈거 대디의 대표 주자는 맨체스터 시티를 유럽 정상급 클럽으로 만든 카타르 출신의 만수르이며 미국 투자가 가운데는 MLB(북미프로야구) 보스턴 레드삭스의 구단주로 리버풀의 새로운 전성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는 존 헨리가 있다.

오랫동안 프로야구단 운영을 모기업 홍보와 모기업 제품의 광고에 주로 활용했던 일본 프로야구에서 결정적 변화가 일어난 것도 2000년대 초반 일본 IT 산업을 이끌고 있는 구단주들의 등장과 연관돼 있다. 이들이 집중했던 부분은 야구장의 소유권 또는 광고권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일본 굴지의 IT 기업인 소프트뱅크는 홈구장 후쿠오카 돔을 과감하게 매입했고 2014∼2020년 6번이나 재팬 시리즈 정상에 올라 일본 프로야구의 소프트뱅크 왕조시대를 열었다. 또한 전자상거래 기업인 라쿠텐도 2005년 야구단을 창단하며 야구장 광고권을 비롯한 상업적 권리를 획득했고 2013년 일본 정상에 올랐다.

한국 프로야구에서도 2013년 프로야구 1군 무대에 데뷔한 NC 다이노스는 IT 게임 업체가 모기업인 구단답게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단 초기부터 기존의 선수 출신 전력분석원은 물론이고 선수 출신이 아닌 야구 데이터 분석가까지 포함한 데이터 팀을 구성해 ‘데이터 야구’의 지평을 열었다. 그리고 이는 2020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

하지만 최근 10년간 구단 오너십 변화를 통해 괄목할 만한 혁신을 이룬 리그는 단연 NBA(북미프로농구)다. NBA는 금융공학을 신봉하는 월스트리트 투자가들과 실리콘밸리 경영인들의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면서 IT를 활용한 첨단 데이터 분석과 과감한 선수 트레이드로 리그의 산업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121


바뀐 NBA 구단주 지형도와
변모한 트레이드 문화

2010∼2015년 무려 13명의 NBA 구단주가 바뀌었고 이때부터 NBA의 경영 혁신은 본격화됐다. 기존 NBA 구단주들은 주로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제조업으로 성공한 기업인들이었다. 이들은 지역정서에 민감했으며 구단 운영의 목적을 단지 수익 사업이 아닌 지역사회를 위한 복지사업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특히 이런 분위기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NBA 구단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글렌 테일러는 이런 경향을 대표하는 NBA 구단주였다. 그는 결혼식 대행업을 통한 성공을 발판으로 미국 최대 규모의 인쇄업체까지 운영했던 경영인으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의 구단주가 됐다. 2014년에는 미네소타주를 대표하는 지역신문인 스타 트리뷴의 경영이 악화돼 매물로 나오자 이를 사들이기도 했다. 그는 지역사회를 위한 활동에도 앞장섰다.

하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새롭게 NBA 시장에 진입한 구단주들은 대부분 금융 투자 그룹이나 IT 업계 출신이었다. 이들은 과거 NBA 구단주처럼 경제적으로 지역사회를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는 데는 큰 관심이 없었다. 대신 이들은 하룻밤 사이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는 증권이나 IT업에서 터득한 경영 방식을 구단 운영에 접목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