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Business Creativity Code

유레카의 방아쇠 ‘유추(Analogy) 코드’

박영택 | 252호 (2018년 7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유추는 창의성 코드 중에서 가장 고차원적인 것이다. 다른 창의성 코드들에 비해 추상적이기 때문에 적용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창조적 문제 해결에 필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아르키메데스의 일화에서 보듯이 유추는 유레카를 촉발하는 방아쇠 역할을 한다. 비즈니스 시스템 운영 관점에서 보면 기능 유추와 운영 시스템 유추가 중요하며 디자인이나 광고 등에서는 이미지 유추가 많이 활용된다.



편집자주
대부분의 사람에게 창의성은 손에 잡힐 듯하면서도 잡히지 않는 존재입니다. 무수히 많은 창의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면 그 안에 뚜렷한 공통적 패턴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창의적 사고의 DNA를 사례 중심으로 체계화해 연재합니다.


유추적 문제 해결
유추란 둘 또는 그 이상의 현상이나 시스템 사이 내적 관계의 유사성 또는 기능적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 인지심리학회지에 발표된 ‘유추적 문제 해결’이란 논문이 유추를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된다. 이 논문의 핵심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1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위장에 악성 종양이 있는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의사가 됐다고 가정하라 한다. 종양을 제거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환자가 죽지만 외과적 수술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강한 방사선을 조사(照射)하면 종양을 파괴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방사선이 지나가는 곳에 있는 다른 정상 세포들까지 다 파괴된다. 그렇다고 해서 정상 세포에 손상이 없을 정도로 방사선의 강도를 낮추면 종양을 소멸시킬 수 없다. 방사선을 이용해서 악성 종양을 파괴시키면서도 정상 세포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방법은 없을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이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 중 열에 하나 정도만이 해결책을 찾는다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해결책을 찾지 못하므로 잠시 머리를 식힐 겸 해서 화제를 돌려 다음과 같은 공격-분산 이야기를 들려준다.

한 장수가 적의 요새를 공략하기로 했다. 이 요새는 지역 중심에 있기 때문에 여러 갈래의 길이 사통팔달 연결돼 있다. 대규모 병력이 진격해 오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적들은 길목마다 지뢰를 매설해 놓았다. 이 때문에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서 적의 요새를 공격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밟아도 지뢰가 터지지 않을 정도로 병력의 규모를 줄이면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적의 요새를 공략할 수 있을까? 소규모 병력을 여러 갈래의 길로 나누어 투입한 후 요새 앞에 집결된 병력이 일시에 함께 공격하면 된다.

이 이야기를 들려주면 종양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사람이 10%에서 30%로 증가한다. 이때 공격-분산 이야기가 종양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한마디만 더 해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종양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읽은 여러분들도 이미 그 해결책을 찾았을 것이다.

방사선의 강도를 낮추되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종양을 향해 방사선을 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악성종양 주위의 정상 세포들은 손상되지 않고, 목표 지점에 집중된 방사선이 하나로 합쳐져서 종양을 파괴한다.

군사 영역의 공격-분산 이야기가 의료 영역의 종양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는 이유는 내적 관계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기능 유추
유추적 문제 해결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유추의 형태는 ‘기능 유추(Functional Analogy)’다. 역전코드에서 예로 든 라면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2차 대전 종전 후 식량 부족이 극심하던 시절 안도 모모후쿠(安藤百福)는 “추운 밤 포장마차에서 라면을 먹기 위해 사람들이 길게 줄을 늘어선 것을 보고 간편하게 끓여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뜨거운 물만 부으면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을 개발하기 위해 안도는 자기 집 마당에 세 평짜리 작은 실험실을 만들었다. 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맛을 가미한 라면을 장기간 부패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과 뜨거운 물을 부으면 빠른 시간 내에 부드러운 면발로 돌아가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1년 넘게 실패를 거듭하던 중 부인이 저녁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튀김을 만드는 것을 보고 ‘식품을 튀기면 식재료 내의 수분이 밀가루로 만든 튀김의 표면을 뚫고 단기간에 증발하면서 바삭바삭하게 건조되는데 면(麵)도 이와 같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맛을 가미한 면을 기름에 튀기면 건조 과정에서 표면에 작은 구멍들이 생기고, 다시 뜨거운 물을 부으면 이 구멍들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면서 빠른 시간 내에 면이 부드러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처럼 안도는 튀김 건조에서 유추해 라면 제조에 사용되는 ‘순간 유열건조법’을 개발했다.

117


회전초밥은 맥주공장의 운반 공정을 보고 생각해낸 것이다. 1947년 당시 33세의 히로이시 요시아키(白石義明)는 오사카에서 겐로쿠(元綠)라는 작은 생선초밥 가게를 운영하고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아사히맥주공장에 견학을 갔다. 거기서 컨베이어벨트를 보는 순간 “저 컨베이어 위에 초밥을 얹어서 돌리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다.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1958년 그는 세계 최초로 회전초밥 가게를 열었다. 2001년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뜰 때 그가 설립한 겐로쿠상요(元禄産業)는 일본 내에 250여 개의 지점을 운영할 정도로 사업이 번창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박영택

    박영택ytpark@skku.edu

    - (현)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
    -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단장
    - 영국 맨체스터경영대학원 명예객원교수
    - 중국 칭화대 경제관리대학 객원교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