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키워온 내 아이가 남의 아이였다면? 충격적인 설정입니다. 일본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인 ‘료타’는 성공한 엘리트 건축가입니다. 사랑스러운 아내, 아들과 함께 시내 한가운데 있는 고급 아파트에서 살며 걱정할 것 없는 일상을 보냅니다. 물론 일이 많아 가족과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낼 수는 없는 아빠입니다. 그 정도야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세상 대부분의 아버지가 그렇게 사니까 말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 평화로운 가정에 날벼락이 떨어집니다. 6년을 키워온 아들 ‘케이타’가 병원에서 바뀐 아들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연락을 받은 겁니다.
아이가 바뀌었다니 실제 친자를 기르고 있는 저쪽 부모를 만나야 했습니다. 만나보니 시골에서 허름한 전파상을 운영하며 간신히 생계를 유지하는 집안입니다. 하지만 넉넉하지 않은 환경임에도 아빠 ‘유다이’는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함께 놀아주는 친구 같은 아빠입니다. 친자 ‘류세이’는 그 집의 세 아이 중 맏이로 자라고 있었습니다. 양쪽 집안은 일단 자주 만나면서 주말에는 아이를 바꾸어 생활하며 서로에게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갖기로 합니다. 그런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자란 친자 류세이는 주인공인 료타의 집에서 자꾸 겉돌기만 합니다. 료타는 모든 걸 아이 스스로 하게 하고, 매일 피아노 연습을 강요합니다.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란 류세이는 이런 료타의 강요에 불만을 품고 자꾸 어깃장을 놓습니다. 반면 유다이네 집으로 간 케이타는 금세 그 집안의 단란한 분위기에 적응합니다. 결국 사달이 납니다. 류세이가 집을 나간 겁니다. 알고 보니 원래 자기가 살던 시골집으로 가출 아닌 가출을 감행했던 겁니다. 주인공 료타는 가슴이 아픕니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머릿속은 복잡하기만 합니다. 그렇게 다시 찾아간 시골 전파상. 거기서 료타는 원래 키우던 아이였던 케이타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하며 마음의 벽을 허뭅니다. 료타는 그렇게 진짜 아버지가 됐습니다.
영화 줄거리를 이렇게 길게 펼쳐놓은 이유는 다른 게 아닙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건져 올린 리더십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먼저 료타의 교육 방식입니다. 료타는 아이에게 엄격합니다. 아이는 정해진 규칙을 따라야만 합니다. 이른바 우등생, 모범생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따라야 할 규율입니다. 하지만 친자인 줄 알고 키웠던 케이타가 늘 풀 죽어 있었던 이유도, 그리고 뒤늦게 친자임이 밝혀진 류세이가 결국 가출을 감행했던 이유도 모두 이런 료타의 확고부동한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한 번 생각해 볼 일입니다. 과연 누구를 위한 규율인지 말입니다. 유연한 조직문화로 유명한 넷플릭스는 ‘직원을 어른으로 대한다’는 대원칙을 갖고 있습니다. 일일이 간섭하고 지시하고 통제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목표가 정해지면 목표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직원들을 믿고 그들에게 맡긴다는 이야기입니다. 직원을 관리의 대상인 객체로 보는 게 아니라 각자의 일과 삶의 주체로 존중해주기 때문입니다. 아이도 그렇거니와 직원들 역시 동물원의 철창 속 동물이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리더십과 관련해 제 눈길을 끈 두 번째 대목은 료타와 유다이의 대화 장면입니다. “료타 씨는 나보다 젊으니까 애랑 함께 있는 시간을 더 만들지 그래요?” “시간만 중요한 건 아니죠.” “무슨 소리예요? 애들한테는 시간이 중요해요.” “회사에서 내가 아니면 안 되는 일이 있어서요.” “아버지란 일도 다른 사람은 못 하는 거죠.”
맞습니다. 케이타가 낯선 유다이네 집에 가서도 쉽게 어울리며 적응할 수 있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습니다. 아빠가 아이들과 함께 목욕하고, 함께 밥 먹으며, 함께 나눈 그 시간의 크기 말입니다. 반면 료타는 뭐든 혼자 하게 하는 것을 방침으로 내세우며 류세이를 외롭게 만듭니다. 류세이에게 료타는 날 응원하고 지지해주는 자상한 아빠가 아니라 매사에 엄격한 지시자, 통제자, 관리자일 뿐이었던 겁니다. 기업의 리더도 마찬가지입니다. 리더십의 핵심은 ‘공감’입니다. 나와 다른 세상에서 그저 나에게 지시하고 명령하는 리더의 말은 어느 누구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눈을 맞추며 함께 이야기 나누는 진정성의 소통이 공감을 빚어냅니다.
마지막입니다. 원래 키우던 아들 케이타에게 무릎을 꿇고 눈을 맞추며 진심 어린 사과를 하는 료타의 모습에서도 리더십의 핵심이 녹아 있습니다. ‘사과하는 리더’의 모습 말입니다. 리더는 완벽한 신이 아닙니다. 리더도 실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리더는 사과에 인색합니다. 그저 뭉개고 가려고만 합니다. 직원들과의 간극을 더욱 벌어지게 만드는 일입니다. 진솔한 사과가 사람의 마음을 엽니다. 잘못했을 때 솔직하게 사과할 수 있는 모습이 리더의 용기입니다.
이상,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에 대한, 조직문화와 리더십 관점에서의 후기입니다. 물론 영화 그대로의 교훈도 큽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건 ‘아빠의 성공’이 아니라 ‘아빠와의 시간’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그러고 보면 리더십이나 자녀 교육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진심으로 사랑하고, 믿고 기다려주는 게 중요합니다. 물론 지난한 과정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우리도 리더가 됩니다. 료타가 아버지가 되듯이 말입니다.
필자소개안병민 열린비즈랩 대표 (facebook.com/minoppa)안병민 대표는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헬싱키경제대학원 MBA를 마쳤다. 대홍기획 마케팅전략연구소, 다음커뮤니케이션과 다음다이렉트손해보험의 마케팅본부를 거쳐 휴넷의 마케팅이사(CMO)로 고객행복 관리에 열정을 쏟았다. 지금은 열린비즈랩 대표로 경영혁신•마케팅•리더십에 대한 연구•강의와 자문•집필 활동에 열심이다. 저서로 『마케팅 리스타트』 『경영일탈-정답은 많다』, 감수서로 『샤오미처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