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원포인트 회계

기업 수익성 평가, ‘재무비율’로 한눈에

김범석 | 248호 (2018년 5월 Issue 1)
평소에 정확한 돈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철수는 카페를 운영할 때도 FM 1 대로 회계처리를 고수하고 있다. 여러 기업체에 커피를 공급하는 등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정확한 회계처리의 중요성을 더욱더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철수는 중견기업의 회계부서에서 근무하는 아들의 도움을 받아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도 매년 작성하고 있다. 요즈음 철수는 이러한 재무정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민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사업이 잘되고 있는지도 궁금하고, 특히 원재료 구입을 위해 대금을 지급하고 매출 이후에 대금이 회수될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도 궁금하다. 하지만 아무리 재무제표를 들여다봐도 이런 정보를 찾을 수가 없다.

재무제표를 일반인이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이 회계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이때 중요한 정보만을 간결한 수치로 나타내서 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이를 ‘재무비율 분석’ 또는 ‘재무지표 분석’이라고 한다. 재무비율(지표) 분석이 자주 활용되는 또 다른 이유는 기업 간의 비교분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간 매출액이 1000억 원이고 영업이익이 100억 원인 회사 A와 연간 매출액이 400억 원이고 영업이익이 50억 원인 회사 B가 있다고 할 경우, 회사 A와 B 중에 어떤 회사가 장사를 더 잘한 것일까? 두 회사를 쉽게 비교하기 위해서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누어 보면 회사 A의 영업이익률이 10%이고 회사 B의 영업이익률이 12.5%이므로 B 회사가 더 효율적CN::2::/CN:: 으로 장사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철수가 특히 궁금했던 사항은 ‘현금 전환주기(Cash Conversion Cycle)’라는 재무비율을 계산해 쉽게 산출할 수 있다. 현금 전환주기란 기업이 원재료를 구입하기 위해 현금을 지급하고, 제품을 생산한 뒤에 판매해서 현금이 다시 기업으로 들어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익주기(Earnings Cycle)’라고도 한다. 철수의 경우 커피 원두를 구입하기 위해 대금을 지급하고 커피를 판매한 후 카페 또는 기업체로부터 대금을 회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아래 산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37


위의 식을 살펴보자. 우선 ‘재고자산 회전기간’은 원두가 투입된 시점에서 커피가 판매돼 매출이 찍히는 시점을 의미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매출이 발생한다고 해서 현금이 바로 들어오지는 않는다. 이렇게 외상으로 판매된 경우, 현금이 입금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더해야 하는데 이 기간이 바로 ‘매출채권 회전기간’이다. 또, 원재료를 구매할 때도 현금을 바로 지급하지는 않는 게 일반적이다. 철수가 원두를 구입한 뒤 일정 시점 이후에 현금이 지출되므로 이 기간은 현금 전환주기 계산 시에 제외돼야 한다. 이를 ‘매입채무 회전기간’이라고 한다.

즉, 만일 철수가 계산한 현금 전환 주기가 아래와 같다면,

수가 원두를 투입해 커피를 판매하기까지 평균 10일이 소요되고, 카페뿐만 아니라 기업체 등으로부터 커피 판매 후 평균 3일 이내에 현금이 입금되며, 외상으로 구입한 원두는 평균 5일 정 도 후에 업체와 정산을 한다는 의미다. 즉, 철수는 최소한 8일 정도의 현금을 운영자금으로 소유하고 있어야 자금이 부족할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무에서 사용되는 재무비율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재무 안정성과 관련된 ‘안정성 비율(유동비율, 부채비율 등)’, 수익성을 측정하는 ‘수익성 비율(매출총이익률, 영업이익률 등)’, 기업의 규모와 매출 등의 성장성을 볼 수 있는 ‘성장성 비율(매출액 증가율, 총자산 증가율 등)’,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산을 사용했는지를 알 수 있는 ‘활동성 비율(총자산 회전율, 매출채권 회전율 등)’ 등이 있다. 회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더라도 재무비율의 비교 분석을 통해 기업의 재무현황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DBR mini box

경영실무 Tip

기업 경영 활동의 전반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재무비율은 유용한 지표로 활동될 수 있다. 다만, 재무비율을 무작정 받아들이는 것은 주의가 필요하다. 재무비율의 숫자는 회사의 사업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체와 화장품업체의 재무비율 i 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한, 재무비율에 나타난 가치는 장부가치(Book Value)로 기업의 과거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미래의 경제적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기업마다 회계처리가 다른 경우도 재무비율의 단순한 비교는 부적절하다. 국가에서 ‘(해당 국가의) 기업회계기준’을 기업이 도입하도록 권고하는 이유도 기업 간의 비교를 쉽게 해주기 위함이다.



김범석 회계사 ah-men@hanmail.net

필자는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MBA 과정을 이수했다. 삼일회계법인 및 PWC컨설팅에서 13여 년간 외부 감사, 재무전략, 연결경영관리 및 리스크 매니지먼트 등 CEO 어젠다 위주의 프로젝트성 업무를 맡았다. 연결 결산, 자금 관리 및 회계실무 등에 대한 다수의 강의를 진행했고, 현재 글로벌 패션회사의 그룹 어카운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 김범석 | -회계사
    -(현) 글로벌 패션회사의 Group Accounting 업무를 담당
    -삼일회계법인 및 PWC Consulting에서 CEO Agenda 위주의 프로젝트성 업무를 맡음
    ah-men@hanmail.net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