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각

기술 혁명보다 의식 혁명이 중요. 묻고 따지며 집단지성으로 만들어야

김경집 | 230호 (2017년 8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우리는 경주 ‘포석정’이라고 하면 자동적으로 별다른 의문 없이 신라 경애왕이 음주가무를 즐기다가 나라를 말아먹은 곳을 떠올린다. 하지만 경주가 함락당한 12월, 한겨울에 임금이 궁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과연 음주가무를 즐겼을까. 실은 그곳에 화랑 문노를 모시는 사당이 있었다. 임금이 포석사에 간 것은 문노에게 제를 지내며 백성들에게 결사항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정치적 메시지였다. 묻고 따져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본 모습과 의미를 볼 수 있다.


20230621_104036

대학시절 컴퓨터를 배워둬야 한다는 주변의 재촉에 이공대학의 컴퓨터 수업을 들었다. 포트란이니, 코볼이니 하는 컴퓨터 언어를 배우느라 머리에서 쥐가 날 지경이었다. 프로그래밍하는 것도 어렵거니와 전문 언어는 난공불락처럼 느껴졌다. 그래도 어찌어찌 조금은 익혔다. 그러나 별로 써먹을 일이 없었다. 그냥 배우기만 했다.

그러다가 MS-DOS와 디렉토리라는 놀라운 혁명이 출현하면서 숨통이 트였다. 하지만 그건 결국 내가 수집하고 필요한 정보를 내 컴퓨터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것이었을 뿐이다. 그러다가 한참 뒤 인터넷이 출현하면서 이전의 그 모든 것이 무용지물이 됐다. 그 기간이 개인적으로는 20년쯤 걸렸다. 이 경험에서 중요한 영감을 얻었다. 지금의 기술과 정보의 혁신의 속도는 예전의 그것과 비교되지 않을 만큼 빠르다. 머지않아 그 결과물들을 만나게 될 것이고, 그것들을 나는 소비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소비하고, 어떻게 부가가치를 키울 것인가.



입체화된 지식의 필요성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첨단 ICT에 기반한 산업융합과 초연결성 등을 토대로 우리의 상상이 현실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그런데 우리는 무엇을 상상하고 있으며 그 상상의 ‘재료’는 무엇인가?

우리가 가진 지식의 양은 매우 많다. 아마도 세계에서 우리만큼 많은 지식과 정보를 배우는 나라도 별로 없을 것이다. 학교에서 배운 것만 해도 엄청나게 많다. 다만 그것을 오직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넌 대답만 하면 돼”)’ 방식의 주입식 교육으로, 일방적으로 배우고 훈련받았기 때문에 정작 그것을 활용하는 영역은 부족하다. 수많은 지식과 정보도 결국은 최신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징검다리’로밖에 활용하지 못한다. 모든 지식이 평면적이고 직선적이다.

만약 그 지식들을 입체화하는 데 집중하면 콘텐츠는 엄청난 가치로 변모할 수 있다.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에 의해 약 7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약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길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러면 결국 5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셈이다. 사라질 일자리에 집착하는 대신 새로운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내야 한다. 그 첫 단추가 기존 지식과 정보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천고마비(天高馬肥)라는 말을 들으면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로 해석하고 그 속뜻은 ‘가을’이라고 대답한다. 문자적으로는 혹은 평면적으로 이런 해석은 맞다. 그러나 고사성어는 두 가지 측면을 이해해야 한다. 첫째, 그 원산지가 대부분 중국이라는 것과, 둘째, 이야기 구조를 가졌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 참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 사람과 사건을 입체적으로 조망해야 한다.

20230621_104044

 
중국은 농업국가였다. 농업사회에서 말(馬)은 일상적인 게 아니다. 그것은 속도나 전쟁과 관련이 있다. 주마간산(走馬看山)이나 주마가편(走馬加鞭)이 속도의 사례에 해당하고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전쟁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이 ‘말’이 어떤 말인지 물어야 한다. 천고마비의 말은 바로 흉노의 말이다. 중국인들에게 북방의 기마민족은 공포의 대상이었다. 흉노, 여진, 거란 등 북방민족은 중국의 존망을 결정할 만큼 위협적이었다. 그 두려움이 만리장성의 축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북경이라는 수도의 ‘극단적 위치’도 바로 그러한 문제에 직결됐다. 하늘이 높은 계절은 바로 가을이다. 가을이면 추수를 한다. 추수가 끝나면 노동에서 해방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니 느슨해진다. 반면 북방의 기마족인 흉노는 초지에서 말을 잘 키웠는데 농지가 부족하니 식량을 조달하기가 어려웠다. 중국이 힘이 세면 곡물을 사되 만만하면 약탈로 채웠다. 중국인들에게 기마민족이 잘 키운 말을 타고 바람처럼 달려와 매처럼 채가면 일 년 농사는 헛일이 돼버렸다.

그러니 중국인들에게 천고마비의 속뜻은 ‘유비무환(有備無患)’ 등의 의미였다. 그런데 우리는 옥편의 설명에서 (1)번에 해당하는 의미만 나열해서 ‘하늘(天)’은 ‘높고(高)’ ‘말(馬)’은 ‘살찐(肥)다’라고 사용한다. 우리의 지식이라는 게 상당 부분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것들이 많다. 질문도 없고, 토론도 없으니 입체적 사고는 무망하다. 이런 지식의 축적이 무슨 의미와 가치를 가지겠는가. 입체적 사고를 통해서 바라보면 그 내용과 속뜻이 달라진다. 수많은 평면적 지식들을 입체화하기만 해도 우리가 지닌 지적 자산의 부가가치 확대의 가능성은 커진다. 거기에 새롭게 제공되는 ‘혁명적인’ 기술과 정보의 장착은 그것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