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Journal Watch

외향적 CEO가 그래도 좀 낫다 外

김유진 ,김현경,류주한,곽승욱 | 230호 (2017년 8월 Issue 1)
Strategy



외향적 CEO가 그래도 좀 낫다



“Routine regulation: Balancing conflicting goals in organizational routines”, by Carlo Salvato and Claus Rerup i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017, pp.1-40.



무엇을, 왜 연구했나?

최고경영진은 기업구성원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의 성격과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지배집단이다. 경영진의 성향, 사고방식, 비전은 곧 기업행위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많은 연구자들은 최고경영진의 성향이 기업의 전략적 선택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CEO의 성격이 정말로 중요한 요소인지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했다. 최근 관심사는 CEO가 외향적인 경우와 내향적인 경우 어떤 성향이 기업 성과에 유리하며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데 있는 듯하다.

흔히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스티브 발머 회장처럼 활발하고 공격적인 사람을 성공한 CEO의 일반적 성향으로 연상한다. 그러나 외향적 CEO가 성공할 거라는 편견과 달리 버진그룹의 리차드 브론슨 회장같이 내향적인 인물들도 많다. 이들은 반드시 인정받으려 애쓰지도 않고, 더 섬세하게 조직을 이해하고 아우르는 데 탁월하다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최근 연구를 보면 적어도 융복합, 합종연횡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엔 CEO의 외향적 성향이 더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융복합 시대에 핵심 경쟁 전략으로 더욱 각광받는 것이 기업 인수합병(M&A)이다.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 학자로 구성된 한 연구진은 CEO의 외향적 성향이 인수합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연구했다. 연구진은 긍정적 사고, 단호한 의사결정, 구성원과 어울리기를 즐기고 영감을 주고 리드하기를 즐기는 것 등을 외향적 성향으로 정의하고, 이런 성향의 CEO들이 과연 인수합병 과정에서의 혼돈, 불확실성, 변화에 더 잘 대응하는지를 살펴봤다.



무엇을 발견했나?

연구진은 S&P 1500에 등록돼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분기별 실적발표에 나타난 8만7632개의 회의 자료를 살펴본 후 발언 내용을 바탕으로 CEO 2381명의 성향을 분석했다. 동시에 해당 CEO가 재직한 기업의 인수합병 관련 자료를 SDC Platinum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 M&A 선택 여부, 성과 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외향적 CEO들은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을 모색하는 경향이 컸으며 같은 조건이면 규모가 큰 딜을 선호했다. 이들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인수합병에 관한 핵심 정보를 더 잘 수집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인수 의지에 대해 주주들의 호응도도 높았다. 결국 이들이 수행한 인수합병은 평균 이상의 성과를 달성해냈다.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었는가?

내향적 CEO와 외향적 CEO 중 누가 더 바람직한 리더인가가 한동안 관심사였다. 각각의 장담점이 있으니 두 성향을 조화롭게 발휘할 수 있는 경영진이 당연 으뜸일 수 있겠다. 다만 융복합 시대에 산업 간 장벽이 무너지고 기업 간 연결, 새로운 환경적응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진 지금 인수합병을 세련되게 수행해 낼 수 있는 외향적 CEO가 그래도 좀 더 나은 위치에 있지 않나 연구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경영진이 외향적 덕목을 키우는 데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다만 외향적이라는 의미가 우리가 이해하는 그것과는 사뭇 다를 수 있다. 연구진의 주장처럼 CEO의 외향적 덕목은 자신감, 자만감(hubris)이 충만한 상태가 아니라 난관 앞에서도 긍정적이고 끊임없이 구성원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모습이어야 한다.



류주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jhryoo@hanyang.ac.kr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유치, 해외직접투자실무 및 IR, 정책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 바 있으며 국내외 학술저널 등에 기술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PMI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가입하면 무료

  • 김유진 ykim@temple.edu

    -(현)템플대 경영학과 교수
    -(전)캘리포니아 주립대 교수로 2년간 재직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김현경

    김현경fhin@naver.com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연구교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류주한

    류주한jhryoo@hanyang.ac.kr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필자는 미국 뉴욕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에서 석사(국제경영학), 런던정경대에서 박사(경영전략) 학위를 취득했다. United M&A, 삼성전자, 외교통상부에서 해외 M&A 및 투자 유치, 해외 직접투자 실무 및 IR, 정책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국내외 학술 저널 등에 기술 벤처, 해외 진출 전략, 전략적 제휴, 비시장 전략, PMI, 그린 공급망 관련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 곽승욱

    곽승욱swkwag@sookmyung.ac.kr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

    필자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와 텍사스공과대에서 정치학 석사와 경영통계학 석사, 테네시대에서 재무관리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유타주립대 재무관리 교수로 11년간 근무한 후 현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행동재무학/경제학, 기업가치평가, 투자, 금융시장과 규제 등이다.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