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Management by Map

새 길을 찾거나, 아는 것에 집중하거나... 문제는 ‘나’... 내 길을 만들어라

송규봉 | 216호 (2017년 1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연말 스트레스’ 조사를 보면 가장 많은 수의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으로 ‘나 자신’을 꼽는다.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이다. 모두가 ‘미래 예측’에 매달리는 이때에,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할 필요가 있다.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사고의 전환’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핀란드 미래위원회는 ‘예측의 성패’를 중시하지 않는다. 어떤 미래에 어떻게 대비할지 고민하고 토론하는 게 핵심이다. 개인 스스로 미래가 불안하다면 ‘나는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라는 실행 중심으로 생각해보자.
2) GE는 미래를 비교적 잘 대비했다. 제프리 이멜트가 가진 최고의 능력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는 능력’이었다.
3) 한밭대장간의 ‘서민 갑부’ 전만배 사장은 ‘쇠 다루는 능력’을 ‘칼을 갈고 만드는 능력’ 하나로 집중시켜버렸다.

위 세 덕목은 어디에 가서 누군가에게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가 자신의 스승이 돼야 한다. 신문을 읽어 수평지식을 넓히고 전문지를 읽어 수직적 지식의 깊이를 심화시켜라.


편집자주
DBR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경영 효율성을 높이거나 혁신에 성공한 사례를 소개하는 ‘Management by Map’ 코너를 연재합니다. 지도 위의 거리든, 매장 내의 진열대든, 선수들이 뛰는 그라운드든 공간을 시각화하면 보이지 않던 새로운 정보가 보입니다. 지도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지혜와 통찰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은 ‘나 자신’

“사람은 자신을 욕할 때 가장 외롭다.” 시인 고은이 일기장에 남긴 구절이다. 한 해를 마감하는 12월30일에는 이렇게 썼다. “이제까지의 내가 다른 내가 되기 위해서는 한 번 죽고 한 번 더 태어나야 한다. 내 정신의 삶은 그런 죽음과 재생 없이는 너무 빨리 너무 진부해져 버렸다. 진부해지는 것! 이 이상의 범죄는 없다. 내년. 또 하나의 답습이 아닌가? 비참하구나. 나 자신이 말세 같았다. 말세란 창조의 의미가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일 것이다.”1  자신에 대한 통렬한 성찰을 적었다.

비슷한 마음의 직장인도 많다. 직장인 350명을 대상으로 ‘연말 스트레스’에 대해 조사했다.2 ‘스트레스를 주는 사람이 있다면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3.2%가 ‘나 자신’이라고 답했다. 이어 ‘직장 상사·동료’ 15.8%, ‘부모님·가족’ 10.5%, ‘친구’ 10.5% 순이었다. ‘연말에 스트레스를 더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물었다. ‘한 해가 마무리됨에 따른 조급한 마음’이라는 의견(29%)이 1위였다. 이어 ‘인사평가·연봉협상(18.4%)’ ‘금전·경제문제(13.2%)’ ‘새해 준비 부족(13.2%)’ ‘나이·결혼 압박감(10.5%)’ 순이었다.

자신에 대한 불만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매년 커지고 있는가? 그렇다면 잠시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다음 세 가지를 짚어볼 일이다. 첫째, 미래 대비의 방식, 둘째, 일의 성격에 대한 재탐색, 셋째, 자신에 대한 재해석이다. 직장인들이 겪는 불안함의 뿌리에는 미래에 대한 걱정이 깔려 있다. 그러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자신이 선택한 분야, 회사, 부서의 미래가 괜찮을 것인가? 궁금하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현명하게 헤쳐나가기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질문하게 된다.


핀란드 미래위원회

“우리의 임무는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명하게 준비하는 것이다.”3 2500년 전 아테네 정치가 페리클레스의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현재의 세계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우리가 미래를 오차 없이 예측할 수는 없으리라. 인식의 한계를 겸손하게 인정해야 한다. 또 한 가지 생각을 달리해볼 부분이 있다. 미래에 대해 상상하고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는 것이다. 미래는 오늘 우리의 행동에 의해 바뀌어 나갈 것이다. 특히 개인의 미래는 더욱 그러하다. 미래는 생각과 행동의 교차로 위에서 준비돼야 한다.


133


연말연초마다 미래 전망에 관한 서적과 기획 특집이 쏟아진다. 계획의 시즌이기 때문이다. 어떤 미래가 올 것인가? 이렇게 질문하는 것보다 어떤 미래를 만들 수 있을까? 질문을 행동 중심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어떤 미래학자와 연구기관의 미래 예측이 설득력 있는가? 이렇게 질문하는 대신, 가장 미래 대응을 잘해온 개인, 조직, 기업은 누구인가? 그들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실천적인 지혜를 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첫 번째로 소개하고 싶은 사례는 핀란드의 미래위원회다. 핀란드 의회에는 200명의 국회의원이 있다. 중앙당, 국민연합당, 사민당, 녹색동맹, 인민당 등 8개 정당이 공동정부와 야당연합을 구성하고 있다. 핀란드 의회는 모두 16개 상임위원회로 구성된다. 법률, 재정, 행정, 교통통신, 농림업, 국방, 교육, 복지, 산업, 고용, 환경 분야로 나뉜다. 가장 눈에 띄는 위원회는 미래위원회(Committee for the Future)이다. 1993년에 만들어졌다. 17명의 국회의원이 일상적으로 미래를 진단한다. 국가 차원의 대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다양한 공식보고서를 발표하고 세미나도 개최한다.

가입하면 무료

  • 송규봉

    송규봉mapinsite@gisutd.com

    - (주)GIS United 대표
    - 연세대 생활환경대학원 겸임교수
    - 와튼경영대학원, 하버드대 GIS연구원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