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The Creativity in My Hand

고착: 붙어 있으면 변화 어렵죠 분리: 유연하니 혁신 내맘대로…

박영택 | 212호 (2016년 11월 lssue 1)
Article at a Glance

분리, 분할, 분업, 분류, 분석, 분별, 분해, 분납 등과 같이 우리말에 ‘나눌 분(分)’자가 들어가는 단어가 많다. ‘나눈다’는 것이 그만큼 쓰임새가 많다는 뜻이다. SIT의 4번째 사고도구인 ‘분리(Division)’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분리 또는 분할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분리는 창의적 발상을 가로막는 ‘구조적 고착’을 극복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편집자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창의성은 손에 잡힐 듯하면서도 잡히지 않는 존재입니다. 무수히 많은 창의적 사례들을 분석해보면 그 안에 뚜렷한 공통적 패턴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창의적 사고의 DNA를 사례 중심으로 체계화해 연재합니다.



지난 DBR 기고문을 통해 40가지 발명원리로 구성돼 있는 TRIZ(창의적 문제해결이론을 뜻하는 러시아어 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ch의 앞 글자를 딴 용어)의 핵심을 5가지 원리로 요약 정리한 SIT(체계적 발명사고·Systematic Inventive Thinking) 중 첫 번째 사고 도구인 ‘제거(Subtraction)’, 두 번째 사고 도구인 ‘용도통합(Task Unification)’, 세 번째 사고도구인 ‘복제’를 다룬 바 있다. 이번에 다룰 내용은 SIT 중 네 번째 사고도구인 ‘분리(Division)’다.



나누어서 지배하기

‘분리’의 개념이 적용된 제품 중 우리 모두에게 친숙한 것으로는 ‘커터 칼’이 있다. 커터 칼은 작은 인쇄소에서 종이 재단사로 일하던 일본의 오카다 요시오(岡田良男)가 발명했다고 한다.1 당시 인쇄소에서는 칼과 면도날 등을 이용해 종이를 잘랐는데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칼날이 무뎌지는 것이 문제였다. 무뎌진 부분을 부러뜨린 후 다시 사용하면 마치 새 날처럼 종이를 쉽게 자를 수 있지만 단단하고 날카로운 칼날은 부러뜨리기 힘들 뿐 아니라 부러뜨리다가 종종 손을 다치는 일도 있었다. 그 무렵 다른 인쇄소에서 일하던 동생이 찾아와 같은 어려움을 하소연했다.

동생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요시오는 어릴 때 미군에게 얻어먹던 초콜릿이 생각났다. “작고 네모난 칸으로 나눠진 초콜릿처럼 칼도 쉽게 잘라서 사용할 수 없을까”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이러한 생각을 갖고 일하던 어느 날 실수로 유리컵을 깨뜨렸다. 바닥에 떨어진 유리컵을 주워 잘린 면을 들여다보던 그는 갑자기 환호성을 질렀다. 구두 장인들이 고무를 자를 때 유리를 잘라서 쓰는 것처럼 칼도 그렇게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날 이후 요시오는 네모난 초콜릿이나 구두 장인들이 사용하는 유리조각과 같이 부러뜨려서 사용할 수 있는 칼을 만들기 위한 연구에 몰두했다. 끊어지는 칼날의 크기, 선의 각도, 홈의 깊이 등을 정한 후 칼의 형태를 접이식 대신 슬라이딩 방식으로 바꾸었다. 칼날을 부러뜨린 만큼 앞으로 밀어낼 수 있는 커터 칼은 이렇게 탄생했다.

우산에 분리의 개념을 적용한 재미있는 사례를 보자. 2012년 홍익대에 재학 중이던 김석휘, 김성진, 김다솔은 도마뱀 꼬리 자르듯이 우산 손잡이만 분리해서 따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도마뱀 우산’을 고안했다. 이 우산의 용도는 무엇일까?

img_20161027_114_1

도마뱀 우산(Lizard Umbrella) (Courtesy of Seongjin Kim et al.)

아마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이야기일 듯하다. 비 오는 날 식당에 가면 입구에 있는 보관대에 우산을 꽂아놓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만약 보관대에 꽂아둔 우산이 새로 산 것이나 값비싼 것이라면 누군가가 내 우산을 실수나 고의로 가져가면 어쩌나 염려된다. 이런 경우 우산 손잡이만 떼서 식당 안으로 가지고 가면 된다. 손잡이가 없는 우산은 망가진 것처럼 보이므로 다른 사람이 집어 갈 가능성이 적다.

그런데 이러한 도마뱀 우산도 많이 보급되면 남이 가져가서 다른 손잡이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우려까지 없애려면 우산대와 손잡이의 연결 부분을 열쇠 모양으로 만들어서 자기 손잡이가 아니면 들어갈 수 없도록 제작하면 된다. 이 아이디어는 2012 레드닷디자인상(Reddot Design Award)의 최고상(best of the best)을 수상했다.



물리적 분리

물리적 분리는 앞서 설명한 ‘도마뱀 우산’처럼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다. 프랑스의 주방용품 업체인 테팔(Tefal)은 프라이팬과 냄비의 손잡이를 몸체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매직 핸즈(Magic Hands)’를 1996년에 출시했다. 손잡이를 분리하면 여러 개를 쌓아서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손잡이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가정 내 수납공간이 적은 일본에서 100만 개 이상 팔릴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매직 핸즈의 성공 덕분에 테팔은 일본을 프랑스에 이은 제2의 소비시장으로 키울 수 있었다.

물리적 분리의 대표적 유형 중 하나는 한 덩어리로 일체화된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고 이를 관절로 연결해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멀티탭은 막대기 모양의 고정된 몸체 안에 여러 개의 콘센트가 붙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충전기나 어댑터를 나란히 꽂기 어렵다. 2012 레드닷디자인상을 수상한 쿼키 사의 피벗 파워(Pivot Power)는 멀티탭의 콘센트들을 관절로 연결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콘센트들을 관절로 연결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반원형 또는 지그재그 모양 등으로 형태를 쉽게 바꿀 수 있다.

img_20161027_114_2

피벗 파워(Pivot Power) (Courtesy of Quirky)

스케이트 신발에도 분리의 개념을 적용한 재미있는 예가 있다. 스피드 스케이트는 빙상 스포츠 중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이 세계적 기량을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다. 직선 구간이 승부처이기 때문에 스피드 스케이트의 날은 얇고 길다. 날이 얇을수록 얼음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져 추진력이 향상되고 날이 길수록 직진성이 좋아진다.

클랩 스케이트(Clap Skate)는 이러한 스피드 스케이트화에 일대 변혁을 몰고 온 제품이다. 이 신발은 네덜란드에서 개발됐는데 발을 옮길 때마다 ‘탁, 탁’ 소리가 난다고 해서 ‘클랩(clap)’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얇고 긴 날이 부츠에 고정돼 있는 전통적인 스케이트 신발과는 달리 클랩 스케이트는 날의 앞부분에 관절을 달아서 발뒤꿈치를 들어도 날이 빙판에 붙어 있도록 한 것이다. 경기하는 내내 스케이트 날이 빙판과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날과 얼음 사이의 마찰이 줄어든다. 따라서 가속과 속도 유지에 유리하며 체력 소모도 상대적으로 적다.

img_20161027_114_3

클랩 스케이트(Clap Skate) (출처: Wikimedia Commons, CC BY-SA)

클랩 스케이트가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에서 이 스케이트화를 신은 네덜란드 선수들이 5개의 종목에서 세계 신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그 이후 대다수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이 클랩 스케이트를 사용하게 됐다.




가입하면 무료

  • 박영택

    박영택ytpark@skku.edu

    - (현) 성균관대 시스템경영공학과 교수
    -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단장
    - 영국 맨체스터경영대학원 명예객원교수
    - 중국 칭화대 경제관리대학 객원교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