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Jazz & Business

최소구조+최대자율, 모던재즈, 자율경영의 통찰력을 가르쳤다

허연 | 172호 (2015년 3월 Issue 1)

 

Article at a Glance

 재즈 역사상 최고의 명반으로 꼽히는 ‘Kind of blue’는 코드를 그대로 읽어 내려가며 연주하는 기존 스탠더드 방식에서 벗어나 몇 개의 단조로운 코드를 기본으로 하되 연주자의 개성 및 음악적 해석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모달 재즈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조직도 마찬가지다.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일일이 통제하고 관리하기보다는 행동 규범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들에게 최대한의 자율성을 부여했을 때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1959 32, 오후 230. 뉴욕 맨해튼 30번가 컬럼비아레코드사 스튜디오에 6명의 연주자가 들어섰다. 트럼펫의 마일즈 데이비스, 베이스의 폴 챔버스, 알토 색소폰의 줄리안 캐논볼 애덜리, 드럼의 지미 콥, 테너 색소폰의 존 콜트레인, 피아노의 빌 에반스였다.

 

 

밴드의 리더 격인 33살의 마일즈 데이비스는 언제나 그렇듯 냉정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그는 평소 그를 쳐다보는 관객에게 무안함을 줄 정도의 차가운 표정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이날만큼은 흥분을 애써 감추려는 모습이 역력했다. 당시 대세를 이루던 다양한 코드 변화와 빠른 템포의 즉흥연주가 연주자의 창의성을 저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새로운 시도를 모색해 왔던 마일즈 데이비스에게 그동안의 실험이 음반으로 구체화되는 날이었기 때문이다.

 

멤버가 모두 모이자 마일즈 데이비스는 자신이 만든 주제 선율을 간단히 보여주고 연주할 곡에 대한 스케치를 나눠줬다. 멤버들은 당황했다. 악보로 부를 수 있을 정도의 형식은 불과 몇 군데에서 간신히 찾을 수 있을 뿐이었다. 간단한 멜로디 라인과 스케일(scales)1 을 이용해 연주하라는 메시지가 전부였다. 당시 유행하던 코드 위주의 연주는 연주자가 악보를 읽고 제시된 형식을 통해 곡의 진행 방향을 어느 정도 예측해가면서 연주를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스케일 중심의 연주는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이 한번도 해본 적이 없었고 철저히 연주자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요하는 방식이었다. 모두 당황했다. 평소에도 연주 방식에 대해 일절 설명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마일즈 데이비스는 이날도 기존 방식을 고집했다. 연주자들에게 요청한 것은스케일에 따라 연주하라는 것이 전부였다. 그렇게 연주는 리허설 한번 없이 녹음되기 시작했다. 이날 단 한 번에 녹음된 음반 ‘Kind of Blue’는 재즈 역사상 최고의 명반으로 평가됐고, 이후 재즈의 발전뿐 아니라 로큰롤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이른다.

 

왜 마일즈 데이비스는 연주할 곡에 대한 사전정보를 철저히 비밀에 부쳤고, 악보는 왜 그렇게 간단했으며, 그들은 리허설도 하지 않고 바로 녹음에 들어갔을까? 마일즈 데이비스는 훈련된 상상력(disciplined imagination)으로 무장된 거장 연주자들이 최대한의 즉흥성을 발휘할 수 있으려면 최소의 개입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지켜야 할 것이 적을수록 누릴 수 있는 자유는 커지기 마련이다. 흔히 모달재즈(modal jazz)2 로 불리는 마일즈 데이비스가 그날 시도한 작곡과 연주에서의 새로운 접근방식은적은 수의 코드가 만들어 내는 넓은 공간(a few chords, wide space)’에서 연주자에게 최대한의자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달재즈라는 새로운 스타일의 작곡 및 연주 방식이 연주자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자유를 제공한 것은 틀림없지만 초창기 루이 암스트롱에 의해 즉흥 솔로연주가 형식을 갖기 시작한 이후 연주자의자율성은 즉흥연주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가 돼 왔다. 최소의 구조가 만들어 내는 최대의 자율성(minimum structure, maximum autonomy)’은 재즈의 오랜 전통이자 특징이다.

 

긍정적 일탈의 대명사 모닝스타

 

경영 구루인 게리 하멜이 2011 12월에 기고한 글에서긍정적 일탈’ ‘지금까지 만난 가장 유쾌하고 보기 드문 회사로 묘사했던 모닝스타(Morning Star)는 자율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다. 1970 UCLA MBA 학생이었던 크리스 루퍼(Chris Rufer)에 의해 토마토 운송업체로 시작한 모닝스타는 현재 3곳의 공장에서 매년 미국에서 가공되는 토마토의 30%가량을 처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토마토 가공업체다. 400여 명의 상시 근로자가 재직 중이며 토마토 수확기에는 2400명의 계절노동자를 고용한다. 매출과 수익에서 지난 20년 동안 매년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산업 평균 성장률이 1%라는 것을 감안하면 매우 놀라운 일이다. 이 회사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상식을 초월하는 몇 가지 특별함을 발견할 수 있다.

 

● 모든 사람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동료들과 상의해서 결정한다.

 

● 구매부서가 없다. 업무에 필요한 도구 및 장비는 예산 제약 없이 스스로 결정하고 구매한다. 회사는 지불만 할 뿐이다.

 

● 보상에 대한 의사결정은 동료 평가에 의해 결정된다.

 

● 인력 채용이 필요하면 동료와 상의해서 결정하고 실행한다.

 

● 직책이 없고 따라서 승진도 없다. 그래서 모셔야 할 상사도 없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