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공략 키워드
어원적으로 이슬람은 평화를 뜻하는 아랍어 살람(Salam)에서 유래됐다. 종교적으로는 유일신 알라에게 복종하고 순종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즉 알라의 뜻을 따라 평화롭게 사는 것이 곧 이슬람의 가치다. 이슬람은 무함마드가 610년경 메카(Mecca) 외곽의 동굴에서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계시를 받아 창시한 종교로 코란을 경전으로 하며 신도들을 무슬림으로 부른다.
이슬람 하면 보통 중동 국가들을 연상하는데 실제로 무슬림은 중동뿐만 아니라 스와힐리어를 사용하는 블랙아프리카와 베르베르인의 북부아프리카,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등의 중앙아시아,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인도·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중국 등 전 세계 각지에 분포해 있다. 인구 수는 대략 16억 명으로 추산되며 Pew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2030년에는 22억 명까지 증가해 세계 최대 종교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륙별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10억 명, 중동에 3억1000만 명, 아프리카에 2억4000만 명, 유럽에 4400만 명, 미국에 500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아시아 국가 중에는 인도네시아(2억200만 명), 파키스탄(1억7400만 명), 인도(1억6000만 명) 등에 많다. 합하면 전 세계 인구의 22% 정도를 차지한다.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 만큼 이슬람이라는 이름 아래 수많은 인종·언어·문화가 뒤섞여 있다.
이처럼 다양한 민족과 국가로 구성된 무슬림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은 다름 아닌 종교다. 이슬람은 무슬림의 자의식에 깊이 침투해 일상생활을 규제하면서 거대한 이슬람 공동체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같은 이슬람 국가라도 종교가 갖는 영향력과 의미에는 차이가 있다. 아프가니스탄·이란·사우디아라비아 등은 헌법으로, 이집트·이라크·말레이시아·팔레스타인·몰디브 등은 국교로 채택하고 있어 사회 전반적으로 이슬람의 가치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반면 세네갈·터키·우즈베키스탄 등은 정치와 종교가 구별된 세속국가(Secular States)이기 때문에 타국에 비해 이슬람의 영향력이 약한 편이다.
종교로 묶인 이들 이슬람 경제권의 GDP(구매력 평가기준)는 전 세계 GDP의 12.7%인 8조8000억 달러며 교역액은 전 세계의 9.4%인 3조4000억 달러 규모다. 또 지난 2008년 이후 금융·재정 위기로 수년간 침체를 겪고 있는 선진 경제권과는 달리 이슬람 국가들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정치·종교적인 이유로 타 경제권에 비해 산업화가 늦었지만 2000년 이후 원유 등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토대로 사우디아라비아·UAE·카타르 등 중동 국가들과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국가들이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들은 포스트 차이나 및 브릭스(BRICs)를 대체할 신흥 유망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슬람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교역액은 2010년 1622억 달러에서 2012년 2303억 달러로 2년 사이에 42% 성장했다. 그중에서도 건설 및 플랜트 시장이 총수주액의 69%인 3850억 달러를 차지하면서 가장 주요한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런 성과에 만족하기는 아직 이르다.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진 이슬람 국가들은 경제구조상 우리나라와 상호보완적 성격을 갖기 때문에 협력해나갈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특히 그동안의 경제협력이 주로 UAE·사우디아라비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의 건설·플랜트 등 특정 산업에만 편중돼 있기 때문에 이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슬람 시장의 4대 키워드:
젊음, 할랄, 여성, 오일 달러
1) 활력 넘치는 젊은 시장 이슬람
이슬람 시장이 매력적인 이유 중 하나는 매우 젊은 시장이라는 점이다. 2010년 기준 이슬람 국가 인구 중 약 60%가 30세 이하다. 유럽과 북미 등 선진국에서 이 비중이 30%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슬람 시장이 얼마나 젊고 활기찬 시장인지 알 수 있다. 이들을 중심으로 향후 소비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무슬림하면 덥수룩한 수염에 하얀 전통 복장을 입은 모습만 떠올리기 쉽지만 요즘 이슬람 사회의 청년들은 다르다. 얼마 전 UAE의 배우이자 모델인 오마르 보르칸 등 3명의 남성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문화축제에 참석하려다가 추방당한 사건이 있었다. 그들이 너무 잘 생겨서 사우디아라비아 여성들을 홀릴 수 있다는 것이 추방 이유였다. 이 사건은 이슬람 국가들이 여전히 보수적이라는 점을 나타내지만 한편으로는 젊은 남성들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데 매우 적극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이들은 종교의 교리와 율법에서 벗어나 깨끗하게 면도하고 외국 유명 브랜드의 청바지와 티셔츠를 선호한다. 재즈바, 스타벅스 커피를 비롯한 서양 음식을 즐겨 찾는 등 서구적인 생활방식과 외국 브랜드에 익숙하다. 장년층의 보수적인 구매패턴과는 달리 온라인 쇼핑을 즐기며 스마트폰 같은 첨단제품 및 신제품에 대한 구매욕구가 강하다. 이들이 주도하는 소비흐름은 다른 연령층에도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이들보다 경제력이 높은 중장년층에서도 젊은 층이 선호하는 브랜드나 제품을 따라 구매하는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경제력이 증가하고 있는 이슬람의 청년층은 이미 사회의 소비 트렌드를 주도하는 계층으로 자리매김했다.
2) 소비자도 기업도 웃는 할랄 마케팅
‘할랄’은 이슬람 시장 진출에 잊어서는 안 될 단어다. 아랍어로 ‘허가된, 허락된, 합법적인’이라는 뜻을 지니는 할랄은 이슬람 율법(Shariah)에 따라 도살·처리·가공된 식품이나 가공품에 붙는다.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 할랄 시장은 급성장 중이다. 식품 분야만 하더라도 그 규모가 6000억 달러를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할랄 제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할랄 전문 인증기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한다. 무슬림 소비자의 92%가 할랄 인증 제품을 선호한다고 나타난 한 설문조사 결과처럼 16억 명에 이르는 무슬림의 마음을 얻으려면 할랄 인증은 필수다. 최근에는 무슬림이 아니더라도 가혹한 도살법, 불량한 사료, 성장 호르몬제 사용 등을 피하고 안전하게 가공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할랄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할랄 인증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150∼200개가 있다. 기관마다 신뢰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인증받는 것이 좋다. 세계적인 인증기관에는 말레이시아 JAKIM(Jabatan Kemajuan Islam Malasia), 인도네시아 LPPOM-MUI(Lembaga Pengkajian Pangan Obatobatan - Kosmetika Majelis Ulama Indonesia), 싱가포르 MUIS(Majlis Ugama Islam Singapor) 등이 있다. 인증 절차는 기관마다 다르지만 대개 인증기관에 신청서와 검사료를 납부하면 관계자들이 실사를 한 후 인증서를 발급한다. 신청부터 인증서 취득까지는 통상 6개월 정도 걸린다.
화장품·의료·식품 등 약 1조2000억∼2조 달러로 추산되는 할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네슬레, P&G, KFC, 맥도날드 등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들은 이미 발 벗고 나섰다. 네슬레는 1992년부터 할랄 제품 개발 정책을 세워 추진한 결과, 현재 전 세계 85개 공장의 154개 제품에 할랄 인증이 완료된 상태다. 맥도날드는 말레이시아에서 패스트푸드 회사 중 처음으로 할랄 인증을 받았다. 1995년 식품뿐만 아니라 제품, 운반, 보관, 조리, 사후 관리를 포함하는 전 과정에 대해 JAKIM에서 할랄 인증을 받았다. 이 사실은 마케팅에 적극 활용됐고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었다. 매장마다 ‘DITANGGUG HALAL(할랄 인증을 받았다)’이라는 간판을 달았고 인터넷을 통해 제품의 유통과 조리 과정을 자세히 공개해서 소비자들에게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줬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맥도날드는 말레이시아에 매년 15∼20개 매장을 추가로 열 정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09년 말 기준 194개 매장에 매달 1000만 명 이상의 고객이 찾는 패스트푸드 전문점으로 성장했다.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회원 가입만 해도, DBR 월정액 서비스 첫 달 무료!
15,000여 건의 DBR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