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프로젝트 파이낸스 전략

금융관행의 벽, 확실한 프로젝트로 넘자

공세일 | 92호 (2011년 11월 Issue 1)



 프로젝트파이낸스(PF)’라고 불리는 금융조달방식은 전문적이고 생소한 개념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우리 국민들에게는 상당히 익숙한 용어이기도 하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부동산 PF 때문이다. PF의 일부 특성을 부동산사업에 적용해 탄생한 부동산 PF PF의 본질적 의미와는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일반인들은 PF라고 하면 의례 부동산 PF만을 떠올리며 부정적인 느낌을 받는다.

원래 PF는 개별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 또는 현금흐름만을 근거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방식을 일컫는다. 1930년대 미국 텍사스의 석유 개발업자들이 미래의 석유판매대금을 대출금 상환재원으로 해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한 것에서 유래했다. 현재는 도로, 철도,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시설의 확충에서부터 발전, 에너지, 자원개발, 통신, 플랜트 등 전 세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2010년 말 현재 시장규모가 3500억 달러를 상회한다. 2003년 말 시장규모가 1000억 달러대의 규모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불과 7년 만에 3.5배나 성장한 셈으로 PF 시장이 얼만큼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

국내 PF시장은 1994년 도로, 철도, 항만 등 사회간접시설에 대한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 제정된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민간자본유치촉진법을 시발점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후 정부의 안정적인 지원책에 힘입어 큰 폭으로 성장한 PF 시장은 부족한 정부재정을 보완하면서 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이 확충되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현재는 발전, 에너지, 플랜트 등으로 그 적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필자는 최근 국내 대형 수주형 산업 기업들이 해외시장에서 큰 성과를 올리고 있다는 소식에 주목하고 있다. 중동 산유국을 중심으로 정유공장, 가스설비 플랜트, 원전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 소식이 끊이지 않는데 2010년 국내 기업들의 해외수주액은 사상 최대치인 716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향후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 신흥지역에서의 관련 산업 성장을 고려할 때 이 수치는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국내 기업들의 해외 수주 산업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고 있는 이슈 중 하나는 다름 아닌 금융조달이다. 이에 최근 PF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고 PF 기법을 활용해 성공한 대형 프로젝트들의 예시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해보는 것은 해외 대형 수주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 및 금융기관에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PF시장 동향

세계적인 국제금융정보 분석·제공사 딜로직(Dealogic)이 집계·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전 세계 PF 시장 규모는 3546억 달러로 2009년 대비 22% 증가했으며 이는 역대 최고 규모를 기록했던 2008년과 비교하더라도 11%나 커진 것이다. 2008년 말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세계 PF 시장을 주도하던 유럽계 금융기관들이 자산부실화와 금융기관 간 인수합병 등을 겪게 되면서 중장기 PF 신규 대출을 회피해 일시적으로 시장이 침체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 각국이 양적 완화 등 경기부양책을 발표하고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 등 신흥시장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 금융 수요가 증가해 에너지/발전 분야 관련 PF가 활성화된 데 힘입어 2009년 중반 이후에는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지역별로는 인도를 포함한 아시아 시장이 최근 2년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유럽과 중동·아프리카 지역이 그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는 에너지/발전 분야가 주도하고 있으며 인프라스트럭처와 석유/가스 분야가 그 뒤를 잇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전체 PF 시장에서 에너지/발전 분야가 33% 2007년 이후 4개 년 연속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발전 에너지와 풍력발전이 전년 대비 각 22% 25% 증가했으며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약 10% 감소했다. 또 인프라스트럭처는 전년 대비 35% 증가했는데 그중 도로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은 철도 부문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세계적인 추세와 크게 다르지 않아 PF 시장의 성장축이 인프라스트럭처 중심에서 점차 에너지/발전 분야로 이동해가고 있다. 이는 발전 공기업이 기존 자금 조달 규모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금조달원을 다양화하고자 새로운 금융방식으로서 PF를 적극 활용함에 따른 면이 있으나 최근 도로, 철도를 중심으로 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사업의 수익률 악화와 정부 재정지원의 대폭 축소로 인한 위험 증가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또 전통적인 분야를 탈피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자 하는 시도도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특히 통신 및 플랜트 등의 분야에 PF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주목할 만하다. 2010년 산업은행은 현대제철소에서 소요되는 산소, 질소 등 산업용 가스를 생산, 공급하는 플랜트에 대해 PF 방식의 금융 주선에 성공했는데 새로운 분야에서 PF의 활용가치를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서의 시장개척 시도는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