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위기관리 분야의 전문가인 조영갑 대진대 교수(안보학)는 아직 한국 기업의 위기관리 이해 수준이 부족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위기관리는 당초 정치 안보 분야에서 사용되다가 기업으로 확장된 개념이다. 실제 위기관리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부터다. 위기관리학의 원조는 정치안보 분야인 셈이다. 조 교수는 국가 위기관리 분야의 교과서로 활용되는 ‘국가위기관리론’ 등 10여권 이상의 저서를 펴냈으며 국방부 국방정책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특히 쿠바미사일, 대만해협, 9·11테러 등 해외 위기와 연평해전, 서해교전, 북한 핵실험 위기 등을 집중 연구했다. 그를 만나 위기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대안을 들어봤다.
Q 위기관리가 일상용어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도 위기가 발생하면 허둥대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요.
A“많은 관리자들이 스스로를 위기관리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위기란 말의 개념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기는 특정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 달성에 중대한 위협을 주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여기에 두 가지 조건이 추가됩니다. 하나는 예상치 못한 갑작스러운 일이어야 합니다. 그러면서도 짧은 시간 안에 의사결정을 해야 할 경우 위기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년을 3년 앞두고 있다면, 월급을 더 이상 받을 수 없어 삶의 목표 달성에 문제가 생기지만 이는 예상 가능하고 단기간에 의사 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기라고 부를 수 없습니다. 반면 외환위기 때처럼 갑작스럽게 직장을 잃은 사람이라면 위기관리가 필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 때나 위기란 말을 쓰다보니 진짜로 위기가 닥쳤을 때에는 오히려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Q 예상치 못한 갑작스런 현상이 위기라면 어떻게 미리 대비할 수 있을까요.
A“위기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위기 발생 전에는 통상 어떠한 징후가 알게 모르게 나타납니다. 외환위기 때에도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위기를 경고했으며 미국 주요 싱크탱크가 한국의 경제위기를 경고하기도 했습니다.미국 9·11테러 이전에도 중동의 테러리스트가 대규모 공중 공격을 할 것이란 첩보가 이탈리아 정보기관을 통해 입수되면서 미국이 경계를 강화하기도 했습니다. 또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로 테러 위협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위기가 닥쳐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기를 위기로 인식하지 못하고, 대비를 소홀히 함으로써 위기가 현실화되고 말았습니다. 훌륭한 지도자는 이런 징후를 잘 파악해서 미리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또 역사적 데이터를 통해서도 사전에 위기에 대비할 수도 있습니다. 지진이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는 모르지만 역사적으로 지진이 많이 일어났던 곳이라면 당연히 상시 대비책을 마련해 반복된 대응 교육과 훈련을 해야 합니다.”
Q 위기관리 측면에서 가장 성공한 사례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A “미국 케네디 전 대통령이 쿠바 미사일 위기를 해결한 게 가장 극적인 성공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핵전쟁 일보 직전까지 간 위기상황에서 케네디 대통령은 3차대전을 각오한다는 엄포를 놓으면서도 동시에 유화책을 함께 펴는 등 치밀하게 구소련을 압박했습니다. 또 예술가와 언론인, 이중첩자 등을 활용해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확보해 상대방의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특히 구소련 군함이 쿠바 인근 해상 800마일 격리선에서 정지 명령을 어겼을 경우 공격하겠다고 단언했지만 민간 상선의 경우 통과시켜주는 유연함을 보였습니다. 군함이 다가왔을 때에도 당시 후르시초프가 합리적 정책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격리선을 300마일이나 후방으로 양보하는 등 시간적 여유를 주면서 체면도 세워줬습니다. 적들에게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여유를 주고 명예롭게 후퇴할 수 있는 퇴로까지 만들어 준 것이죠.”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김남국march@donga.com
- (현)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장
-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 편집장
-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정치부 IT부 국제부 증권부 기자
- 한경가치혁신연구소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