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Competitive Strategy in Practice

빌 게이츠,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기술

문휘창 | 66호 (2010년 10월 Issue 1)



편집자주
전략 경영 이론의 의미와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실전에서 기업이 피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전략 경영 분야에서 두드러진 연구 성과를 내온 문휘창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Competitive Strategy in Practice’ 코너를 통해 경영 전략 이론의 분석 틀과 그 올바른 활용법을 제시합니다. 고전 이론뿐만 아니라 최신 경영 이론도 함께 소개하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후세의 역사학자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가장 훌륭한 경영자를 꼽는다면 유력 후보 중 하나가 빌 게이츠가 아닐까. 2008년 세계 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클라우스 슈왑(Klaus Schwab) WEF 회장 또한 빌 게이츠를 소개하면서 이 말을 했다. 세계 최고의 부자, 디지털 제국의 제왕, 컴퓨터 천재 등의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그의 성공 신화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잘 알려진 대로 그는 정상적인 고등 교육을 받지 못했다. 하버드대에 입학했지만 2학년 때 중퇴하고 회사를 차렸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경영학이나 컴퓨터 공학을 배운 적도 없는 그가 어떻게 세계적인 IT 회사를 만들고 세계 최고의 경영자가 됐을까.
 
2007년 하버드대 졸업식에서 초청 연사로 나선 게이츠의 얘기를 들어보자. “저는 하버드대 역사 상 가장 성공적인 중도 탈락자(Harvard’s most successful dropout)입니다. 공부를 잘 하고 있던 스티브 발머(Steve Ballmer)에게 ‘학교를 그만두고 나와 함께 사업을 하자’고 꼬드긴 사람도 저입니다. 그래서 하버드대가 저를 졸업식 연사로 초대한 겁니다. 만약 제가 졸업식이 아닌 입학 오리엔테이션 때 연설을 했다면 여러분들 대부분은 이미 학교를 그만두고 여기에 없었을 겁니다.” 빌 게이츠는 이런 재치 있는 연설로 하버드 졸업생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하지만 이 얘기는 더 큰 성공을 위해서는 하버드대 교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008년 6월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영에서 공식 은퇴하고 자신과 부인의 이름으로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을 설립했다. 그는 자본주의의 혜택을 누리지 못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일에 전념하기로 결정한다. 자본주의의 최고 수혜자였던 빌 게이츠가 이제는 자본주의에 대해 회의를 갖고 이를 수정하는 데 매달리고 있다. 왜 세계 최고의 부자가 불평등에 관심을 갖고 자선 사업가로 변신했을까. 이번 글에서는 빌 게이츠의 인생을 경영 전략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한다.
 
빌 게이츠의 경영 전략
1)생산 전략 초창기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자리를 잡을 무렵 MS에는 16명의 직원이 있었다. 당시 15명이 프로그램 기술자였고 빌 게이츠 혼자만 영업과 계약 등 사업을 담당했다. 한마디로 빌 게이츠는 천재 기술자라기보다는 천재 사업가다. 천재 발명가인 토머스 에디슨과는 달리 빌 게이츠가 직접 발명한 건 별로 없다. 주위에 널린 지식과 기술을 잘 조합해 사업화했을 뿐이다. 물론 게이츠는 기술을 잘 조합했을 뿐 아니라 받아들인 기술을 계속 발전시키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술을 베꼈다는 구설수를 피할 수는 없었다.
 
2)마케팅 전략 빌 게이츠는 이러한 기술을 소비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널리 보급했다. 헨리 포드가 자동차를 발명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킨 일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포드는 생산 체계를 발전시켰고 게이츠는 운영 체계를 발전시켰다는 점이다. 헨리 포드는 ‘집 하나에 차 한 대씩(a car in every home)’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현실로 만들었다. 빌 게이츠 역시 ‘책상 하나에 PC 한 대씩(a PC on every desk)’을 실현시켰다. 즉 전문가들의 전유물이었던 컴퓨터를 쉽게 사용하도록 만들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시킨 인물이 바로 게이츠다.
 
3)관련 분야 연결 전략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쟁사들은 주로 뛰어난 한 개의 제품을 만들어내는 천재(one-product wonder)였다. 문제는 이들 제품 간 호환성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제품의 독립성과 호환성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플랫폼을 표준화하는 게 시급했다. 표준화한 플랫폼에 소프트웨어를 부품처럼 끼워 넣을 수만 있다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쉬워질 뿐 아니라 기업 간 폭넓은 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마이크로소프트는 협력회사가 매우 많다. 여러 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맺음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자부터 판매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파트너 에코시스템(partner ecosystem)’을 형성시킨 셈이다. 이로써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인터넷 등을 묶어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었다.
 
윈도는 표준화된 플랫폼으로 인터페이스의 새 지평을 열었다. 빌 게이츠는 여기에 새로운 제품을 계속해서 추가했고 발전시켜 나갔다. 발표 자료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던 회사를 사들여 파워포인트(PowerPoint)로 발전시켰다. 매킨토시 컴퓨터에서 워드(Word)프로그램을 그래픽 모드로 개발하자 이를 활용해서 윈도 시스템에 넣어 출시했다. 그 후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추가하고, 마우스 기능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켰다.
 
4)경쟁 전략 MS는 이렇게 관련 분야 제품을 모두 함께 모아 판매했기에 독점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실제 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적 지위로 인해 많은 경쟁사들이 사업을 접어야 했다. 그러나 서로 호환성이 없는 기술들의 기준을 표준화했다는 점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독점은 반드시 나쁘게 볼 게 아니라 ‘건설적 독점(constructive monopolism)’으로 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보다 더 훌륭한 제품을 만들던 회사들도 많았다. 그런데도 왜 모두 마이크로소프트에 굴복했을까. 다른 회사들은 경쟁력의 정의를 너무 단순하게 파악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훌륭한 기술만이 최고’라고 여겼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라도 소비자가 원하는 기술이어야 한다. 또 소비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관련 기술과 기능을 서로 호환성 있게 하나의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알고 제대로 실천한 사업가는 빌 게이츠 밖에 없었다.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성공 비결을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우리 회사가 성공한 건 우리가 잘 한 덕도 있지만 우리 경쟁자들이 잘못한 탓이 더 크다. 우리의 경쟁자들은 기술을 어떻게 재구성할지 몰랐고, 기술과 경영을 연결시키지도 못했다.”
 
창조적 자본주의(Creative Capitalism)
그가 많은 돈을 벌자 게이츠의 어머니는 번 돈의 일부를 사회에 기부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그러나 빌 게이츠는 “지금은 사업에 몰두해야 하니 더 많은 돈을 벌고 난 후 60세쯤 본격적으로 사회 사업을 하겠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그의 어머니는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게이츠의 자선 사업 계획도 앞당겨졌다.
 
어머니의 사망 후 그는 1억 달러를 출연해 재단을 설립하고 아버지에게 운영을 맡겼다. 그 후에도 여러 자선 사업을 벌이다 2000년에는 자신과 부인의 이름으로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을 설립, 대대적으로 자선 사업을 벌이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CEO자리에서 물러나 게이츠 재단의 사업에만 전념한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 문휘창

    문휘창

    - (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 (현) 국제학술지 편집위원장
    - (전)미국 워싱턴대, 퍼시픽대,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헬싱키 경제경영대, 일본 게이오대 등 강의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