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전쟁과 경영

獨, 회전문 전략으로 강국과 맞서다

임용한 | 62호 (2010년 8월 Issue 1)
 
카이사르의 로마군이 갈리아로 진격한 이래 게르만족은 언제나 위협적인 존재였다. 그들은 갈리아인보다 머리 하나는 클 정도로 몸집이 컸고, 강하고 끈질겼다. 비록 문명은 미개했지만 머리는 영리했다. 그러나 카이사르 시대 이후 1700년이 지나도록 게르만족은 여전히 잠재력만 큰 ‘다크호스’에 불과했다. 유럽의 모든 군주들이 두려워하는 군사적 자질을 지녔지만 통일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분열돼 있었다. 독일의 장병들은 최고의 용병으로 명성을 떨쳤고 이런저런 전쟁에 동원되고 이용당했다. 유럽의 복잡한 외교사와 전쟁사를 비틀어보면 독일의 통일을 방해하려는 주변국의 끈질긴 노력의 역사가 드러난다.
 
프리드리히 2세는 유럽 연합군의 방해를 뚫고 프로이센을 강국의 반열에 올려놨고, 독일 통일의 기초를 놓았다. 19세기말 수상 비스마르크가 이끄는 프로이센은 마침내 통일 독일 건설에 성공했다. 통일 독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 바로 프랑스와 벌인 보불전쟁(1870∼1871)이었다. 모든 국가들은 불리하다고 했지만, 독일은 이 전쟁에서 승리하고 통일을 이뤄 유럽의 세력 판도를 바꿨다. 이 기적과 같은 승리를 일궈낸 장본인이 독일의 참모총장 몰트게(1800∼1891)였다.
 
독일은 강대국이 됐지만 프랑스, 영국, 러시아와의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 이 4개국은 유럽의 패권, 더 나아가 세계의 주도권을 두고 힘겨루기를 시작했다. 신생 강국 독일은 새로운 고민에 빠졌다. 영국, 프랑스, 러시아가 함께 독일을 견제하기 시작했다. 이 3개국을 한꺼번에 대적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었다. 잘 나갔던 프리드리히도 이 3개국과 동시에 싸우지는 않았다. 프랑스의 나폴레옹이 유일하게 전 유럽과 싸웠지만 결국 패망했다. 나폴레옹도 실패한 전쟁을 독일이 승리해야만 했다. 독일은 고민에 빠졌다.
 
“전쟁은 반드시 일어난다”
 
이 고민의 시기에 독일군을 이끈 인물이 몰트게의 후임인 알프레드 폰 슐리펜(1833∼1913, 재직: 1891∼1906)이었다. 슐리펜은 전쟁은 분명히 일어난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독일군의 전력은 적들의 60% 정도에 불과했다. 프랑스와 러시아 사이에 끼어 있는 지정학적 위치도 치명적 약점이었다. 프랑스, 러시아와 한꺼번에 전쟁을 하려면 전선을 둘로 나눠야 했다. 오늘날 독일은 산업국가로 유명하지만 당시에는 농업국가에 가까웠다. 자원, 공업 기반, 재정 등 모든 면에서 열세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내내 독일의 포탄 생산량은 프랑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난감한 상황에서 슐리펜은 적국을 분석했다. 그리고 난마처럼 얽힌 고민을 풀어갈 중요한 단서를 얻었다. 러시아는 넓고 후진적인 철도와 산업체계, 더 후진적이고 부패한 행정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그는 러시아가 병력을 동원해서 참전하는데 40일은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여기서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양쪽의 적과 싸우기란 불가능하다. 적은 각개격파 해야 한다. 프랑스와 러시아와의 참전 사이에 약 40일의 시간이 있다. 이 시간에 프랑스를 함락시켜야 한다. 그러면 모든 병력을 동부전선으로 돌려 러시아의 대군과 승부를 걸 수 있다는 계산이 섰다. 슐리펜의 발상은 손자병법의 관점에서 병법의 기본원칙에 어긋나 있었다. 손자는 전쟁은 무모한 모험이 아니라 철저히 계산되고 준비된 행동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손자는 귀납법적 접근을 선호한다. 먼저 분석하고 주어진 데이터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슐리펜은 반대였다. 사실은 그럴 수가 없었다. 독일이 가진 패가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독일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그들 앞에 놓인 산을 넘어가는 수밖에 없었다. 6주 만에 당시 세계 최강의 육군을 보유한 프랑스를 점령해야 한다. 말도 안 되는 발상이지만, 그것이 그들이 무조건 넘어야 하는 첫 번째 산이었다.
 
6주 만에 프랑스를 수중에 떨어뜨리려면 선제공격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프랑스와의 국경은 요새화돼 있고, 상당수가 산맥으로 막혀 평야 지대는 좁았다. 길이 막히면 돌아가야 한다. 슐리펜은 프랑스 북쪽에 있는 중립국 네덜란드와 벨기에로 우회해서 프랑스를 침공하는 계획을 세운다. 국제법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흉악무도한 범죄지만, 슐리펜의 눈에 보이는 길은 그 곳뿐이었다.
 
왜곡에 의한 균형
 
슐리펜 계획의 특징은 이 우회에 있지 않다. 슐리펜은 독특한 전술관을 지닌 인물이었다. 다른 모든 장군처럼 그도 전쟁사를 열심히 공부했다. 서구 전쟁사는 언제나 알렉산더와 한니발에서 시작한다. 한니발이 벌인 유명한 전투인 ‘칸나의 대회전’을 교범에서는 이중포위라고 정의한다. 슐리펜의 생각은 달랐다. 로마군이 패배한 이유는 균형을 잃었기 때문이다. 로마군은 공격을 중앙에 집중시켰다. 그러나 한니발은 로마의 옆과 뒤를 공격했다. 여기서 말한 슐리펜의 균형은 무게 중심과 같은 공평한 물리학적 균형이 아니다. 이성적·전술적 균형이다. 알렉산더가 페르시아와 대결한 과가멜라 전투에서 좌익과 우익의 균형을 맞췄다면 분명히 패전했다. 좌익의 무게는 간신히 버티다가 학살당하기 직전 상황에서 전투가 끝나도록 맞추었고, 알렉산더가 이끈 우익은 좌익이 궤멸되기 직전 적진을 뚫고 다리우스의 중앙에 침투할 만큼 강화시켰다. 이것이 전술적 균형이다. 독일군이 승리하려면 알렉산더와 한니발처럼 전술적 균형(실은 불균형)을 예술적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
 
슐리펜은 벨기에로 들어가는 우익에 53개 사단을 할당했다. 별도의 예비대가 뒤를 받쳤다. 나머지 10개 사단은 중앙에, 9개 사단은 좌익에 배치했다. 공격의 주역은 우익이다. 53개 사단이 네덜란드와 벨기에로 진입한 뒤 좌회전해서 남쪽의 프랑스로 들어간다. 다음이 더 놀라운데 이 우회는 그저 프랑스의 국경방어선을 슬쩍 우회해서 방어선을 허무는 정도가 아니었다. 독일군은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커다란 동심원으로 그리면서 가로질러 프랑스의 뒤쪽에서 들어온다. 그리고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대각선으로 프랑스를 가로지르며 쓸고 나온다. 흔히 이 작전을 낫질에 비유하는데, 낫질하듯 프랑스의 절반을 뭉텅 베어버리는 작전이었다. 좌익과 우익의 비율은 무려 7대1, 낫질이 아니라 거의 철퇴였다.
 
회전문 작전
 
우익이 전진하는 동안 우익의 7분의 1 전력에 불과한 좌익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대목에서 서로 다른 길을 잠시 걸었던 것처럼 보이는 손자와 슐리펜의 병법이 다시 만난다. 슐리펜은 프랑스의 생각을 정확히 꿰뚫었다. 프랑스는 보불전쟁으로 자존심이 상해있었다. 게다가 그들의 강한 민족주의적 자부심으로 볼 때 공격을 받으면 참지 못하고, 바로 반격으로 나올 것이다. 반격 지점도 예측했다. 프랑스는 보불전쟁으로 알사스-로렌 지방을 뺏겼다. 그리고 지형적으로 그곳이 진격하기에도 가장 좋은 지역이었다.
 

가입하면 무료

  • 임용한

    임용한yhkmyy@hanmail.net

    - (현) KJ인문경영연구원 대표
    - 한국역사고전연구소장
    - 『조선국왕 이야기』, 『전쟁의 역사』, 『조선전기 관리등용제도 연구』,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저술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