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원조 어그부츠가 짝퉁에 밀린 이유

이정민 | 51호 (2010년 2월 Issue 2)

 “처음 봤을 때에는 무슨 이런 해괴망측한 신발이 있었나 싶었다. 날렵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예쁘지도 않다. 모양이 울퉁불퉁하고 균형미도 떨어진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겨울이 다가오자 약속이나 한 듯이 이런 신발을 신은 사람들이 나타났다. 미국 뉴욕에 오면 뉴욕 법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에 어그부츠를 딸에게 사주려고 매장에 갔다. 그런데 가격표를 보고 그만 눈이 뒤집어지는 줄 알았다. 일반적으로 어그부츠 한 켤레에 150달러. 의류나 신발은 미국이 훨씬 싸다는 점을 감안하면 잘 이해되지 않았다. 우리 딸이 ‘아빠, 사실은 우리 반 아이 중 어그부츠를 신고 오지 않는 아이가 딱 두 명이 있는데 나하고 이집트 출신 ○○이야. 요즘 우리 반 애들은 모두 어그부츠를 신고 와.’ 그래서 딸에게 자세히 물어보니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집 아이는 색깔이나 모양 등 다양하게 네 켤레까지 신고 다니는 애들도 있다고 했다.”
 
뉴욕 특파원을 지낸 동아일보의 한 기자는 어그부츠와 관련된 일화를 자신의 블로그(http://www.journalog.net/kingjs1999)에 이렇게 소개했다. 미국 뉴욕을 휩쓸었던 어그부츠의 열풍은 이번 겨울 한국에도 맹위를 떨쳤다. 기습 한파와 폭설이 잇따르면서 여성들 사이에서 어그부츠 수요가 급증했다. 여기에 달라붙는 바지인 스키니진까지 유행했다. 바지를 부츠에 넣어서 입을 수 있으려면 어그부츠가 제격이었다. 실제로 ‘빅3’로 꼽히는 대형 백화점인 A백화점에서의 어그부츠 매출액은 100억 원(2009년 9월∼2010년 1월)에 육박했다. 같은 기간 전국 60여 곳에 매장이 있는 신발 체인인 ABC마트에서는 어그부츠의 ‘품귀 현상’이 빚어지기도 했고, 인터넷 쇼핑몰인 G마켓에서도 어그부츠 판매량이 109% 폭증했다.
 
그렇다면 이번 ‘어그부츠 전쟁’의 승자는 누구일까. 국내에 판매되는 어그부츠 브랜드는 ‘어그 오스트레일리아(UGG Australia)’와 ‘베어 파우(Bear Paw)’ ‘에뮤 오스트레일리아(Emu Australia)’ ‘반스(VANS)’ 등이 있다. 이 중 ‘원조 브랜드’는 단연 어그 오스트레일리아다. 하지만 A백화점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랜드는 베어 파우(50억 원)였다. 어그 오스트레일리아는 37억 원으로 원조 효과를 톡톡히 누리지 못했다. 왜일까.
 
원조 브랜드 약(藥)일까 독(毒)일까
우선 어그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조로 불리게 된 배경부터 보자. 어그부츠의 유래는 이렇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조종사들이 신었던 퍼그부츠(FUG·flying ugg boots)를 시작으로 1920년대 호주에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고 한다. 1960년대에 호주의 ‘서퍼’들에게는 보온성과 자연적인 흡습성이 뛰어난 어그부츠 착용이 보편화됐다. 그 후 호주 출신의 서퍼인 브라이언 스미스가 어그부츠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1979년 미국으로 어그부츠를 가져가 ‘어그 홀딩스(UGG Holdings Inc.)’라는 회사를 세워 어그부츠는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스카치테이프(Scotch tape: 3M)’, ‘밴드 에이드(Band-aid: 존슨앤존슨)’나 ‘버버리 코트(Burberry trench coat: Burberry)’와 같은 맥락에서 어그부츠의 명칭도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일상에서 사용하는 스카치테이프와 버버리 코트는 각각 3M사의 셀로판테이프의 브랜드 명이고,트렌치코트로 유명한 버버리 사의 대표 상품일 뿐이다. 이렇게 해서 어그 오스트레일리아라는 특정 브랜드는 일반 명사처럼 사용됐다.
 

 
특정 브랜드가 이렇게 일반 명사로 소비자들에게 받아들여졌을 때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원조 브랜드의 가장 큰 장점은 소비자들에게는 확실한 경쟁 우위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된다는 점이다. 혁신이나 변화를 처음 시도한 브랜드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면서, 추종하는 브랜드가 아닌 시장을 선점하고 개척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모든 브랜드에서 트렌치코트를 내놓지만 그중 버버리의 트렌치코트를 가장 높이 평가하는 데에는 버버리가 트렌치코트의 ‘대표 브랜드’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런 자사 브랜드가 일반 명사처럼 불리는 현상이 해당 브랜드를 심각한 위협에 놓이게 하기도 한다. 지속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권한을 보호하지 않으면, 유사 브랜드에 의해 시장을 잠식당하기도 하고, 혹은 브랜드 자체가 갖는 차별성을 잃을 수도 있다.

가입하면 무료

인기기사
NEW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