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소비자 조사 자체의 편향 막으려면…

윤성아 | 48호 (2010년 1월 Issue 1)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욕구가 훨씬 다양해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자사 제품 및 서비스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에 만족하고 어떤 부분에 불만족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해 이를 개선하는 것은 기업의 흥망성쇠와 직결된다. 때문에 기업들은 매년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 적지 않은 시간과 돈을 들이고 있다.
 
 

 
소비자 조사에는 기본 가정이 깔려 있다. 즉 소비자 조사를 올바른 절차에 따라 정확히 진행한다면(표본 크기, 대표성 등 통계적으로 신뢰성이 있다면), 조사 결과 얻은 자료들은 조사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물론,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소비자들의 평가와 만족도까지 정확히 반영한다는 가정이다. 소비자 조사 결과를 통해 향후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을 예측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은 이런 가정을 받아들이고 있다. 한마디로 기업은 설문에 참여했다는 사실 자체가 소비자들의 만족도나 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서 설문 조사를 시작한다.
 
소비자 조사 참여와 향후 구매 확률
 

 
여러 마케팅 관련 연구들은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던진다. 연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은 제품 및 서비스의 질적 요소 외에도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 참여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혹은 만족도 조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소비자 평가가 편향(bias)되어 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 응한 사람들은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했든 낮다고 응답했든 상관없이) 조사에 응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향후 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서비스 이용 가능성이 커지며, 해당 기업과 더욱 오랫동안 유익한 관계를 유지한다(Dholakia and Morwitz 2002; Dholakia Morwitz and Westbrook 2004). 실제로 미국에서 4만 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컴퓨터를 사겠느냐는 설문에 응답한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다음 6개월 동안 정말로 컴퓨터를 구매할 확률이 18%나 증가했다. 자동차의 경우 설문 이후 6개월 동안의 구매율이 37%나 증가했다(Morwitz, Johnson and Schmittlein 1993).
 
여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만족도 조사를 실행한다는 사실 자체가 소비자로 하여금 해당 기업에 대해 ‘열심히 노력하는 기업’이라는 긍정적 추론(positive inference)을 하도록 만든다. 뿐만 아니라 이미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면 이러한 긍정적 추론으로 인해 자신의 경험을 좋게 기억하고 해석하도록 만든다(Dholakia Morwitz and Westbrook 2004).
 
물론 설문에서 물어본 향후 구매 의도나 만족도가 소비자의 실제 구매 의도나 만족도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면 기업으로서는 당연히 고무적일 것이다. 소비자 조사가 먼 미래의 수익 증가를 위한 투자나 비용으로만 머무르지 않고, 가까운 미래에 기업에 직접적인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말이다. 반면 조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본다면 이러한 조사 결과는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 소비자들의 만족도나 향후 구매 여부 등을 과대 예측하게 만든다. 때문에 기업으로서는 소비자 만족도 조사 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한다.
 
조사 미리 알면 소비자 평가는 냉정해진다
소비자 조사 참여가 항상 긍정적 효과만을 내는 것은 아니다. 소비자 조사가 어떻게 이뤄졌는지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 편향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련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가 만족도 조사에 참여할 것임을 미리 알고서 제품 및 서비스를 체험하면, 조사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체험한 사람에 비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더 냉정하고 나쁘게 평가한다(Ofir and Simonson, 2001; Ofir, Simonson and Yoon, 2009). 예를 들어 호텔에 체크인을 할 때 카운터 직원으로부터 “고객님이 투숙하시고 나서 체크아웃하실 때 저희 호텔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하실 예정입니다”라는 정보를 들은 사람은, 자신이 만족도 조사에 참여할 것이라고 미리 예측하지 못한 채 조사에 응한 사람보다 일반적으로 낮은 만족도 평가를 내린다.
 
왜 그럴까? 미리 조사에 대한 정보를 들은 사람은 스스로 추측을 하게 된다. 바로 기업이 자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좋고 만족스러운 점보다는 나쁘고 불만족스러운 점에 대한 피드백(negative and critical comments)을 더 원할 것이라는 추측이다. 소비자들은 기업이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서비스의 나쁜 점을 개선하는 데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 나쁜 점을 알려줘야 한다는 일련의 사명감(role expectation)을 갖게 된다. 이는 소비자의 서비스 체험을 나쁘게 왜곡시켜 낮은 평가를 주도록 만든다. 소비자가 서비스를 경험하면서 냉정한 시각으로 나쁜 점을 중점적으로 관찰함으로써 만족도 평가가 낮아지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만족 사항보다는 불만 사항에 대해 기업에 더 큰 목소리를 내는 것과 일치한다. 실제로 만족도 조사를 미리 알고 있던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에 비해 서비스의 긍정적인 면은 조금만 기억하고, 부정적인 면은 훨씬 잘 기억했다.

15,000개의 아티클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

가입하면, 한 달 무료!

걱정마세요. 언제든 해지 가능합니다.

인기기사

질문, 답변, 연관 아티클 확인까지 한번에! 경제·경영 관련 질문은 AskBiz에게 물어보세요. 오늘은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