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다원성 경영

창조적 혁신의 숨은 원천 ‘다원주의’

이종욱 | 26호 (2009년 2월 Issue 1)
미국 남부 명문 듀크대의 푸쿠아 경영대학원 건물에 들어서면 2개의 선언문이 눈에 들어온다. 하나는 경영대학원 사명(mission)을 서술한 것이다. 기업 및 학계 리더를 위한 최고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어느 대학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독특한 것은 다른 하나의 선언문이다. 바로 다원성 선언문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다원성 선언문(Diversity Declarations)
푸쿠아 경영대학원은 우리 사회에 내재된 고유한 차이점(differences)을 고귀한 것으로 인정하고 그 가치를 소중히 여긴다. 하나의 조직으로서 우리 경영대학원은 지적·개인적·전문적 성장 및 기술혁신의 원천으로서 우리 사회 속에 내재된 다양성(diversity)을 이용하는 데 기여하는 환경을 구축하고 지속시킬 것을 확약한다.’
 
경영대학원에서 가장 많은 학생이 다니는 복도에 왜 이런 성명서가 걸려 있을까. 경영학은 최고의 효율을 추구하는 학문으로 여겨졌다. 과거 효율을 추구하는 조직은 대부분 엄격한 위계질서 아래 리더의 지시를 일사불란하게 실행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원성보다 획일성을 더 중시한 것이다. 그런데 지식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획일적 문화, 엄격한 위계질서보다는 서로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는 문화가 혁신 성과를 높인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기업 경영에서 다원성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까. 필자는 기업 경영 및 다원성과 관련해 다음 2가지 이슈를 제기한다. 하나는 ‘다문화주의와 결합할 수 있는 다원성이 왜 중요한가’이다. 이는 인류 역사 발전 과정에서 다원성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 이해함으로써 자각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왜 기업이 다문화주의를 수용하고 다양성 관리를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다.
 
차이점와 유사성을 동시에 내포한 다원성
다원성은 비즈니스에서 자산(asset)이 될 수도 있고 부채(liability)가 될 수도 있다. 자산이 되면 기업은 비용 부담 없이 이를 무한대로 이용할 수 있지만 부채가 되면 부담을 가중시킨다.

<그림 1>의 ‘다원성 관점의 연속성(Diversity Perspectives Continuum)’을 보자. 다원성이 어떻게 부채 또는 자산이 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고용 평등이나 소수민족 우대와 관련한 법 규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기업은 처벌을 받게 된다. 반면에 다문화주의를 이용해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성 가치화, 이를 더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성 경영은 기업의 자산을 증가시킨다.
 
기업이 다원성을 수용하더라도 이를 이용해 가치를 창출할 능력을 지니지 못한다면 다원성이 오히려 혼란과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에 다원성이 관리 능력이 있는 사람이나 기업을 만나면 그 가치는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선도적 기업은 다문화주의 또는 다원성이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간파하고 이미 직원 교육 등에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여행이다. 삼성은 1980년대부터 세계 각국에 사원을 파견해 비즈니스와 관계없이 1년 동안 생활하게 하는 지역전문가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LG는 간부 사원을 지역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해 연수를 보낼 때 호텔이 아니라 중산층 가정의 하숙집에서 숙식하게 한다. 호텔은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대표적인 상품이어서 다문화적 특징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지의 관습과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하숙집이 다문화적 가치를 수용하는 데 최고 효과를 낸다.
 
다문화주의를 활용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우선 다원성은 ‘차이점(differences)’과 ‘유사성(similarities)’을 합한 개념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흔히 다양성은 ‘차이점’만 강조한 것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유사성까지 포괄해야 다원성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다원성을 관리하는 경영자는 이 2가지 개념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미국과 인도의 건축물을 보면 차이점과 유사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미국의 워싱턴 기념탑이 건설된 시기(건축 기간 18491884)에 미국은 기독교 문화가 중심에 서 있었기 때문에 다른 문화가 들어설 자리가 없었다. 그러나 1836년 워싱턴 기념탑의 설계 공모에서 당선된 로버트 밀스 작품은 사라센 건축 양식을 대표하는 인도의 타지마할(건축 기간 16311653) 개념을 적용했다. <그림 2>를 통해 두 건축물의 유사성을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전반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유사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는 것이 바로 다원주의적 관점의 특징이다. 

동·서양 문화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문화에 기초한 교류는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런 양상은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다. 미국의 법과 여론으로는 동양적 가치를 수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겠지만 미적 감각과 비즈니스에서는 종교나 문화의 장벽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다문화주의는 비즈니스에서 가치 창출의 핵심적 요소다.

다원성과 경영의 결합
경영 패러다임이 변하면서 다원성을 중요한 기업 문화의 한 축으로 도입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피터 드러커는 ‘제도의 다원성(pluralism of institutions)’을 강조하기 위해 ‘단절의 시대(The Age of Discon-tinuity, 1968)’를 출간했다. 다원성을 무시해서는 미래 경영패러다임 변화를 전혀 설명할 수 없음을 선언한 것이다.
 
경영학의 발전 과정 자체도 다원성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20세기에 새롭게 탄생한 경영학이 <그림 3>과 같이 생산·인사·조직·마케팅·전략 등을 중요한 구성 요소로 추가하면서 학문적 영역이 다원적으로 확대된 것이다.(Crainer 2000)

최근 조명을 받고 있는 ‘통섭(consilience)’이라는 개념도 이미 학문의 발달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적자원 관리에서 ‘다원성 관리(diversity ma-nagement)’라는 용어는 1980년대에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됐다. 또 다원성 경영이라는 개념도 1990년대에 나타난다.(Brazel 2003) 다원성 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테일러 토머스(Thomas 1994)는 “모든 근로자가 잠재적 능력까지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루즈벨스 콕스(Cox, 1993)는 다음과 같이 더 상세하게 정의를 했다.
 
다양성의 잠재적 이점을 극대화하고 잠재적 단점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인력을 관리하는 조직 시스템과 사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 다양성을 관리하는 목표는 모든 근로자가 조직의 목표에 기여하도록 하면서 성별·인종·국적·나이·부서 간 관계에 방해받지 않고 그들의 잠재적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
 
다원성과 경영전략
기업들은 다원성 개념을 실무에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지만 전략이나 마케팅 등 경영학에서는 크게 조명을 받지 못했다. 다원성을 다문화주의에 중점을 두고 해석하면 마이클 포터 교수가 본원적 전략 가운데 하나로 언급한 차별화(differentiation)가 훨씬 더 쉬워질 것이다. 먼저 단일문화주의에서 차별화를 추진한다면 <그림 4>와 같이 2가지 범주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 다문화주의를 수용해서 다원성 차원을 확장하면 <그림 5>에서 볼 수 있듯이 차별화 범주는 4개로 늘어나게 된다. 폐쇄형 다양성인 국내 차별화는 2가지 범주 속에서 생각해야 하므로 차별화 범주가 2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내와 해외 차별화를 동시에 고려하면 4개의 차별화 범주가 형성되고, 관련 전략을 수립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그림 5>의 차별화 전략 매트릭스 가운데 ‘Ab’로 표기된 영역이 있다. 이는 국내에서 비용 및 기술 차별화와 동시에 해외에서 디자인 차별화에 성공한 사례다. 이런 사례는 대단히 많다. 삼성전자가 러시아에서 판매하는 ‘듀얼 SIM카드 터치스크린 폰’이나 LG전자의 메카 나침반 기능이 첨가된 휴대전화, LG전자가 아랍 및 러시아에 공급하는 냉장고 등이다. 듀얼 SIM카드 터치스크린 폰은 러시아인들이 2개의 전화번호를 갖고 싶어 하는 문화적 특징을 반영해 개발됐다. 또 LG전자는 아랍 사람들이 대추를 많이 먹는다는 특성을 감안해 대추 저장고가 있는 냉장고를 개발했다. 러시아에서는 거주 공간이 좁은 점을 감안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생산해 공급하고 있다. 

또 일본의 교세라·무라타제작소·일본전산·삼코인터내셔널 등 대기업 계열에 속하지 않은 기업들은 일본 내에서 아무리 노력해도 대기업과 경쟁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스에마쓰 지히로, 2008)
 
‘Aa’에 해당하는 사례로는 외국의 특허를 도입해 한국의 높은 제조기술과 결합,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을 들 수 있다. 한국 조선소의 LNG선은 프랑스의 설계기술에 한국의 제조기술을 결합한 고부가가치 창출 제품이다.
 
‘Ba’의 사례는 한국에 판매하기 위해 외국에서 생산하는 제품과 한국 기업이 해외에 판매하기 위해 해외에서 생산하는 제품 등이 해당된다.
 
Bb의 사례는 문화·건축·레저 등에서 다원적 결합을 통해 상품을 창출하는 영역이다. 해외의 차별적 디자인과 국내의 전통적 양식을 결합해 새로운 시도를 한 사례는 무수히 많다. 포스트모더니즘 건축물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수도 아부다비의 다양한 건축물은 세계적인 예술가의 천재성을 이용해 관광객 유치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다.
 
반도체 업체인 인텔은 다양성을 제품 개발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인텔은 문화적 패러다임 변화를 제품 개발 및 혁신에 이용하기 위해 문화와 사회 관습, 일상생활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피플&프랙티스’라는 조직을 만들었다. 이 연구소의 수석연구원인 알렉산드라 자피로글루 박사는 “디지털 시대라 하더라도 인간의 습성과 사고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가 없으면 제품이나 기술이 발전할 수 없다”면서 “진정한 기술은 사람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고 말했다.

같은 PC라 하더라도 이용 행태는 나이·지역·민족·성별로 커다란 차이가 난다. 이에 착안해 자피로글루 박사는 인류학적 특성을 PC에 적용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중국에선 중산층 가정이 PC를 구입하려다가도 자녀가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을까 두려워 구입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평소에는 교육용으로만 쓰다가 별도의 열쇠를 사용해야 인터넷을 할 수 있는 PC를 내놨다. 잠금장치 덕에 자녀들이 인터넷을 마음대로 쓸 수 없게 되자 부모들의 PC 선호도가 다시 높아졌다”(동아일보, 2007.2.27, 자피로글루 박사 인터뷰)
 
인텔 사례에서 보듯이 다문화주의를 수용할 수 있는 국가의 수가 증가하면 차별화 가능 범위도 급증한다. <표 1>에서 다문화주의 참여 국가가 늘어나면 차별화 가능 범위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정보기술 발달로 거래 비용이 줄어들었으며, 각종 제도 발달로 기업의 설립과 퇴출도 훨씬 쉬워졌다. 이런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기업들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찾아내려고 전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독창적 아이디어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어떤 환경 및 학습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고민이 부족하다.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간단한 해결책은 바로 기업 조직 속에 다문화주의를 고취시키는 것이다. 철학자 질 들뢰즈의 말을 상기해 보자. “세상 모든 것은 차이와 반복의 재생이 있을 뿐 절대와 등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모든 것은 같은 테두리 안에 존재하며, 단지 차이와 다양성이 있을 뿐이다.” 기업들은 다양성이라는 무한한 자원으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시점이다.
 
필자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 어배나샴페인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국중소기업학회 회장, 상생협력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다원성, 경영패러다임 변화와 경제성장 원천>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집필했다.

<참고문헌>
이종욱ㆍ백정숙ㆍ김정희ㆍ유주현ㆍ문선오(2005),『다원성, 경영패러다임 변화와 경제성장 원천』, 명경사
스에마쓰 지히로(우경봉 옮김)(2008), 『교토식 경영』, 아라크네.
Barzel, M. (2003), “Historical and theoretical roots of diversity management”, in Deborah L. Plummer,Handbook of Diversity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Cox, T.(1993), Cultural Diversity in Organization.
San-Francisco: Berrett-koehler
Harvard Business Review on Managing Diversity(2002),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Kossek, E. E. And S. A. Lobel(1996), Managing Diversity, Blackwell Publishers Ltd.
Plummer, D. L.(2003), Handbook of Diversity Management -Beyond Awareness to Competency Base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Porter, M. (1980), Competitive Strategy: Techniques for Analyzing Industries and Competitors, New York: The Free Press.
Thomas, R. Rousevelt, Jr.(1994), “From affirmative action to managing diversity”, in M. G. Gentile(ed.), Differences that work: Organizational Excellence through Diversi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Thomas, R. Rousevelt, Jr.(1995), “A Diversity Framework”, in Chemer, M.Oskamp S., Costanzo(1995),
Diversity in Organizations, London: Sage Publication.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