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고객센터
Top
검색버튼 메뉴버튼

SKMS, 한국식 경영에 일침을 놓다

하영원 | 18호 (2008년 10월 Issue 1)
앨버트 아인슈타인이 말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어떤 문제건 그 문제를 만들어 낸 생각의 수준으로는 풀릴 수 없다(Problems cannot be solved by the same level of thinking that created them)”는 경구는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아인슈타인은 뉴턴 역학의 원칙을 가지고서는 뉴턴 역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물리적 현상들을 아무리 설명하려고 노력해도 풀어낼 수 없다는 사실에 영감을 받아 이런 말을 한 것으로 짐작된다.
 
결국 뉴턴 역학에서 풀리지 않던 숙제들 중 상당 부분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라는 한 단계 높은 시각을 통해 해결됐다. 즉 1차원적 문제는 2차원적 시각을 갖기 이전에는 해답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고, 2차원적 문제는 3차원적 시각에 의해서나 풀릴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견해에 따르면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한 것은 ‘그 문제를 풀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여했는가’라기보다 문제 해결을 위해 얼마나 ‘문제 자체의 차원보다 더 높은 차원의 지식(higher-order knowledge)을 동원하고 또한 적용해 보는가’하는 점일 것이다.
 
한 차원 높은 사고의 중요성
기업의 구성원들은 수많은 문제에 봉착한다. 특히 기업의 사활이 걸린 의사결정과 관련한 문제들은 분명 그 문제의 사고 차원보다 한 수 위의 사고를 가지고 접근하지 않으면 풀리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최근 매출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지고 있는 것을 걱정하는 어떤 기업이 하나의 대안으로 별 생각 없이 요즘 유행하는 타 기업의 인수합병(M&A)을 고려해 본다고 하자. 이 같은 생각은 경우에 따라 1차원적 사고일 수 있다.
 
매출성장률이 떨어지고 있으니 다른 기업과의 M&A를 통해 기업의 외형을 획기적으로 키워보자는 생각은 M&A 이후에 우리 기업과 피합병 기업에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는지, 기업의 성장을 위해 신상품 개발이나 시장 개발 등 다른 방법이 M&A보다 효과적이거나 효율적이지 않은지에 대한 고려가 없는 단순한 사고다. 또 M&A가 궁극적으로 우리 기업이 가야할 길이라는 확신이 있다 하더라도 지금이 적절한 시점인지, 우리가 치러야 하는 재무적인 대가는 적절한 것인지 등도 고려해 봐야 한다. 이처럼 복잡한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해주는 4차원 또는 5차원적 고려 없이 단순하게 1차원적으로만 사고할 경우 기업 성장이라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지식기반 경제 아래에서는 이처럼 문제 해결을 위해 좀 더 높은 차원의 시각에서 지식을 활용하려는 기업 구성원들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한국 기업의 경영패러다임 혁명을 위한 단초로서 SKMS(SK Management System)에 주목한다. 비록 완벽하지는 않지만 SKMS는 기업 경영의 원칙과 방법론 등 구성원들이 당면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한 차원 높은 지식들의 집적체라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60년대가 우리 경제의 고도성장을 위한 준비 기간이라고 본다면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본격적인 고도 성장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기간에 우리 기업들이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며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생산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조직화해 내는 방법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지금의 시각에서 보면 고차원적 경영 관련 사고보다 경영자의 결단력과 추진력이 훨씬 더 중요한 기업의 성공요인이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우리 기업들의 성공 공식이 벽에 부닥치고 있다는 느낌을 주더니 급기야 1997년에는 외환 위기로 대표되는 뼈아픈 경험을 통해 우리 기업들은 무언가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됐다.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우리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경영 패러다임은 바로 고차원적 경영지식의 집적을 통해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 지식들을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점점 더 확실해지고 있다. 이런 면에서 우리는 SKMS를 하나의 ‘지식 플랫폼 (knowledge platform)’으로 보고, 이 같은 지식 플랫폼이 21세기적 경영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지식 플랫폼으로서의 SKMS
SKMS는 고 최종현 SK그룹 회장이 자신의 기업 경영 경험을 토대로 실제 경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영관리체계를 완성하고자 1970년대에 마련해 1979년부터 SK그룹(당시 선경그룹)에 적용하기 시작한 경영시스템이다. 사실 1970년대는 우리나라가 절대 빈곤에서 막 벗어나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에 당장 내일 일을 걱정하기에 급급했다. 이런 면에서 고 최 회장이 21세기에 주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지식 기반 경제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경영철학을 당시에 제창하고 나섰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SKMS는 경영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일된 정의를 통해 그룹 내 경영자들이 경영의 본질을 바르게 알고 똑같이 이해하며 이를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정됐다. SKMS의 핵심은 구성원의 두뇌 활용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데 있다. 고 최 회장은 자본, 기술, 원료 등 다양한 생산 요소들이 있지만 사람이라는 요소가 가장 결정적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한다고 생각했다. 사람 요소 중에서도 두뇌 활용이 가장 다이내믹한 요소라고 여겼다. 따라서 SKMS에서는 구성원의 두뇌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 관리가 필수적인 요소들을 ‘동적 요소’라고 부른다.

가입하면 무료

  • 하영원

    - (현)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현) 서강대 지식서비스R&D센터장
    - (전) 한국마케팅학회장

    이 필자의 다른 기사 보기
인기기사
DBR AI

아티클 AI요약 보기

30초 컷!
원문을 AI 요약본으로 먼저 빠르게 핵심을 파악해보세요. 정보 서칭 시간이 단축됩니다!

Click!